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072B1 -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072B1
KR950003072B1 KR1019920003371A KR920003371A KR950003072B1 KR 950003072 B1 KR950003072 B1 KR 950003072B1 KR 1019920003371 A KR1019920003371 A KR 1019920003371A KR 920003371 A KR920003371 A KR 920003371A KR 950003072 B1 KR950003072 B1 KR 95000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b
management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221A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072B1/ko
Publication of KR93001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072B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주제어기인 PC에 인터페이스부를 걸쳐 연결된 주통신케이블에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부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b는 주제어기인 PC로부터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부제어기에 전송하는 블럭신호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1c도는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부제어기로부터 주제어기인 PC에 전송하는 블럭신호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1d도는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제어시스템에서 제어를 위한 메인루틴의 한예를 나타낸다.
제2a도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모드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2b도는 모드번호의 선택에 의해 서브루틴으로 진행할 수 있는 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3도는 단말기조작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4a도는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의 한 예를 타나내고 있으며,
제4b도는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메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4c도는 주간운영계회서브루틴에서 메뉴의 번호 선택에 의해 주간계획을 세울 수 있는 실행수단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5a도는 단말기그룹설정모드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제5b도는 단말기그룹설정모드에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제5c도는 단말기그룹설정모드에서 단말기그룹설정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제6도는 단말기명칭부여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7도는 온도설정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8a도는 현재 시각설정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8b도는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메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8c도는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에서 메뉴의 번호 선택에 의해 현재시각을 설정할 수 있는 실행수단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9도는 단말기등록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10도는 현재자기그룹들의 ON/OFF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해서 발명되어 1992년 2월 10일자에 "PC를 이용한 주제어기와 외부장치를 연결시켜주는 확장 인터페이스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출원과 "냉난방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라는 명칭의 출원과 본 발명자에 의해서 발명되어 1992년 2월 17일자로 "이상이 이는 냉난방기의 검출방법"이라는 명칭의 출원과 관련된 출원이다.
본 발명은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컴퓨터(이하 "PC"라 함)을 이용하여 냉난방기를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냉난방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의 주변에는 여러가지 냉난방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학교, 호텔 등과 같은 곳에서는 수대 내지 수십대의 냉난방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냉난방기가 설치될 때는 냉난방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 냉난방기가 수십대 설치될 때는 냉난방기 모두를 관리하는 것이 그렇게 용이한 것은 아니다.
특히, 냉난방기의 관리는 여러가지 상황, 예를들면 가스의 누설여부, 냉난방기를 사용하기 위한 구동개시 또는 냉난방기를 다 사용한 후의 구동정지, 냉난방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환경에 필요한 온도의 설정 또는 변경뿐만 아니라, 구동시간의 설정 또는 필요한 냉난방기를 조정 또는 제어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것을 사람이 냉난방기가 설치된 장소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조정 또는 제어한다는 것은 관리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대의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특히 PC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상황에 따른 다양하게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과 그에 따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관리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여러대의 부제어기가 연결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연결된 여러대의 부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으로 : 상기 부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계획설정수단과 ; 난방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 상기 부제어기를 상기 운영계획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운영계획에 따라 구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운영계획과 별도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 조작수단과 ; 상기 관리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수단을 포함하는 주처리수단과 ; 상기 관리시스템이 동작되었을 때 상기 동작수단으로부터 관리에 필요한 각각의 관리항목을 프로그램하기 위한 수단과 프로그램의 완료후에 주처리수단으로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관리수단과 상기 서브관리수단으로 진행하기 위한 호출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서브관리수단은 관리내용에 따른 프로그램수단과 ; 프로그램의 완료후에 주처리수단으로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 대한 동작과 그에 따른 잇점은 다음부터 상세히 설명된다.
통상, PC는 시스템과 시스템간에 전기적인 신호, 즉 데이타를 주고받기 위해 입출력확장슬롯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확장슬롯에 의해 PC에 여러대의 기기들, 예를들면 냉난방기를 각자 제어할 수 있는 부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다.
