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44B1 -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44B1
KR850001844B1 KR1019840003060A KR840003060A KR850001844B1 KR 850001844 B1 KR850001844 B1 KR 850001844B1 KR 1019840003060 A KR1019840003060 A KR 1019840003060A KR 840003060 A KR840003060 A KR 840003060A KR 850001844 B1 KR850001844 B1 KR 85000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witch
relay
li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캐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캐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44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아그램.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어장치 상세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환장치 상세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 장치의 국선통화시 제어장치의 출력 파형도.
제 5 도는 본 발명 장치의 내선통화시 제어장치의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장치 10, 20, 30 : 전화기 전환장치
11, 21, 31 : 전화기회로 L1, L2 : 국선
C, D : 제어선 RD1: 링신호 검출부
OSC1: 발신음 발생부 OP1: 연산 증폭기
RL1: 계전기 R1, R11-R14: 저항
C1-C3, C11: 콘덴서 D11-D15: 다이오드
BZ11: 부져 SP11: 스피커
HS11, HS12: 후크 스위치 SE11: 세트회로
RES11: 리세트 회로 RS11-RS13: 계전기 스위치
본 발명은 1개의 국선에 다수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국선전환 및 전화기 상호간 내선통화가 되게하고, 국선통화 및 전화기 상호간 내선 통화중 제3의 전호기에는 통화로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비화가 되도록 한 전화기 통화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1개의 국선에 다수의 전화기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각 전화기의 송수화기만 들면 국선에 연결되므로 국선 통화중에 비화가 안될뿐만아니라, 전화기 상호간에 내선통화가 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전환되는 전환장치를 각 전화기에 각각 연결하여 국선에서 링신호가 있어 송수화기를 들면 최초에 송수화기를 든 전화기만 국선에 연결됨에 각각 연결하여 국선에서 링신호가 있어 송수화기를 들면 최초에 송수화기를 든 전화기만 국선에 연결됨과 동시에 나머지 전화기는 송수화기를 들어도 국선에서 개방되어 비화통화가 되게하고, 이 상태에서 통화중인 전화기의 전화버튼을 누르면 나머지 전화기에 부져음의 호출신호가 인가되게 하며, 이 호출신호를 듣고 제2의 전화기에서 송수화기를 들면 제2의 전화기만이 국선에 연결되어 비화통화가 되게하고, 각 전화기의 송수화기가 전부 놓여진 상태에서 전환버튼을 누르면 부저음의 호출신호가 다른 전화기에 인가되게 하며, 이 호출신호를 듣고 제2의 전화기에서 송수화기를 들면 제어장치의 제어선로를 통하여 전화기 상호간에 비화통화를 할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장치(1)를 국선(L1),(L2)에 연결하고, 제어장치(1)의 제어선(C),(D)과 국선 (L1)(L2)을 전환장치(10),(20),(30)를 각각 통하여 제 1,2,3전화기 회로(11),(21),(31)에 연결하되, 제어장치(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국선(L1),(L2)에 콘덴서(C1)와 전원계전기 스위치(Y1)를 통하여는 벨(B1)을 접속하고, 콘덴서(C2)와 트랜스(T1)를 통하여는 링신호 검출부(RD1)를 접속하여, 링신호 검출부(RD1)의 출력측은 발신음 발생부(OSC1)및 트랜스(T2), 콘덴서(C3)를 통하여 제어선(C),(D)에 접속한다.
또한 발전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는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측에 계전기(RL1)를 접속하여 계전기(RL1)의 가동단자(RL11)는 전원(B+)에 접속하고, 가동단자(RL12)는 저항(R1)과 연산증폭기(OP1)의 플러스 입력단자(+)에 접속하며, 가동단자(RL11),(RL12)의 고정접점(a1),(b2)은 트랜스(T4)를 통하여 제어선(D)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계전기(RL1)가 동작되지 않으면 그의 가동단자(RL11),(RL12)는 고정접점(a2),(b1)에 각각 접속하고, 계전기(RL1)가 동작되면 그의 가동단자(RL11),(RL12)는 고정 접점(a2),(b2)에 각각 접속되며, 전원계전기 스위치(Y1)는 전원(B+)이 인가되면 온 된다.
