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03B1 -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03B1
KR950003503B1 KR1019920005675A KR920005675A KR950003503B1 KR 950003503 B1 KR950003503 B1 KR 950003503B1 KR 1019920005675 A KR1019920005675 A KR 1019920005675A KR 920005675 A KR920005675 A KR 920005675A KR 950003503 B1 KR950003503 B1 KR 95000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vending machine
slave
slave control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366A (ko
Inventor
히로유끼 사또
가쓰요시 다지마
게이타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주식회사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주식회사,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02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판매기의 전체사시도.
제3도는 메인제어부와 스레이브제어부의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4도는 통신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메인제어부 3a : 스레이브제어부
29 : 기판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제어를 메인제어부와 스레이브제어부로 분산하여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제어장치는 일본국 특개소 59-725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자동판매기의 한정된 기능장치부분을 제어하는 스레이브(slave)제어부를 설치하여 자동판매기의 제어를 분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 메인제어부는 각 스레이브제어부에 대하여 폴링(polling)을 걸어서 직렬전송으로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바, 스레이브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연산처리하고, 그 결과에 의거한 데이타를 적당히 필요한 스레이브제어부에 전송하여 자동판매기의 전체동작을 총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분산제어방식은 각 기능장치부분이 스레이브제어부를 배치하기 위하여 그 스페이스를 확보해야 하므로 기능장치부분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내에서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음으로서 더욱더 간략화된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는 자동판매기의 한정된 기능부분을 제어하는 스레이브제어부와, 그 스레이브제어부를 총괄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의 각 기능장치부분을 하나의 상기 스레이브제어부에 의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그 스레이브제어부를 상기 메인제어부와 공통의 기판에 배치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의 각 기능장치부분을 하나의 상기 스레이브제어부에 의하여 제어하는 동시에, 그 스레이브제어부를 메인제어부와 동일한 기판에는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품불출장치나 표시기나 상품선택장치에 스레이브제어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부분의 구성도 간략화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판매기의 전체사시도이다.
자동판매기(20)의 접대패널(21)에는 경화투입부(22), 지폐투입부(23), 카드투입부(24), 상품수납컬럼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상품선택스위치(7a~7f). 판매기능표시의 인디케이터(8a~8f), 매진표시의 인디케이터(9a~9f), 표시기(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판매기(20)의 문(25)을 연 내부에는 제어박스(26) 및 경화처리장치(4)가 부착되어 있다. 제어박스(26)에는 키스위치에 의한 입력장치(13)가 콜코드(call code)(27)에 의하여 접속되는 동시에 그 제어박스(26)중에는 제어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경화처리장치(4)는 경화투입부(22)에 투입된 경화를 선별하는 경화셀렉터(4A), 경화수납부(4B) 및 그 경화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화를 경화취출구(28)에 불출하기 위한 경화불출장치(4C)로 이루어진다.
지폐투입부(23)으로부터 투입되는 지폐의 선별이나 받아들임을 행하는 지폐처리장치(5)나, 카드투입부(24)로부터 투입되는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함 또는 판독하는 동시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카드처리장치(6)는 접대패널(21)의 후방에 배치하여 있어 제2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의 실시예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장치(1)는 자동판매기의 제어를 총괄하는 주제어부인 메인제어부(2)와 자동판매기의 한정된 기능부분을 제어하는 스레이브제어부(3a~3e)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어부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각각 포함한다.
이 경우의 기능장치부분으로는 경화처리장치(4), 지폐처리장치(5), 카드처리장치(6), 상품선택스위치(7a~7f), 판매기능표시의 인디케이터(8a~8f), 매진표시의 인디케이터(9a~9f), 매진검지스위치(10a~10f), 상품반출구동장치(11a~11f), 표시기(12), 입력장치(13)등이다.
메인제어부(2)와 각 스레이브제어부(3a~3e)는 직렬전송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신호라인(14)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라인(14)은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타출력선(14a), 데이타입력선(14b), 동기신호선(14c)으로 이루어지고, 메인제어부(2)의 CPU(2A)와 각 스레이브제어부(3a~3e)의 CPU(대표하여 부호 3A로 나타낸다)는 신호회로(31)(32)로 신호라인(14)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제어부(2)는 각 스레이브제어부(3)에 대하여 폴링을 걸어서 데이타통신을 행한다.