주제어기로 사용되는 PC는 부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해 소정의 과정에 따라 동작하는데, 소정의 과정은 프로그램화되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주제어기는 인터페이스회를 걸쳐 연결되는 주통신케이블에 냉난방기를 제어하기 위한 부제어기가 병렬로 연결된 형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냉난방기는 부제어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부제어기는 주제어기에 의해서 집중관리되는데, 주제어기가 부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해 호출하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냉난방기의 부제어기에 ID코드를 부여하고 주제어기는 해당 부제어기의 ID코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특정 냉난방기부제어기를 하나씩 호출, 관리에 필요한 명령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냉난방기의 부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냉난방기와 제어장치를 주제어장치가 호출·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제어장치는 ID코드와 명령코드를 하나의 블럭신호로 하여 냉난방기의 제어장치에 송출한다. 냉난방기의 부제어기는 이러한 정보가 입력되면 ID코드를 분석자신의 ID코드와 일치하는데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주제어기로부터 ID코드와 자신의 ID코드가 일치하면, 냉난방기의 부제어기는 자신이 주제어장치로부터 호출된 것으로 인식하고 주제어기의 관리내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부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계획 설정수단은 주간운영계획을 만들기 위한 하나의 서브루틴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서브루틴은 스케쥴수정, 스케쥴추가, 스케쥴선택, 취소, 단말기재선택등에 의해 운영계획이 설정된다.
난방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의 단말기에 대해서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서브루틴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온도설정서브루틴은 단말기를 또는 그룹대상을 대상으로 온도설정 등을 할 수 있고, 온도의 설정 역시 운전온도, 최고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조작수단은 제어대상인 단말기에 대해서 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 운영하기 위한 것인가? 자기에 수동 ON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또는 자기에 수동 OFF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와 등과 같은 제어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할 수 있는 서브루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리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주처리수단은 불필요한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암호의 입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관리에 필요한 내용을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여러 제어항목에 따르는 모드의 서브루틴으로 진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서브관리수단은 상기 관리시스템이 동작되었을때 상기 동작수단으로부터 관리에 필요한 각각의 관리항목을 프로그램되어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부제어가 제어된다.
또 관리시스템은 상기 서브관리수단은 상기 서브관리수단으로 진행하기 위한 호출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서브관리수단은 관리내용에 따른 프로그램수단을 포함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관리기능의 완료후에 주처리수단으로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프로그램된 내용은 주처리인 PC에 의해 블럭신호로 되어 부제어기로 전송된다.
따라서, 냉난방기의 관리, 즉 여러가지 상황, 예를들면 가스의 누설여부, 냉난방기를 사용하기 위한 구동개시 또는 냉난방기를 다사용한 후의 구동장치, 냉난방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환경에 필요한 온도의 설정 또는 변경뿐만 아니라, 구동시간의 설정 또는 필요한 냉난방기를 조정 또는 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어 여러대의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시로 제어 또는 관리에 필요한 항목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러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주제어기어인 PC에 인터페이스부를 걸쳐 연결된 주통신케이블에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부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러한 제1a도를 참조하면, 주제어기인 PC(1)는 인터페이스카드(2)를 걸쳐 주통신케이블(3)과 연결되고, 이 주통신케이블(3)에는 여러대의 부제어기(4, 4', 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제어기(1)와 부제어기(4,4,4") 사이의 신호는 주통신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데, 제1b도는 PC(1)가 부제어기(4, 4', 4"…)에 명령 또는 제어하기 위한 디지탈신호로 된 블럭신호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블럭신호는 인터페이스카드(2)에서 FSK신호로 변환되어 부제어기(4, 4', 4"…)로 전송된다.
또, 제1c도는 부제어기(4, 4', 4"…)로부터 주제어기인 PC(1)의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부제어기(4, 4', 4"…)가 주제어기인 PC(1)에 보내는 신호를 나타내는데, FSK신호의 형태로 주통신선로(3)로 전송된 이 신호는 인터페이스카드(2)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PC(1)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주제어기인 PC가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부제어기를 호출하여 관리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인데 이러한 플로우차트에 따라 주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제어기인 PC에 전원을 인가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게 한 다음 블럭(102)로 진행하여, 제1b도와 같은 형태의 ID코드와 명령신호를 하나의 블럭신호로 하여 제어대상 부제어기에 명령신호를 송출한다.
