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141A -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141A
KR950003141A KR1019930014750A KR930014750A KR950003141A KR 950003141 A KR950003141 A KR 950003141A KR 1019930014750 A KR1019930014750 A KR 1019930014750A KR 930014750 A KR930014750 A KR 930014750A KR 950003141 A KR950003141 A KR 950003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surfaces
elevator
guided
moving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479B1 (ko
Inventor
유키히로 고토오
요시히코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143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31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415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62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04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446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Publication of KR95000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의 입출부의 앞 쪽에 설치된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예컨대 공장의 내부에 설치된 바닥 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 출입 장치의 이동캐리지(11)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동캐리지(11)의 수평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전후 한 쌍의 지주(12)에는 전후 안내면(20)이 형성된 대향하는 표면이 있다. 승강기(14)는 전후 안내면(20)에 의해 그 한 쪽 및 다른 쪽 끝에서 안내되며, 따라서, 승강기(14)는 안내면을 따라 수직작동한다.
수직구동시키는 코드 소재(43)는 한쌍의 지주(12)의 대향하는 표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기(14)와 연결되어 있다. 코드 소재(43)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각 지주(12)의 대향하는 표면에는 각 코드소재(43)와 각 지주(12) 사이에 여유공간이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의 수직 안내부가 포함된 지주의 횡단 평면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된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에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정면도이다.

Claims (6)

  1. 이동캐리지(11), 이동캐리지(11)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동캐리지(1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후 한쌍의 지주(12), 지주(12)의 대향면에 형성된 전후 안내면(20), 안내면을 따라 상하작동하기 위해서 전후 안내면(20)에 의해 그 한 쪽 및 다른 쪽 끝에서 안내되는 승강기(14), 한 쌍의 지주(12)의 대향하는 표면중의 적어도 한 쪽 면을 따라 배치된 승강기(14)를 수직으로 구동시키며, 승강기(14)와 연결된 구동체인(43) 및 구동체인(43)과 각 지주(12)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구동체인(43)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지주(12)의 대향하는 면으로 설정되는 여유공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여유공간이, 각 지주(12)에서 체인(43)을 향하는 개방되어 형성된 홈(21)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주(12)의 안내면에서 전면이나 또는 후면에 각 지주(12)와 일체로 홈(21)이 형성되며, 홈(21)을 형성하는 지주(12)의 모서리에서의 지주(12)의 축부가 다른 부재를 연결시키는 더브테일홈(2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지주(12)의 안내면의 한 쌍의 양 쪽 면에서 전면이나 또는 후면에 각 지주(12)와 일체로 홈(21)이 형성되며, 각 홈(21)에는 한 쌍의 내면이 있고, 지주(12)의 중앙과 인접한 어느 한 쪽의 내면이 승강기(14)를 안내하기 위한 측방 안내면(22)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
  5. 이동캐리지(11), 이동캐리지(11)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동캐리지(1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후 한쌍의 지주(12), 지주(12)의 대향면에 형성된 전후 안내면(20), 각 지주(12)에 형성된 한 쌍의 측방 안내면(22), 안내면을 따라 상하작동하기 위해서 각 지주(12)의 전후 안내면(20)과 측방 안내면(22)에 의해 그 한 쪽 및 다른 쪽 끝에서 안내되는 승강기(14), 승강기(14)에 설치되어서 전후 안내면(20)에 의해 안내되며, 전후 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롤러(30), 승강기(14)에 설치되어서 측방 안내면(22)에 의해 안내되며, 길이 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탄성체 수지로 만들어진 롤러(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
  6. 이동캐리지(11), 이동캐리지(11)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동캐리지(1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후 한쌍의 지주(12), 지주(12)의 대향면에 형성된 전후 안내면(20), 각 지주(12)에 형성된 한 쌍의 측방 안내면(20), 안내면을 따라 상하작동하기 위해서 각 지주(12)의 전후 안내면(20)과 측방 안내면(22)에 의해 그 한 쪽 및 다른 쪽 끝에서 안내되는 승강기(14), 승강기(14)에 설치되어서 전후 안내면(20)에 의해 안내되며, 전후 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롤러(30), 전후 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롤러(30)를 전후 안내면(20)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장치 및 승강기(14)에 설치되어 측방 안내면(20)에 의해 안내되며, 길이 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롤러(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14750A 1992-07-31 1993-07-30 자동창고용물품출입장치 KR100296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04154 1992-07-31
JP20415492A JPH0656210A (ja) 1992-07-31 1992-07-31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4204156A JP2874465B2 (ja) 1992-07-31 1992-07-31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92-204156 199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141A true KR950003141A (ko) 1995-02-16
KR100296479B1 KR100296479B1 (ko) 2001-10-24