또한 전화기 전환장치(1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선(C),(D)은 콘덴서(C11)와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을 각각 통하여 스피커(SP11)에 접속된 트랜스(T11)에 접속하되,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은 계전기 세트회로(SE11)와 다이오드(D11)를 통해서는 제어선(C)에 접속된 계전기 스위치(RS11)의 리세트접점(r11)에 접속하여 그 리세트접점(r11)을 저항(R11)과 전환 스위치(P11)의 고정접점(g11)을 통하여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f11)에 접속하고, 또한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은 저항(R13), 발광다이오드(PD11) 및 다이오드(D13)와 전환스위치(P12)의 고정접점(h12)과 저항(R12)을 각각 통해서는 제어선(C)에 접속하며, 계전기 스위치(RS1)의 세트접점(S11)은 다이오드(D12)및 계전기 리세트 회로(RES11)를 통하여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에 접속하고, 전환스위치(P12)의 고정접점(h12)과 저항(R12)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14)를 통하여 제어선(C)에 접속된 부지(BZ11)와, 전환스위치(P12)의 고정접점(h11)에 접속된 다이오드(D15)에 접속한다. 또한 기 스위치(RS12),(RS13)의 리세트접점(r12),(r13)은 국선(L1),(L2)에 접속하고, 세트접점(S12)은 제어선(C)에 직접 접속하고, 세트접점(S13)은 저항(R14)을 통하여 제어선(D)에 접속하여, 계전스위치(RS13)는 후크스위치(HS12)의 고정접점(f12)을 통하여 전화기 회로(11)에 접속하고 계전스위치(RS12)는 전화기회로(11)에 직접 접속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후크스위치(HS11),(HS12)는 제1전 화기의 송수화기가 놓여 있는 상태이면 고정접점(e11),(e12)에 접속되고, 송수화기를 들면 고정접점(f11),(f12)에 접속되며, 계전기스위치(RS11),(RS12),(RS13)는 계전기 세트회로(SE11)가 동작되면 세트접점(s11),(s12),(s13)에 각각 접속되고, 계전기 세트회로(SE11)가 복구되면 리세트 접점(r11),(r12),(r13)에 각각 접속되며, 전환스위치(P11),(P12)는 서로 연동되는 TM위치로서 평상시에는 고정접점(g11),(g12)에 접속되고, 전환스위치(P11)를 누르면 고정접점(h11),(h12)에 접속된다 그리고 전환장치(20),(30)도 상기의 전환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B+)이 인가되면 전원계전기 스위치(Y1)는 온되어 벨(B1)이 국선(L1),(L2)에 연결되고, 전원(B+)은 계전기(RL1) 가동단자(RL11)의 고정접절(a1)및 트랜스(RT3)를 통하여 제어선(C)에 인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국선(L1),(L2)에 링신호가 인가되면, 링신호는 벨(B1)에 인가되어 벨(B1)을 동작시키고, 또한 링신호는 트랜스(T1)를 통하여 링신호 검출부(RD1)에 인가되므로 링신호 검출부(RD1)는 발신음 발생부(OSC1)에 링신호 검출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발신음 발생부(OSC1)에서 발생한 발신음은 트랜스(T2)및 콘덴서(C3)를 통하여 제어선(C),(D)에 인가되고, 제어선(C),(D)에 인가된 발신음은 각 전화기 전환장치(10),(20),(30)의 콘덴서(C11),(C21),(C31)와 후크스위치(HS11),(HS21),(HS31)의 고정접점(e11),(e21),(e31)을 각각 통하여 트랜스(T11),(T21),(T31)에 인가되므로 스피커(SP11),(SP21),(SP31)에서 발신음이 출력되어 국선(L1),(L2)에 링신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 때, 제1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었다고 가정하면, 후크스위치(HS11),(HS12)가 고정접점(f11),(f12)에 각각 접속되므로 제 1전화기회로(11)는 계전기스위치(RS12),(RS13)의 레세트접점(r12),(r13)을 통하여 국선(L1),(L2)에 접속되므로 제 1 전화기회로(11)는 국선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계전기스위치(RS11)의 리세트접점(r11), 저항(R11),전환스위치(P11)의 고정접점(g11)및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f11)을 통하여 제어선(D)으로 흐르게 되므로 제4도의 시간(t0)에서와 같이 저항(R11)에서 전압강하가 생기고, 이와같이 전압강하가 된 전원(B+)은 