제1d도는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제어시스템에서 제어를 우한 메인루틴에 관한 것으로, 제1d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PC를 구동하면 초기상태가 된다. 이 초기 상태에서 블럭(101)으로 진행하여 암호를 입력하게 된다. 암호가 입력되면 블럭(102)에 의해 PC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되지 않으면 블럭(103)을 걸쳐 블럭(101)으로 되돌아가 재차 일치되는 암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암호의 요구는 불필요한 사람이 PC를 부정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블럭(103)에 의해 틀리게 암호를 입력한 횟수가 체크되어, 특정횟수, 예를 들면 3회가 틀리게 되면 PC에서 제어를 우한 메인루틴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럭(102)에서 PC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가 일치되면 블럭(104)로 진행하여 암호의 변경여부가 판단된다. 암호의 변경이면 이전의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블럭(106)으로 진행하여 PC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되지 않으면 블럭(101)으로 되돌아 간다.
블럭(106)에서 PC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와 일치하면 블럭(107)에서 새로운 암호의 입력을 요구하게 되고 새로운 암호가 입력되면 이를 다음부터 사용되는 암호로 기억하고 블럭(101)으로 복귀한다.
블럭(104)에서 암호의 변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블럭(108)로 들어가서 다음에 차례로 설명되는 서브루틴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a도는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특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의 명칭들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는 데, 이러한 모드는 단말기 수동조작 모드, 주간운영계획설정모드, 단말기그룹설정모드, 단말기명칭부여모드, 온도설정모드, 현재시각설정모드, 단말기등록모드 및 운전상태모드 등으로 메인루틴으로부터 진행할 수 있도록 서브루틴으로 구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새로운 모드를 서브루틴으로 하여 추가하거나 불필요한 모드는 삭제할 수 있다.
특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인루틴에서 서브루틴으로 들어가기 위한 방법으로는 디스펠레이상에서 모드로 커서를 이동하여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각각의 모드에 대해서 번호를 부여하고, 선택하려는 모드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하였을 때, 원하는 모드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제2a도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모드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희망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그 모드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희망하는 모드기능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제2a도는 하나의 예로서 단말기수동조작모드는 번호 "0"이, 주간운영계획설정모드는 번호 "1"이, 단말기 그룹 설정모드는 번호 "2"가, 단말기명칭부여모드는 번호 "3"이, 온도설정모드는 번호 "4"가, 현재시각 설정모드는 번호 "5"가, 단말기 등록모드는 번호 "6"이 그리고 운전상태모드는 번호 "7"이 부여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모드에 대한 사용에 필요한 도움말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추가될 수 있다.
제2a도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모드에서 희망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그 모드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그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으로 진행할 수 있는 루틴은 제2b도에 의해서 설명되는데, 특정모드로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뉴의 선택을 위한 루틴으로 들어가면 블럭(201)에 의해 도움말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 도움말이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202)로 진행하여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도움말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가 끝난 후 블럭(203)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를 판단한다. 취소라면 블럭(201)으로 진행하고 취소가 아니면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도움말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블럭(201)에서 도움말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는 블럭(204)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를 판단한다.
블럭(204)에 취소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되돌아가게 되고, 취소가 아니면 블럭(205)로 진행하여 실행선택여부를 묻는다.
블럭(205)에서 실행이 선택되지 않으면 블럭(201)으로 진행하고, 실행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206)으로 진행하여 특정 모드가 선택되어 그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으로 진행해야 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번호를 비교판단하는데 블럭(206)에서 부터 블럭(213)은 이러한 선택된 번호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온도설정모드에 해당하는 번호 "3"가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210)에서 번호 "4"가 선택되었다는 것이 판단되고 온도설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특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그 모드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그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으로 진행할 수 있는 루틴인 제2b도에서 특정모드에 해당하는 번호가 없을 경우에는 블럭(214)로 진행하여 종료 여부를 묻는다. 블럭(214)에서 종가 선택되면 기능을 중단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종료가 아니라면 블럭(201)으로 진행하여 상기과정을 되풀이한다.