또, 메인제어부(2)는 전원부(33)를 포함하고, 스레이브제어부(3a~3e)의 전원회로(34)와 24V, 8V, 그랜드(0V)의 3개의 전원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레이브제어부(3a)는 인터페이스(17)로 상품선택스위치(7a~7f), 인디케이터(8a~8f), 인디케이터(9a~9f), 매진검지스위치(10a~10f), 상품반출구동장치(11a~11f) 및 표시기(12)를 접속하여 메인제어부(2)의 지시에 따라서 이들 기능장치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제어부(2)로부터 보내져오는 표시데이타에 의거하여 인디케이터(8a~8f)(9a~9f) 및 표시기(11)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메인제어부(2)로부터 보내져오는 상품판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품반출구동장치(11a~11f)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스레이브제어부(3a)는 메인제어부(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품선택스위치(7a~7f)의 조작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타나 매진검지스위치(10a~10f)로 검출한 상품의 매진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메인제어부(2)에 송신한다. 메인제어부(2)와 그 스레이브제어부(3a)와는 같은 기판(29)위에 배치되어서 제어박스(26)내에 수납되어 있다.
스레이브제어부(3b)는 경화처리장치(4)를 제어하는 것이고, 인터페이스(18)에 경화셀렉터(4A), 경화수납부(4B)내의 잔돈(거스름돈)없음을 검지하는 잔돈검지장치(30)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스레이브제어부(3b)는 메인제어부(2)로부터 보내져오는 잔돈데이타에 의거하여 경화불출장치(4C)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스레이브제어부(3b)는 메인제어부(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경화셀렉터(4A)에 표시되는 투입경화액을 나타내는 데이타나, 잔돈검지장치(30)로 검출한 잔돈없음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메인제어부(2)에 송신한다.
스레이브제어부(3c)는 지폐처리장치(5)를 제어하는 것이고, 메인제어부(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지폐처리장치(5)가 식별한 투입지폐의 지폐액정보를 메인제어부(2)에 송신한다.
스레이브제어부(3d)는 카드처리장치(6)를 제어하는 것이고, 메인제어부(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카드처리장치(6)이 투입카드로부터 판독해낸 카드정보를 메인제어부(2)에 송신한다.
스레이브제어부(3e)는 입력장치(13)를 제어하는 것이고, 메인제어부(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키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키입력신호를 메인제어부(2)에 보낸다.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경화처리장치(4)나 지폐처리장치(5)나 카드처리장치(6)등의 기능장치부분은 단일장치로써 취급되고 있기 때문에 스레이브제어부(3b)~스레이브제어부(3e)는 각각 대응한 기능장치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이들 기능장치부분은 자동판매기로의 부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교환도 쉬워서 관리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게다가 각각이 단일장치이기 때문에 각각의 스레이브제어부를 받아들이는 스페이스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입력장치(13)에 관하여는 본예와 같이 제어박스(26)로부터 분리하여 부착되는 구성이면, 그 스레이브제어부(3e)는 입력장치(13)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코드(27)가 다수의 키신호선을 포함하기 위하여 굵어지는 일이 없고, 메인제어부(2)와 스레이브제어부(3e)와의 신호라인(14)만으로 완료된다.
또, 키스위치에 의한 입력이외에 자동판매기로의 입력데이타나 지령을 바코드에 의하여 코드화한 것을 바코드스캐너(35)로 판독해내는 방식도 있으나, 이와 같은 입력장치이라면 스레이브제어부(3a)에 바코드스캐너(35)가 판독해낸 바코드신호를 코드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에 스레이브제어부(3a)와 바코드스캐너(35)와는 바코드신호의 전송선에 의하여 접속하고, 스레이브제어부(3a)는 바코드신호가 입력하면 그것을 코드로 변화하여 메인제어부(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그 코드를 메인제어부(2)에 보낸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제어장치(1)는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의 각 기능장치부분의 제어를 제어박스(26)내의 제어기판(29)에 집중시키기 때문에 자동판매기내에서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아 더욱 간략화된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그런데,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경화가 투입되어서부터 상품불출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길이가 항상 문제가 되지만, 상기한 제어장치(1)에 의하면, 그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즉, 분산제어방식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는 메인제어부(2)가 각 스레이브제어부와 순차적으로 통신을 행하면서 데이타처리하면서 판매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통신에 필요로 하는 정도만 판매시간이 길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제어장치(1)는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의 각 기능장치의 제어를 하나의 스레이브제어부에 통합하기 때문에 이들의 기능에 관하여는 제4(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커멘드로 여러개의 데이타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을 채택하는 것에 의하여 메인제어부(2)는 1회의 통신으로 표시데이타나 판매데이타등을 스레이브제어부(3a)로 보내고, 또는 상품선택스위치(7a~7n)의 조작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타나 상품의 매진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받기 때문에 통신시간의 단축이 도모되며, 더 나아가서는 상품불출까지의 시간이 짧게 된다.