제어장치(1V)의 트랜스(T4)와 가동단자(RL12)의 고정접점(b1)을 통하여 저항(R1)과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데, 이 때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 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높게 저항(R11),(R12)의 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저항(R12)의 값도 저항(R11)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음)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측에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계전기(RL1)가 동작되어 그의 가동단자(RL11),(RL12)는 고정접점(a2),(b2)에 접속되므로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은 제4도의 시간(t1)에서와 같이 반전되어 제어선(D)에 전원(B+)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선(D)에 인가된 전원(B+)은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f11)및 전환스위치(P11)의 고정접점(g11), 저항(R11), 계전기스위치(RS11)의 리세트접점(r11)을 통하여 제어선(C)으로 흐르지만, 송수화기를 들지 않는 전화기 전환장치(20),(30)에 있어서는 후크스위치(HS21),(HS31)의 고정접점(e21),(e31)및 계전기 세트회로(SE21),(SE31), 다이오드(D21),(D31), 계전기 스위치(RS21),(RS31)의 리세트접점(r21),(r31)을 각각 통하여 제어선(C)으로 흐르므로 계전기 세트회로(SE21),(SE31)가 동작되고, 이에따라 계전기 스위치(RS21),(RS31),(RS22),(RS32),(RS23),(RS33)가 세트접점(S21),(S31),(S22),(S32),(S23),(S33)에 각각 접속되어 제2,3,화 전화기회로(21),(31)가 국선(L1),(L2)에서 분리되므로 송수화기를 들어 후크스위치(HS22),(HS32)가 고정접점(f22),(f32)에 각각 접속되더라도 국선 통화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 때 제어선(D)에 인가되어 후크스위치(HS21),(HS31)의 고정접점(e21),(e31)을 통과한 전원(B+)은 저항(R23),(R33), 발광다이오드(PD21),(PD31)및 다이오드(D23),(D33)를 각각 통하여 제어선(C)으로 흐르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PD21),(PD31)가 점등되어 다른 전화기가 국선통화 중임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최초에 송수화기를 든 제 1 전화기회로 (11)만이 국선(L1),(L2)에 연결되므로 비화통화를 할 수 있고, 이와같이 국선통화를 하던중에 다른 전화기로 국선통하를 전환시키고자 하여 전환 스위치(P11)를 누르면(제4도의 t2) 전환스위치(P11),(P12)가 고정접점(h11),(h12)에 접속되므로 전화기 전환장치(10)에는 제어선(C),(D)의 전류가 차단되고, 이에따라 제어선(D)에 인가된 전원(B+)은 통화중이 아닌 전화기 전환장자(20),(30)의 저항(R23),(R33), 발광다이오드(PD21),(PD31)및 다이오드(D23),(D33)를 통하여만 제어선(C)으로 흐른다. 그런데 저항(R13),(R23),(R33)의 값은 저항(R11),(R21),(R31)의 값에 비해 훨씬 높은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저항(R23),(R33)에서 전압강하가 크게 되고, 이에따라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게되어 그의 출력전압이 저전위로 되므로 계전기(RL1)가 동작을 중지하여 그의 가동단자(RL11),(RL22)는 고정접점(a1),(b1)에 접속한다. 따라서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은 제4도의 시간(t3)에서와 같이 다시 반전되어 제어선(C)에 전원(B+)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통화중인 전화기 전환장치(10)의 부져(BZ11), 다이오드(D15), 전환스위치(P11)의 고정접점(h11)및 후크 스위치(HS11)의 고정접점(f11)을 통하여 제어선(D)으로 흐르므로 부져(BZ11)가 동작되고, 이에따라 부져(BZ11)에서 발생된 신호는 상기에서와 같이 통화중이 아닌 전화기 전환장치(20),(30)의 후크스위치(HS21),(HS31)의 고정접점(e21),(e31)및 트랜스(T21),(T31)를 각각 통하여 스피커(SP21),(SP31)에 인가되어 통화중이 아닌 전화기를 호출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전화기 전환장치(20),(30)의 계전스위치(RS21),(RS31)의 세트접점(s21),(s31)및 다이오드(D22),(D32), 리세트회로(RES21),(RES31), 후크스위치(HS21)(HS31)의 고정접점(e21),(e31)을 통하여 제어선(D)으로 흐르므로 리세트회로(RES1),(RES2)가 동작되어 계전기 스위치(RS21),(RS31),(RS22),(RS32),(RS23),(RS33)를 그의 리세트접점(r21),(r31),(r22),(r32),(r23),(r33)에 접속시킨다. 