다음부터는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으로 진행하는 설정과정과 이러한 서브루틴에서의 동작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조작모드와 이에 따른 단말기조작 서브루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단말기조작서브루틴을 나타내고 있는데, 단말기조작모드는 메인루에서 키에 의해 번호 "0"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서 단말기조작모드가 선택되면, 제2b도의 블럭(206)에 의해 단말기조작서브루틴으로 진행하게 된다.
단말기조작서브루틴에서는,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단말기조작의 취소여부를 판단되고, 취소이면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취소가 아니면, 블럭(302)으로 진행하여 제어대상, 즉, 단말기대상인가? 그룹대상인가? 전체대상인가?를 판단한다.
제어대상이 단말기대상으로 판단되면 블럭(303)으로 진행하고, 제어대상이 그룹대상으로 판단되면 블럭(309)으로 진행하고, 제어대상이 전체이면 블럭(315)으로 진행하다.
제어의 대상이 단말기대상으로 판단되어 블럭(303)으로 진행하면, 블럭(304)에서 설정의 종료여부가 판단되고,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고 종료가 아니라면 블럭(305)으로 진행하여, 필요한 기능, 즉 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 운영하기 위한 것인가? 자기에 수동 NO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또는 자기에 수동 OFF코드를 전송하기 이한 것인가?와 같은 제어내용이 판단된다.
즉, 블럭(305)의 판단 내용이 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서 운영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06)으로 진행하여 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고 블럭(304)으로 복귀한다.
블럭(304)에서 설정의 종료여부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305)의 판단 내용이 자기에 수동 ON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07)으로 진행하여 자기에 수동 ON코드를 전송하고 블럭(304)으로 복귀한다.
블럭(304)에서 설정의 종료여부의 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305)의 판단 내용이 자기에 수동 OFF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07)으로 진행하여 자기에 수동 OFF 전송하고 블럭(304)으로 복귀한다. 블럭(304)에서 설정의 종료여부의 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제어의 대상이 그룹대상으로 판단되어 블럭(309)으로 진행하면, 블럭(310)에서 설정의 종료여부가 판단되고,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고 종료가 아니라면 블럭(311)으로 진행하여, 필요한 기능, 즉 그룹내에 있는 모든 자기에 대해 자동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서 운영하기 위한 것인가? 그룹내에 있는 모든 자기에 ON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그룹내에 있는 모든 자기에 OFF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와 같은 제어내용이 판단된다.
즉, 블럭(311)의 판단내용이 그룹내의 모든 자기를 자동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서 운영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12)으로 진행하여 그룹내의 모든 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서 운영되도록 하고 블럭(310)으로 복귀한다.
블럭(310)에서 설정 종료 여부의 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311)의 판단내용이 그룹내의 모든 자기에 ON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13)으로 진행하여 그룹내의 모든 자기에 ON코드를 전송하고 블럭(310)으로 복귀한다.
블럭(310)에서 설정 종료 여부의 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311)의 판단내용이 그룹내의 모든 자기에 OFF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14)으로 진행하여 그룹내의 모든 자기에 OFF코드를 전송하고 블럭(310)으로 복귀한다.
제어의 대상이 전체단말기대상으로 판단되어 블럭(315)으로 진행하면, 블럭(316)에서 설정의 종료여부가 판단되고,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고 종료가 아니라면 블럭(317)으로 진행하여, 필요한 기능, 즉 전체단말기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서 운영하기 위한 것인가? 전체단말기를 대상으로 ON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전체단말기를 대상으로 OFF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와 같은 제어내용이 판단된다.
즉, 블럭(317)의 판단내용이 전체단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서 운영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18)으로 진행하여 전체단말기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스케쥴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고 블럭(316)으로 복귀한다. 블럭(316)에서 설정의 종료여부의 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317)의 판단 내용이 전체 단말기에 ON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19)로 진행하여 전체 단말기 ON코드를 전송하고 블럭(316)으로 복귀한다.
