KR950003670B1 -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 Google Patents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70B1
KR950003670B1 KR1019890004330A KR890004330A KR950003670B1 KR 950003670 B1 KR950003670 B1 KR 950003670B1 KR 1019890004330 A KR1019890004330 A KR 1019890004330A KR 890004330 A KR890004330 A KR 890004330A KR 950003670 B1 KR950003670 B1 KR 95000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lay
circuit
lin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502A (ko
Inventor
강환종
홍봉조
Original Assignee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만용 filed Critical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70B1/ko
Publication of KR90001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링다운 중계선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루우프 다이얼 중계선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반송주파수 중계선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국선회로도.
제5도는 일반전화기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다른 범용사설 중계선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가 하나의 카드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A,LB : 신호 및 음성선호 E,M : 신호용 선로
RL1~RL17: 계전기 SW1~SW3: 전자스위치
본 발명은 사설전자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가지의 전용선 중계방식을 하나의 회로에 의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한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간 통신을 위해 교환기간을 연결되는 통신선로의 신호방식은 교환기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신호방식에 따른 연결용 선로 및 이를 감지하는 회로가 신호방식에 따라 별도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종래의 사설전자 교환장치에 있어서는 신호를 주고 받는 링다운(Ring Down) 중계선회로, 선로의 루우프 단락 및 개방에 의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루프다이얼 중계선회로, 반송주파수에 의한 신호방식으로는 신호용 선로를 음성통신용 선로와 구분하여 별도로 운영하는 EM(Ear & Mouth)방식의 반송주하수 중계선회로, 국설교환기와 연결되는 국선회로 및 내선가입자 신호방식의 일반전화기 회로가 구비되어 있었다.
이를 개별적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링다운 중계선회로를 나타내며, 그 구성은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 링신호 검출회로(2), 정합기(3) 및 음성신호 변환기(4)로 구성되고 외부와 접속되는 신호 및 음성선호(LA,LB)는 계전기(RL1,RL'1,RL2)를 통하여 회로와 연결된다.
외부로부터 신호 및 음성선호(LA)를 통하여 링신호가 수신되면 이 신호를 링신호 검출회로(2)에서 검출하여 시스템 보고하며,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계전기 제어회로(5)에서 계전기(RL2)를 제어하여 온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외부인과 통화를 하게 된다. 비통화중에 외부인과 통화를 하고자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계전기 제어회로(5)가 계전기(RL1)를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에 접속하게 되므로, 링신호 발생기(비도시)로부터 들어온 링신호는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제2도는 루프다이얼 중계선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루프검출회로(6), 극성반전 검출회로(7), 정합기(3), 음성신호변화기(4), 트랜스(T1,T2) 및 극성반전용 계전기(RL5,RL'5)로 구성된다.
외부로부터 신호 및 음성선로(LA,LB)를 통하여 들어오는 호출신호 및 다이얼 정보는 트랜스(T1,T2) 및 계전기(RL5,RL'5)를 거쳐 루프검출회로에서 검출되어 시스템에 보고하고, 극성 반전 검출회로는 통화중에 통화시간 등을 체크하기 위하여 반전된 극성을 검출한다. 다이얼 송출은 계전기(RL3,RL4)에 의하여 신호 및 음성선호를 단락 및 개방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제3도는 반송주파수 중계선히로를 나타낸 것으로, 음성신호 전용의 음성선로(LA,LB)와 링 및 다이얼정보 전용의 신호선로(M,E)를 구비하고, 음성선로를 처리하는 정합기(3) 및 음성신호 변환기(4)와 외부로부터의 링 및 다이얼신호를 검출하여 시스템에 보고하는 루프검출회로(6), 신호송출을 위한 계전기(RL6)로 구성된다. 신호수신선(E)을 통하여 들어온 링신호는 루프검출신호(6)에서 검출하여 시스템에 보고하고, 신호 송출시는 계전기(RL6)를 온·오프하여 신호 송신선(M)으로 송출한다. 음성선로(LA,LB)를 통하여 들어온 정합기(3)와 음성신호 변환기(4)에서 처리한다.
제4도는 국설교환기(PX)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국선방식의 중계선회로를 나타낸다. 국선회로는 링신호 검출신호(2), 정합기(3), 음성신호 변환기(4), 링송출을 위한 계전기(RL8,RL9)로 구성되며, 외부에서 음성 및 신호선로(LA,LB)를 통하여 들어온 링신호는 링신호 검출회로(2)에서 검출하여 시스템에 보고하며, 음성신호는 정합기(3) 및 음성신호 변환기(4)에서 처리된다. 링송출시는 계전기(RL8,RL9)를 온·오프함으로써 음성 및 신호선로(LA,LB)를 통하여 국선으로 송출된다.