따라서 통화중이 아닌 전화기회로(21),(31)에서 호출신호를 듣고 송수화기를 들면(제 2 전화기회로(21)의 송수화기를 들었다고 가정함), 그의 후크스위치(HS21),(HS22)가 그의 고정접점(f21),(f22)에 접속되므로 제 2 전화기회로(21)가 국선(L1),(L2)에 연결되어 국선통화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송수화기를 든 전화기 전환장치(20)의 계전스위치(RS21)의 리세트접점(r21)및 저항(R21), 전환스위치(P21)의 고정접점(g21), 후크 스위치(HS21)의 고정접점(f21)을 통하여 제어선(D)에 인가되므로(제 4 도의 T4) 상기에서와 같이 계전기(RL1)가 동작되어 그의 가동단자(RL11),(RL12)를 그의 고정접점(a2),(b2)에 접속하고, 이에따라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은 제 4 도의 시간(t5)에서와 같이 다시 반전되어 제어선(D)에 전원(B+)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송수화기를 들지 않는 전화기 전환장치(30)의 세트회로(SE31)를 동작시켜 그의 계전스위치(RS31),(RS32),(RS33)를 세트접점(s31),(s32),(s33)에 접속시키므로 송수화기를 들더라도 국선(L1),(L2)에서 제 3 전화기회로(31)가 분리되어 국선통화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국선통화를 전환시킨 제 1 전화기회로(11)에서 전환스위치(P11)를 누르던 것을 해제하고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상기에서와 같이 전화기 전환장치(10)의 세트회로(SE11)가 동작되어 그의 계전스위치(RS11),(RS12),(RS13)가 세트접점(s11),(s12),(s13)에 접속되므로, 다시 송수화기를 들더라도 국선(L1),(L2)에서 제 1 전화기회로(11)가 분리되어 국선통화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와같이 국선통화시에 다른 전화기를 호출하여 국선 통화를 전환할 수 있고, 국선 통화시에는 제 1,2,3전화기회로(11),(21),(31)중 하나만 국선(L1),(L2)에 연결되므로 비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국선통화를 완료하여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제어선(D)에 인가된 전원(B+)은 상기에서와 같이 전화기 전환장치(10),(20),(30)의 저항(R13),(R23),(R33)을 통하여 제어선(C)으로 흐르게 되므로 저항(R13),(R23),(R33)에서 전압강하가 커지게 되어 계전기(RL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이에따라 계전기(RL1)의 가동단자(RL11),(RL21)는 고정접점(a1),(b1)에 접속되므로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은 제4도의 시간(t7)에서와 같이 다시 반전되어 제어선(C)에 전원(B+)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통화를 하지 않았던 전화기 전환장치(10),(30)의 계전기스위치(RS11)(RS31)의 세트접점(S11),(S31)및 다이오드(D12),(D32)를 통하여 리세트회로(RES11),(RES31)를 동작시키므로 그의 계전기스위치(RS11),(RS31),(RS12),(RS32),(RS13),(RS33)가 리세트 접점(r11),(r31),(r12),(r32),(r13),(r33)에 접속되어 최초의 상태로 원상 복귀된다. 이와같이 송수화기가 전부 높여진 상태여서 내선 통화를 하고자하여 전환스위치(P11)를 누르면 (전환스위치(P11)를 눌렀다고 가정함) 전환스위치(P11),(P12)가 그의 고정접점(h11),(h12)에 접속되므로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전화기 전환장치(10)의 저항(R12)및 전환스위치(P12)의 고정접점(h12)후크스위치(HS1)의 고정접점(e11)을 통화여 제어선(D)으로 흐르므로 (제 5도의 t11) 상기에서와 같이 계전기(RL1)가 동작하여 그의 가동단자(RL11),(RL12)를 고정접점(a2),(b2)에 접속시키고, 이에 따라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이 제5도의 시간(t12)에서와 같이 반전되어 제어선(D)에 전원(B+)이 인가된다.