블럭(316)에서 설정의 종료여부의 판단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블럭(301)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가 판단되고 취소라면 메인루틴, 즉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317)의 판단내용이 전체단말기에 OFF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블럭(320)으로 진행하여 전체단말기에 OFF코드를 전송하고 블럭(316)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주간운영계획모드와 이에 따른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a도는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을 나타내고 제4b도는 주간운영계획을 만들기 위한 메뉴의 예를 나타내고 제4c도는 메뉴선택블럭(405)가 실행블럭(406)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키에 의해서 번호 "1"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 주간운영계획모드가 선택되면, 등록된 모든 자기를 대상으로 운영계획을 설정할 수 있는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에서, 블럭(401)로 진행하여 자기지정번호의 선택인가 종료인가를 판단하고 종료라면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진행한다.
지정번호가 선택되면 블럭(404)를 걸쳐 블럭(405)으로 진행하여 주간운영계획을 만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게 하고 블럭(406)에서 실행한 다음 다시 블럭(405)으로 되돌아온다.
주간운영계획서브루틴은 예를들면 제4b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케쥴수정, 스케쥴추가, 스케쥴삭제, 스케쥴선택, 취소, 단말기재선택 등의 메뉴로 구성되고 각각의 메뉴에 대해서는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스케쥴수정은 번호 "0"이, 스케쥴추가는 번호 "1"이, 스케쥴삭제는 번호 "2"가, 스케쥴선택은 번호 "3"이, 취소는 번호 "4"가, 단말기재선택은 번호 "5"가 부여되어 커서의 이동 또는 번호의 입력으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번호의 선택에 의해 특정메뉴로 들어가는 예를 제4c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번호 "1"이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411)에 의해 블럭(412)로 진행하여 커서가 위치한 스케쥴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정이 끝났을 때는 제4a도의 블럭(405)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2"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413)에 의해 블럭(414)로 진행하여 스케쥴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가 끝났을 때는 제4a도의 블럭(405)으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3"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415)에 의해 블럭(416)으로 진행하여 스케쥴을 삭정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블럭(417)으로 진행하여 삭제의 취소여부를 묻는다. 삭제라면 블럭(419)로 진행하여 스케쥴을 삭제하고, 제4a도의 블럭(405)으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하고, 취소라면 블럭(418)을 걸쳐 제4a도의 블럭(405)으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3"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420)에 의해 블럭(421)으로 진행하여 스케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이 끝났을 때는 제5a도의 블럭(405)으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번호 "4"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422)에 의해 취소로 되고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로 복귀하게 된다.
번호 "5"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423)에 의해 블럭(442)으로 진행하여 자기를 재지정하게 하고 재지정 후 제4a도의 블럭(405)으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또, 이러한 과정은 번호 "4"가 선택되어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로 복귀하지 않을 때가지 되풀이된다.
키에 의해서 번호 "2"가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 단말기그룹설정모드가 선택되면, 모든 자기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 그룹을 짓거나 해당 그룹에서 삭제 등을 하기 위한 단말기그룹설정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단말기그룹설정서브루틴으로 진행되면, 그룹번호추가선택, 그룹삭제, 단말기지정, 번호표시, 명칭표시, 그룹명칭수정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은 제5a도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5c도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플로우챠트를 나타내는데, 단말기그룹설정서브루틴에서 블럭(491)으로 진행하여 특정기능을 선택하도록 하고, 특정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블럭(492)으로 진행하여 이를 수행한 후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플로우챠트는 제5b도에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특정기능은 차례로 설명된다.