제5도는 일반전화기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 전류공급 및 루프검출회로(8), 정합기(3) 및 음성신호 변환기(4)로 구성되고, 전화기측으로부터 수신된 다이얼신호는 루프검출회로(8)에서 검출하여 시스템에 보고하며 전화기측으로 송신하는 링신호는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에 의하여 송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설전자 교환장치에 있어서는 신호방식에 따라 5가지의 회로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해야 하였으며 신호방식의 변경 및 여려종류의 신호방식이 함께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되는 모든 종류의 선로 및 회로가 구비되어야 신호 연결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경비가 가중되며, 관리상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신호방식을 하나의 회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5가지 신호방식에 해당하는 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하고, 해당신호 방식에 대하여는 전자스위치로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신호방식이 변경되더라도 회로를 교환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해당신호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어 관리상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감되는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는 음성통신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정합기 및 음성신호 변화기에서 처리하고, 신호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계전기를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하므로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에 있어서, 계전기(RL12,RL13)을 통해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LA,LB) 사이에 공통 접속되어 다이얼신호 송출시 극성반전을 제어하고 링신호 송출시 그 송출신호를 제어하는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제어회로와;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LA)와 상기 신호용 선로(M)와 상기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 제어회로에 공통 접속되고, 사용되는 시스템의 신호방식에 상응하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절환수단과;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링신호를 상기모드 절환수단을 거쳐 입력하여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회로와; 상기 신호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다이얼신호를 검출하는 루프 검출회로와; 상기 정합기의 선로측의 일측과 타측에서 계전기(RL16,RL17)를 통해 서로 직렬 접속된 트랜스(T1,T2)를 통해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극성반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성반전 검출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계전기(RL16)의 가변단자중의 일측과 상기 계전기(RL17)의 가변단자중의 일측에 극성반전신호 송출시 그 전류치를 제어하기 위한 감쇄수단(R1,R2)이 각각 부가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은 계전기(RL14)의 공통단자에 접속된 제1 스위치(SW1)와 상기 계전기(RL14)의 두 가변단자에 각각 접속된 제2 및 제3 스위치(SW2,SW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스위치의 가변단자중의 일측이 상기 계전기(RL12)를 통해 음성통신용 선로(LA)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 제어회로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신호용 선로(M)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스위치의 가변단자중의 일측이 접지전위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링신호 검출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스위치의 가변단자중의 일측이 상기 트랜스(T1)와 상기 정합기의 일측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계전기(RL15)를 통해 상기 트랜스(T2)와 상기 정합기의 타측에 접속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를 나타내며 그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신호용 선로(M,E)와 음성통신용 선로(LA,LB)를 별도로 준비하고 음성통신용 선로(LA,LB)에는 각기 계전기(RL12,RL13)가 설치된다. 링 송출시 극성반전을 제어하고 링신호 송출을 제어하는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를 계전기(RL12,RL13)의 c측 단자에 접속하고, 계전기(RL12)의 b측 단자는 제1 스위치(SW1)의 A측 단자에 접속한다. 제1 스위치(SW1)의 B측 단자는 신호용 선로(M)에 접속한다. 제1 스위치(SW1)의 공통단자는 계전기(RL14)의 공통단자(a)에 접속하고 계전기(RL4)의 b측 단자는 전자스위치(SW2)의 공통단자에 접속하며 C측 단자는 전자스위치(SW3)의 공통단자에 접속한다. 스위치(SW2)의 B측 단자는 링검출회로(2)의 입력측에 접속하고 스위치(SW3)의 A측 단자는 계전기(RL15)의 c측 단자와, 트랜스(T1) 및 정합기(3)에 접속하며, 계전기(RL15)의 b측 단자는 링신호 검출회로(2)의 입력측에 접속한다. 트랜스(T1)의 일측은 계전기(RL16)의 공통단자(a)에 접속하고, 계전기(RL16)의 b단자는 감쇄기(R1)를 통하여 접지단자에 접속하며, 트랜스(T2)의 일측단자는 계전기(RL17)의 공통단자(a)에 접속하고, 계전기(RL17)의 b측 단자는 감쇄기(R2)를 거쳐 -48V 전원에 연결함과 동시에 루프검출회로(6)의 일측 입력단자 및 신호용 선로(E)에 접속된다. 루프검출회로(6)의 타측입력은 -48V 전원에 접속된다.