이때 제어선(D)에 인가된 전원(B+)은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및 전환스위치(P12)의 고정접점(h12),다이오드(D14),부져(BZ11)를 통해 제어선(C)으로 흐르므로 부져(BZ11)가 동작되고, 부져(BZ13)에서 발생된 신호(제5도의 t12-t13)는 상기에서와 같이 전화기 전환장치(20),(30)의 스피커(SP21),(SP31)에 이가되어 내선 호출을 하게되고, 또한 이때 제어선(D)에 인가된 전원(B+)은 전화기 전환장치(10),(20),(30)의 세트회로(SE11),(SE21),(SE31)를 통하여 각각 제어선(C)으로 흐르게므로 세트회로(SE11),(SE21),(SE31),가 동작되어 계전스위치(RS11),(RS21),(RS31),(RS12),(RS22),(RS32),(RS13),(RS23),(RS33)를 그의 세트접점(s11),(s21),(s31),(s12),(s22),(s32),(s13),(s23),(s33)에 각각 접속시킨다.
따라서 내선호출을 듣고 다른 전화기에서 송수화기를 들면(전화기회로(31)의 송수화기를 들었다고 가정함 그의 후크스위치(HS21),(HS22)가 그의 고정접점(f21),(f22)에 접속되고, 이 때 전화기전환장치(10)에서 전환스위치(P11)를 누르던 것을 해제하고 송수화기를 들게되면 그의 후크스위치(HS11),(HS12)가 그의 고정접점(f11),(f12)에 접속되어 전화기로 (11)가 제어선(C),(D)에 연결되므로 전화기회로(11)와 전화기회로(31)는 제어선(C),(D)을 통하여 내선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때 제어선(D)에 인가된 전원(B+)은 통화중이 아닌 전화기 전환장치(30)의 저항(R33)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또한 통화중인 전화기 전환장치(10),(30)의 저항(R14)(R24)을 통하여 제어선(c)으로 흐르게 된다. 그런데 저항(R14),(R24),(R34)의 값도 저항(R13)의 값과 같게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저항(R13),(R14),(R24)에서 전압강하가 크게되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 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Vref)가 낮아지고, 이에따라 계전기(RL1)가 동작을 중지하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은 제5도의 시간(t15)에서와 같이 다시 반전되어 제어선(C)에 전원(B+)이 인가되며,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은 전화기 전환장치(30)의 계전기스위치(RS31)의 세트 접점(s31)및 다이오드(D32)를 통하여 리세트회로(RES31)를 동작시키므로 그의 계전기스위치(RS31),(RS32),(RS33)가 리세트접점(r31),(r32),(r33)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화기회로(31)에서 송수화기를 들어 그의 후크스위치(HS31),(HS32)가 고정접점(f31),(f32)에 접속되더라도 제어선(C),(D)에서 분리되어 내선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제 1,3 전화기회로(11),(21)만이 비화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내선통화를 완료하여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그의 후크스위치(HS11),(HS21)가 고정접점(e11),(e21)에 각각 접속되어 제어선(C)에 인가된 전원(B+)이 통화를 했던 전화기 전환장치(10),(20)의 계전기스위치(RS11),(HS32)가 고정접점(s11),(s21)및 다이오드(D12),(D22)를 각각 통하여 리세트회로(RES11)(RES21)를 동작시키므로 계전기스위치(RS11),(RS12),(RS12),(RS22),(RS13),(RS23)가 리세트접점(r11),(r21),(r12),(r22),(r13),(r23)에 접속되어 최초의 상태로 원상복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국선통화중에 다른 전화기를 호출하여 국선통화를 전환할 수 있고, 전화기 상호간에도 서로 호출하여 내선통화를 할 수 있으며, 국선통화와 내선통화는 비화통화가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국선(L1),(L2)에 착신된 링신호를 링신호검출부(RD1)로 검출하여 그에 따른 발신음발생부(OSC1)의 발신음을 제어선(C),(D)에 송출하고, 제어선(C),(D)에 흐르는 전류를 저항(R1)및 연산증폭기(OP1)로 비교검출하여 계전기(RL1)를 동작시킴으로써 제어선(C),(D)에 인가되는 전원(B+)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제어장치(1)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던가 반전스위치(P11,P21,P31)를 누르면, 그에 따라 세트회로(SE11,SE21,SE31)또는 리세트 회로(RES11,RES21,RES31)가 동작되어 국선통화중에는 각 전화기회로(11,21,31)중 하나 만국선(L1),(L2)에 연결되고, 내선통화중에는 각 전화기회로(11,21,31)중 2개만 제어선(C),(D)에 연결되는 전환장치(10,20,30)로 구성됨을 하는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1)는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측에 접속된 계전기(RL1)의 가동단자(RL11)를 전원(B+)에 연결하고, 