즉, 그룹번호추가모드가 선택되면, 블럭(460)으로 진행하여 선택여부를 묻고 선택이라면 블럭(461)으로 진행하여 해당 자기번호를 선택하고 블럭(462)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그러나, 블럭(461)에서 삭제가 아니라면, 그대로 블럭(462)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그룹삭제모드가 선택되면, 블럭(465)으로 진행하여 삭제여부를 묻고 삭제라면 블럭(466)으로 진행하여 해당 삭제그룹을 선택하고 블럭(467)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그룹을 삭제하고 블럭(468)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그러나, 블럭(465)에서 삭제가 아니라면, 그대로 블럭(468)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단말기지정모드가 선택되면 블럭(471)으로 진행하여 해당 번호를 지정하게 하고, 블럭(472)으로 진행하여 선택인가? 제거인가? 작업의 종료인가? 여부를 묻고, 선택이라면 블럭(473)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블럭(472)에서 제거라면, 블럭(475)으로 진행하여 현재그룹에 등록된 자기중에서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가지를 해제하고 블럭(474)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그룹명칭수정모드가 선택되면, 블럭(481)으로 진행하여 명칭재입력인가? 등록/변경인가? 종료인가?를 묻고, 명칭재입력이라면, 블럭(482)으로 진행하여 입력내용을 삭제하고 재입력상태로 한 다음, 블럭(481)로 복귀한다.
등록/변경이라면 블럭(484)으로 진행하여 명칭을 등록하거 변경하도록 하고 입력된 명칭을 그룹명칭으로 등록하고 블럭(485)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블럭(481)에서 종료라면, 블럭(485)으로 진행하여 단말기그룹설정모드로 복귀한다.
다음은 단말기명칭부여모드와 이에 따른 단말기명칭부여서브루틴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단말기명칭부여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에 의해서 번호 "3"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서 단말기명칭부여모드가 선정되며, 등록된 모든 자기를 대상으로 명칭을 부여할 수 있도록 명칭변경루틴으로 진행한다.
즉, 명칭변경루틴에서, 블럭(501)로 진행하여 명칭변경인가? 묻고 명칭변경이면, 블럭(502)로 진행하여 명칭의 등록/변경인가? 삭제인가? 여부 판단하여 명칭의 등록/변경이면 블럭(504)로 진행한다. 블럭(504)에서 명칭 재입력인가? 명칭의 등록/변경인가? 또는 작업의 종료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명칭의 재입력이면 블럭(505)로 진행하여 명칭을 재입력시키고 명칭의 재입력이 끝나면, 명칭의 재입력인가? 명칭의 등록/변경인가? 또는 작업의 종료인가 여부를 묻는 블럭(504)로 진행한다.
블럭(504)에서 명칭의 등록/변경이면 블럭(506)으로 진행하여 명칭을 등록시키고 블럭(505)으로 진행하여 작업의 종료인가? 명칭변경인가? 여부를 묻는 블럭(501)로 진행한다.
블럭(503)에서 등록된 명칭의 삭제이면, 블럭(509)로 진행하여 등록된 명칭을 삭제하고, 명칭변경인가? 여부를 묻는 블럭(501)로 진행한다.
블럭(501)에서 명칭의 변경이 아니면 블럭(510)으로 진행하여 작업을 종료하고 메인루틴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온도설정모드와 이에 따른 온도설정서브루틴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는 이러한 온도설정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낸다.
키에 의해서 번호 "4"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 온도설정모드가 선택되면 각각의 자기에 대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즉, 온도의 설정루틴에서 블럭(601)으로 진행하여 온도설정인가? 여부를 묻고 온도설정이면, 블럭(602)으로 진행하여 단말기대상 온도설정인가? 그룹대상온도설정인가? 여부를 묻는다. 단말기대상온도설정이며 블럭(603)을 걸쳐 블럭(604)에서 대상자기번호의 입력인가? 종료인가? 여부를 묻는다. 블럭(604)에서 대상자기번호가 입력되면 블럭(605)로 진행하여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고온도의 설정인가? 또는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05)에서 운전온도의 설정이면, 블럭(606)을 걸쳐 운전온도에 대한 설정으로 되어 블럭(607)에서 온도를 지정한 다음, 블럭(605)으로 복귀하여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고온도 설정인가? 또는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05)에서 최대온도의 설정이면, 블럭(608)을 걸쳐 블럭(609)로 진행 최대온도를 지정한 후, 블럭(605)으로 복귀하여, 또 다시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고온도의 설정인가? 또는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05)에서 종료이면 블럭(610)를 걸쳐, 블럭(604)으로 복귀하여 대상 자기번호의 입력인가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05)에서 종료하면 블럭(620)을 걸쳐 온도설정여부를 묻는 블럭(601)으로 복귀한다.