계전기(RL16,RL17)의 c측 단자는 공통접속되어 극성반전 신호 검출회로(7)에 접속된다. 계전기(RL13)의 공통단자(a)는 음성통신용 선로(LB)에 접속되고 b측 단자는 계전기(RL15)의 공통단자(a)와 트랜스(T2) 및 정합기에 각각 접속된다. 음성신호 변환기(4)는 정합기(3)로부터의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제어장치)(비도시)에 보내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PCM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정합기(3)에 송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설신호 중계선회로를 신호방식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설명을 위하여, 모든 계전기는 b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오프 상태, c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온 상태로 가정한다.
링다운 신호 중계선 방식일 때 제1스위치(SW1)는 A단자, 제2 스위치(SW2)는 B단자, 제3 스위치(SW3)는 A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계전기(RL12,RL13)는 온·오프의 반복, 계전기(RL14)는 온, 계전기(RL15)는 오프, 계전기(RL16,RL17)는 온이 되도록 계전기 제어회로(5)에 의하여 제어된다. 음성통신용 선로(LB)를 통하여 들어온 링신호는 계전기(RL13)의 a-b단자, 계전기(RL15)의 a-b단자를 통하여 링신호 검출회로(2)에 인가되고 링신호 검출회로(2)는 검출신호를 제어장치등의 시스템(비도시)에 보고한다. 링송출시에는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에 의하여 링이 송출되며 신호 송출단속은 축적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계전기(RL12,RL13)의 단락 및 개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루프다이얼 신호 중계선 방식일때는 스위치(SW1,SW2,SW3)를 모두 A단자에 접속하고, 계전기(RL12~RL17)는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루프다이얼 방식은 사설교환기 간을 2개의 선로로 연결하여 신호중계 및 음성신호를 이 선로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이므로 음성통신용 선로(LA,LB)를 통하여 들어온 호출신호 및 다이얼 정보를 루프검출회로(6)에서 검출하여 시스템에 보고하고, 다이얼 송출시는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와 계전기(RL16,RL17)의 온·오프에 의하여 음성통신용 선로(LA,LB)를 통하여 송출한다. 이때 극성반전신호 검출회로(7)는 상대방측으로부터 극성반전되어 들어온 신호를 트랜스(T1,T2)를 거쳐 수신하며, 극성반전에 의하여 통화시간 및 통화수를 시스템에 보고한다.
반송 주파수에 의한 신호중계선 방식일때 제1 스위치(SW1)는 B단자, 제2 스위치(SW2)는 A단자, 제3 스위치(SW3)는 B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계전기(RL12,RL13)는 오프, 계전기(RL14)는 온, 계전기(RL15)는 오프, 계전기(RL16,RL17)는 온 상태로 한다. 이 방식은 사설교환기간을 음성신호선로와 호출신호선로로 각각 분리하여 연결운용되는 방식이며, 음성용 선로는 단지 음성만 전달하면 되므로 선로의 상태변화가 없고 신호용 선로는 수신선로인 E선과 송신선로인 M선으로 구분된다.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출신호 및 다이얼정보는 신호수신선로(E)를 통하여 루프검출회로(6)에서 검출되고 상대방을 호출하고자 할 때는 신호송신선로(M)를 통하여 계전기(RL14)를 단락 및 개방함으로써 호출신호 및 다이얼링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출한다.
국설교환기와 사설교환기간에 연결되는 국선신호의 수신신호는 링을 이용하고 발신신호는 다이얼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때의 전자스위치 및 계전기의 접속관계에 있어서 제1 스위치(SW1)는 A단자, 제2 스위치(SW2)는 B단자, 제3 스위치(SW3)는 A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계전기(RL12,RL13)는 오프, 계전기(RL14)는 링수신시 오프, 링송출시 온, 계전기(RL15)는 링수신시 오프, 링송출시 온·오프 반복, 계전기(RL16,RL17)는 온이 되도록 제어된다. 피호출시에는 링신호 검출회로에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상대측으로 부터 호출되고 있음을 시스템에 보고하고 발신시에는 루프용 계전기(RL15)를 단락 및 개방하여 호출신호 및 다이얼 정보를 국설교환기에 송출한다.