Family

ID=2651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750A KR100296479B1 (ko) 1992-07-31 1993-07-30 자동창고용물품출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55976A (ko)
EP (1) EP0581234B1 (ko)
KR (1) KR100296479B1 (ko)
DE (1) DE69307619T2 (ko)
ES (1) ES2100402T3 (ko)
SG (1) SG94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8999T2 (de) * 1994-02-07 1999-12-02 Daifuku Kk Ein- und Auslagerungsvorrichtung bei automatisierten Warenlagern
US5555958A (en) * 1995-03-06 1996-09-17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Supporting and guid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a post for shelf storage and retrieval devices
DE10325937B4 (de) * 2003-06-07 2005-06-23 Schmitt Aufzüge GmbH Aufzug mit einer seilgetriebenen Kabine
CN103748028A (zh) * 2011-08-24 2014-04-2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滚子导向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169A (en) * 1935-09-10 1937-11-23 Otis Elevator Co Elevator roller guide shoe
DE1285396B (de) * 1966-09-22 1968-12-12 Demag Zug Gmbh Hublader mit einem in geschlossener Kastentraegerbauweise ausgebildeten Hubmast
US3881424A (en) * 1968-06-14 1975-05-06 Interlake Inc Storage and retrieval arrangement
FR2044635A1 (ko) * 1969-05-06 1971-02-26 Fenwick Manutention Ste Indle
DE3020732C2 (de) * 1980-05-31 1985-01-10 Larf M. Frisch KG Förder- und Lagertechnik, 7401 Pliezhausen Hochregalbediengerät
DE3205765C2 (de) * 1982-02-18 1986-04-24 Adolf 5758 Fröndenberg Theobald Einrichtung zum Ein- und Auslagern von selbsttragenden Paletten für Kragarmregallager
GB2162137B (en) * 1984-06-18 1988-07-20 Daifuku Kk Conveying system
JP2585576B2 (ja) * 1987-03-06 1997-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レ−ンの昇降キャレツジ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7619D1 (de) 1997-03-06
ES2100402T3 (es) 1997-06-16
DE69307619T2 (de) 1997-06-12
SG94671A1 (en) 2003-03-18
EP0581234B1 (en) 1997-01-22
EP0581234A1 (en) 1994-02-02
KR100296479B1 (ko) 2001-10-24
US5355976A (en) 199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270A (en) Elevator door arrangement
KR950011313A (ko)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KR890004040A (ko)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을 장비한 윈도우 리프트(window lift)
ATE31438T1 (de) Trag- und laufvorrichtung fuer schiebetuer, insbesondere fuer moebel.
US4773507A (en) Arrangement for mounting a lift driving device
KR950003141A (ko) 자동창고용 물품 출입장치
KR950017711A (ko) 리니어 모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US5207314A (en) Device for horizontally holding loading bases moving circulatively in vertical plane
US4856646A (en) Conveyor assemblies
KR930012529A (ko) 승강 반송장치의 캐리지 안내용 지주
KR880004243A (ko) 직선 미끄름 보올 베어링
SE8600084L (sv) Transportdon, i synnerhet staplingsfordon, even sasom skjutmasttruck
KR930002224A (ko) 승객용 콘베이어의 가이드기구
KR880014277A (ko) 무한직선운동용 슬라이더 축받이
KR840007703A (ko) 벨트 콘베이어
KR920004750A (ko) 왕복운동장치
JP4866849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かご案内装置
KR950029506A (ko) 반송장치
SU1253610A1 (ru) Узел роликовой направл ющей
KR100351274B1 (ko) 엘리베이터의비상정지장치
US4312132A (en) Rail type universal parallel ruler device
JPH0932827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601982B2 (ja) パレット移動装置の駆動装置
US10538390B2 (en) Conveying device
US3972412A (en) Vertical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