블럭(602)에서 그룹대상온도설정이면, 블럭(611)으로 진행하여 그룹번호의 입력인가 종료인가 여부를 묻게 된다. 블럭(611)에서 대상그룹번호가 입력되면 블럭(612)로 진행하여 그룹온도의 설정인가? 작업의 종료인가? 여부를 묻는다. 블럭(612)에서 온도설정이면, 블럭(613)으로 진행하여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대온도의 설정인가? 작업의 종료인가? 여부를 묻는다.
운전온도의 설정이면 블럭(614)을 걸쳐 블럭(615)에서 운전온도를 지정한 후, 블럭(613)으로 복귀하여 재차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고온도의 설정인가? 또는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13)에서 최대온도의 설정이면, 블럭(615)를 걸쳐 블럭(616)로 진행, 최대온도를 지정한 후, 또 다시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고온도의 설정인가? 또는 종료인가?를 묻는 블럭(613)으로 진행하여 블럭(613)에서 다시 운전온도의 설정인가? 최고온도의 설정인가? 또는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13)에서 종료이면 블럭(612)를 걸쳐 대상그룹번호의 입력인가 종료인가를 묻게 된다.
블럭(612)에서 대상그룹번호의 입력이면 상기 과정을 되풀이하여 그룹온도 또는 작업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작업의 종료이면 블럭(618)를 걸처 블럭(601)로 진행하여 온도의 설정기능의 수행 또는 초기모드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현재시각설정모드와 이에 따른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현재시각 설정모드는 제8도에 나타나 있는데, 제8a도는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8b도는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메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8c도는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에서 메뉴의 번호 선택에 의해 현재시각을 설정할 수 있는 실행수단의 한 예를 나타낸다.
키에 의해서 번호 "5"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 현재시각설정모드가 선택되면, 현재의 시각 설정할 수 있는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에서, 블럭(701)로 진행하여 현재시각에 필요한 메뉴를 선택하게 하고 실행을 위한 블럭(702)으로 진행한다.
현재시각설정서브루틴은, 예를 들면 제8b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년, 월, 일, 오전/오후, 시간, 분 등의 메뉴로 구성되고 각각의 메뉴에 대해서는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즉, 년은 변호 "0"이, 월은 번호 "1"이, 일 번호 "2"가 오전/오후는 번호 "3"이, 시간은 번호 "4"가, 분은 번호 "5"가 부여되어 커서의 이동 또는 번호의 입력으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번호의 선택에 의해서 특정 메뉴로 들어가는 예를 제8c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번호 "0"이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711)에 의해 블럭(712)로 진행하여 년을 입력하게 하고 입력이 끝났을 때는 제7a도의 블럭(710)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1"이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713)에 의해 블럭(714)로 진행하여 월을 입력하게 하고 입력이 끝났을 때는 제8a도의 블럭(701)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2"가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715)에 의해 블럭(716)로 진행하여 일을 입력하게 하고 입력이 끝났을 때는 제7a도의 블럭(701)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3"이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717)에 의해 블럭(718)로 진행하여 오전/오후를 입력하게 하고 입력이 끝났을 때는 제8a도의 블럭(701)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4"가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719)에 의해 블럭(720)로 진행하여 시간을 입력하게 하고 입력이 끝났을 때는 제8a도의 블럭(701)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번호 "5"이 선택되었을 때는 블럭(721)에 의해 블럭(722)로 진행하여 분을 입력하게 하고 입력이 끝났을 때는 제8a도의 블럭(723)로 되돌아와 또 다른 항목의 메뉴를 선택하게 한다.
특정 번호의 선택으로 블럭(723)으로 진행하여 취소여부에 따라 메인루틴인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하게 할 수도 있다.
키에 의해서 번호 "6"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 단말기등록모드가 선택되면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해 단말기등록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단말기등록루틴에서 블럭(801)로 진행하여 등록인가? 삭제인가? 또는 작업종료인가?를 묻게 되고, 등록이면 블럭(802)로 진행하여 자기 또는 그룹으로 등록되지 않은 번호를 선택하게 하여 블럭(803)으로 진행하여 등록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고, 블럭(804)으로 진행하여 시스템에서 제어대상자기로 등록을 하고 메인루틴으로 복귀한다.