가동단자(RL12)를 저항(R1)및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여, 그의 고정접점(a1),(b2)과 (a2),(b1)을 제어선(C),(D)에 각각 연결된 트랜스(T3),(T4)에 각각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화기 전환장치(10)는, 제어선(C),(D)을 콘데서(C11)와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을 통하여 스피커(SP11)에 접속된 트랜스(T11)에 접속하되, 후크스위치(HS11)의 고정접점(e11),(f11)은 세트회로(SE11)및 다이오드(D11)와, 전환스위치(P11)의 고정접점(g11) 및 저항(R11)을 각각 통하여 제어선(C)에 접속된 계전기스위치(RS11)의 리세트접점(r11)에 접속하고, 또한 고정접점(e11)은 저항(R13), 발광 다이오드(PD11) 및 다이오드(D13)와, 전환스위치(P12)의 고정접점(h12) 및 저항(R12)을 각각 통하여 제어선(C)에 접속하며, 계전기스위치(RS11)의 세트접점(S11)은 다이오드(D12)및 리세트회로(RES11)를 통하여 고정접점(e11)에 접속하고, 저항(R12)과 고정접점(h12)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14)을 통하여 제어선(C)에 접속된 부져(BZ11)및 전환스위치(P11)의 고정접점(h11)에 접속된 다이오드(D15)에 접속하며, 전화기회로(11)에 접속된 계전기스위치(RS12)의 리세트접점(r21)및 세트접점(s12)은 국선(L1)과 제어선(C)에 접속하고, 후크스위치(HS1)의 고정접점(f12)을 통하여 전화기회로(11)에 접속된 계전기스위치(RS13)의 리세트접점(r13)과 세트접점(s13)은 국선(L2)과,제어선(D)에 접속된 저항(R14)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KR1019840003060A 1984-06-01 1984-06-01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KR85000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3060A KR850001844B1 (ko) 1984-06-01 1984-06-01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3060A KR850001844B1 (ko) 1984-06-01 1984-06-01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844B1 true KR850001844B1 (ko) 1985-12-26

Family

ID=1923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060A KR850001844B1 (ko) 1984-06-01 1984-06-01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84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9634A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US4088846A (en) Hold-plus-intercom for single-line stations
US3976847A (en) Key telephone system intercom arrangement
US4096358A (en) Key telephone system signal priority arrangement
US4060700A (en) Two-party telephone system
US3920902A (en) Off-premises station line circuit for a key telephone system
CA1206651A (en) Telephone substation transmitter muting circuit
US3703611A (en) Telephone system
KR850001844B1 (ko) 전화기 통화 전환장치
US4523056A (en) Telephone including resistive array for dialing and system for using such telephone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CA1071784A (en) Link circuit for intercom unit
US4175216A (en) Intercom calling apparatus in a key telephone system
US3553373A (en) Manual rerouter system for telephone subscriber station with combined conference call feature
US3389224A (en) Conference connection and control device for telephone subscriber lines
US3366745A (en) Remote telephone extension system
JPH0227880B2 (ja) Botandenwasochi
SU1061289A2 (ru) Абон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квазиэлектронной АТС малой емкости
US3610827A (en) Conference call equipment
JP2610415B2 (ja) フック検出回路
KR850002664Y1 (ko) 외부전원 공급장치가 필요없는 온 후크 다이얼막 전화장치
JPH029742B2 (ko)
JP2869492B2 (ja) 通話装置
JPH0332139A (ja) 複数の電話線に接続する電話装置
JPS5820497B2 (ja) ライン引込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