일반내선 가입자 회로에서 발신신호는 링을 이용하고 수신신호는 다이얼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때의 스위치는 모드 A단자에 접속하고 계전기(RL14)는 온, 계전기(RL15)는 오프, 계전기(RL16,RL17)는 오프로 하며, 계전기(RL12,RL13)는 수신시 오프 송신시 온으로 제어된다. 음성통신용 선로를 통하여 들어온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출신호 및 다이얼정보는 계전기(RL13), 트랜스(T2) 및 계전기(RL17)를 통하여 루프검출회로(6)에서 검출되며 링신호 송출시는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제어회로(1')에 의하여 음성통신용 선로를 통해 해당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제7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링다운 방식, 루프다이얼 방식, 반송주파수 방식, 국선회로방식 및 일반전화기 방식을 하나의 회로상에서 전자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시행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회로가 하나의 카드내에 8개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카드에 본 발명의 회로를 다수개 설치함으로써 신호방식이 변경되거나 여러종류의 신호방식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도 회로를 변경함이 없이 전자스위치만 해당 신호방식에 맞게 절환하여 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설신호 중계선회로에 의하면 신호방식이 서로 다른 링다운방식, 루프다이얼방식, 반송주파수방식, 국설교환기방식, 일반전화기방식을 전자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하나의 회로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설교환기의 설치 및 중계선 변경이 용이하며 종래와 같이 각각의 신호방식에 따른 회로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비가 매우 절감되고 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3)

  1. 음성통신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정합기 및 음성신호 변화기에서 처리하고, 신호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계전기를 계전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하므로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에 있어서, 계전기(RL12,RL13)을 통해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LA,LB) 사이에 공통 접속되어 다이얼신호 송출시 극성반전을 제어하고, 링신호 송출시 그 송출신호를 제어하는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 제어회로와;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LA)와 상기 신호용 선로(M)와 상기 극성반전 및 링신호 송출 제어회로에 공통 접속되고, 시용되는 시스템의 신호방식에 상응하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절환수단과;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링신호를 상기 모드 절환수단을 거쳐 입력하여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회로와; 상기 신호용 선로를 통해 입력된 다이얼신호를 검출하는 루프검출회로와; 상기 정합기의 선로측의 일측과 타측에서 계전기(RL16,RL17)를 통해 서로 직렬접속된 트랜스(T1,T2)를 통해 상기 음성통신용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극성반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성반전 검출회로로 이루어진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RL16)의 가변단자중의 일측과 상기 계전기(RL17)의 가변단자중의 일측에 극성반전신호 송출시 그 전류치를 제어하기 위한 감쇄수단(R1,R2)이 각각 부가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절환수단이 계전기(RL14)의 공통단자에 접속된 제1스위치(SW1)와 상기 계전기(RL14)의 두 가변단자에 각각 접속된 제2 및 제3 스위치(SW2,SW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KR1019890004330A 1989-03-31 1989-03-31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KR95000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330A KR950003670B1 (ko) 1989-03-31 1989-03-31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330A KR950003670B1 (ko) 1989-03-31 1989-03-31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02A KR900015502A (ko) 1990-10-27
KR950003670B1 true KR950003670B1 (ko) 1995-04-17

Family

ID=1928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330A KR950003670B1 (ko) 1989-03-31 1989-03-31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02A (ko) 199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218A (en) Radio key telephone system having a common signaling channel
US400934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wherein transmission paths can be employed for different types of message switching
US4941167A (en) Telephone system with customized central message center
US4338495A (en) Electronic key telephone systems
KR940009476B1 (ko) 표준 전화기를 갖는 셀룰러 전화
CA1089134A (en) Telephone station set interface circuit
US4564724A (en) Terminal interface connecting terminal unit having central office line interface to key telephone system
US4059732A (en) Centralized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with remote accessing
KR950003670B1 (ko) 범용 사설신호 중계선회로
US4523056A (en) Telephone including resistive array for dialing and system for using such telephone
US3501591A (en) Subscriber carrier for special service applications
US4286119A (en) Arrangement for concentrating pulse code modulation processing circuits in a digital telephone office
US4013956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ally switched modems
US2770670A (en) Carrier telegraph switchboard supervisory system
KR10023279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링착신방법
KR960028637A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어비스 장치 및 방법
JPH03114337A (ja) 電話機
US4293738A (en) Analog access arrangement for a digital telephone office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912296B2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端局内接続方式
KR850001844B1 (ko)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JPS5919674B2 (ja) 加入者回路
JPS626595A (ja) 複式接続端末の呼出し方式
JP2919323B2 (ja) 専用回線伝送方式
JPH04115759A (ja) 電話交換機の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