그러나, 종래는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하는 각 기능장치의 스레이브제어부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4(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레이브제어부에 커멘트와 데이타를 각각 통신해야하므로 판매시간의 단축은 기대되지 않는다.
또, 분산제어방식의 이점으로서는, 자동판매기의 기능업(up)에 대한 개발효율의 향상에 있다.
즉, 자동판매기에 있는 여러기능을 추가함에는 그 기능장치부분을 제어하는 스레이브제어부를 신호라인(14)에 새로 접속하는 동시에 메인제어부(2)의 프로그램을 버전업(version up)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의 어느 것인가를 기능업시키고 싶은 경우도 있으나,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스레이브제어부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변경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한 제어장치(1)는 스레이브제어부(3a)의 CPU에 스위치(S1~S3)를 설치하여, 이들 스위치의 전환에 의하여 스레이브제어부(3a)의 기능장치부분의 제어를 행하는가 아닌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품판매기구가 복잡하여 그것의 구동에 고도의 제어가 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고도한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스레이브제어부에 의해서 다른 기능장치부분도 공통하여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 제어장치(1)는 새로운 상품반출 또는 표시를 위한 스레이브제어부를 신호라인(14)로 증설하는 동시에 메인제어부(2)의 프로그램을 버전업하고, 이들의 기능에 해당하는 스위치(S1~S3)를 전환하여 스레이브제어부(3a)에 의한 이러한 기능장치부분의 제어를 무효화하는 것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하는 각 기능장치부분의 제어를 메인제어부의 제어기판에 집중시키기 때문에 자동판매기내에서 스페이서를 차지하지 않음으로 더욱 더 간략화된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

  1. 자동판매기(20)의 한정된 기능부분을 제어하는 스레이브제어부(3a)와, 그 스레이브제어부를 총괄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로 이루어지는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품반출, 표시, 상품선택의 각기능장치부분을 하나의 상기 스레이브제어부(3a)에 의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그 스레이브제어부를 상기 메인제어부(2)와 공통인 기판(29)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KR1019920005675A 1991-04-11 1992-04-06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KR950003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79098A JPH04312196A (ja) 1991-04-11 1991-04-11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91-079098 1991-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366A KR920020366A (ko) 1992-11-21
KR950003503B1 true KR950003503B1 (ko) 1995-04-13

Family

ID=1368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675A KR950003503B1 (ko) 1991-04-11 1992-04-06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312196A (ko)
KR (1) KR950003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6268B (en) 1999-11-10 2004-08-18 Mars Inc Value transac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12196A (ja) 1992-11-04
KR920020366A (ko) 199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3664A (en) Point of sale system having backup file device
MX2008011053A (e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a periferico mediante diversos puertos de datos.
US5895452A (en) Point-of-sale system
KR950003503B1 (ko)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JPH03116395A (ja) 自動販売機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2002108422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US20020004689A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EP1022697B1 (en) Control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JPS62109192A (ja) 自動販売機の情報処理システム
JP2681201B2 (ja) 自動販売機の売切れ情報表示装置
KR19990019252A (ko) 자동판매기 랙크의 칼럼 사이즈 가변 방법
JP2573747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H0664439B2 (ja) データ表示装置
JPH0512549A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S59183488A (ja) 自動販売機の販売コラム確認装置
JPH01213790A (ja) 自動販売機の販売状況表示装置
JPS5922608Y2 (ja) 自動販売機の管理装置
KR0126669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보급수 표시장치
KR0136696B1 (ko) 티켓 발매기의 품절 메뉴 발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8299583A (ja) 遊技設備のモニター表示装置
JP2828671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H0230550B2 (ko)
JP2000137862A (ja) 自動販売機
JP2000090340A (ja) 自動販売機
JPH07210731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