블럭(801)에서, 삭제이면 블럭(805)로 진행하여 이미 등록된 번호 중에서 대상자기를 선택하고 하고 블럭(808)으로 진행하여 삭제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고, 블럭(807)으로 진행하여 등록된 자기를 시스템에서 제어대상 자기로부터 해제하고 메인루틴으로 복귀한다.
또, 블럭(801)에서 작업의 종료이면 메인루틴으로 복귀하여 단말기등록에 대한 루틴을 완료한다.
키에 의해서 번호 "7"이 입력되거나, 커서에 의해 운전상태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각각의 자기에 대한 운전상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운전상태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운전상태서브루틴에서 블럭(851)로 진행하여 현재 자기그룹과 자기의 ON/OFF상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블럭(852)으로 진행하여 메인루틴으로의 복귀인가? 전원의 OFF인가? 여부를 묻고, 메인루틴으로의 복귀라면 제1d도의 블럭(108)으로 복귀한다.
블럭(852)에서, 전원의 OFF라면 블럭(853)으로 진행하여 전원 OFF를 위한 암호를 입력하게 하고, 블럭(854)으로 진행하여 암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암호가 일치되면, 블럭(855)으로 진행하여 전원을 OFF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블럭(854)에서 암호가 일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블럭(851)으로 복귀하여 현재 자기그룹과 자기의 ON/OFF상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블럭(852)으로 진행하여 메인루틴으로의 복귀인가? 전원의 OFF인가? 여부를 묻는 과정을 되풀이 한다.
따라서, 냉난방기의 관리, 즉 여러가지 상황, 예를 들면 가스의 누설여부, 냉난방기를 사용하기 위한 구동개시 또는 냉난방기를 다 사용한 후의 구동정지, 냉난방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환경에 필요한 온도의 설정 또는 변경뿐만 아니라, 구동시간의 설정 또는 필요한 냉난방기를 조정 또는 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어 여러대의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시로 제어 또는 관리에 필요한 항목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여러대의 부제어기가 연결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연결된 여러대의 부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한 괸리시스템으로 : 상기 부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계획설정수단과 ; 난방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 상기부제어기를 상기 운영계획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운영계획에 따라 구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운영계획과 별도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 조작수단과 ; 상기 관리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수단을 포함하는 주처리수단과 ; 상기 관리시스템이 동작되었을 때 상기 동작수단으로부터 관리에 필요한 각각의 관리항목을 프로그램하기 위한 수단과 프로그램의 완료후에 주처리수단으로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관리수단과 ; 상기 서브관리수단으로 진행하기 위한 호출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서브관리수단은 관리내용에 따른 프로그램수단과 ; 프로그램의 완료후에 주처리수단으로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냉난방기의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관리시스템은 독립저인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관리시스템은 프로그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시스템.
KR1019920003371A 1992-02-29 1992-02-29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KR95000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71A KR950003072B1 (ko) 1992-02-29 1992-02-29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71A KR950003072B1 (ko) 1992-02-29 1992-02-29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21A KR930018221A (ko) 1993-09-21
KR950003072B1 true KR950003072B1 (ko) 1995-03-30

Family

ID=1932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71A KR950003072B1 (ko) 1992-02-29 1992-02-29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1603B2 (en) 2002-12-10 2010-02-16 Lg Electronics Inc. Centr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1603B2 (en) 2002-12-10 2010-02-16 Lg Electronics Inc. Centr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21A (ko)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8615A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EP1429082B1 (en) Centr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s
EP1137979B1 (en)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EP1290521B1 (en) Interface unit
US5990803A (en)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ultiple appliances using the same
US20020122064A1 (en) Data processing system utilizing discrete operating device
KR950003072B1 (ko) Pc를 이용한 냉난방기 관리 시스템
US66547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nteraction level,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therefor
EP0057970A2 (en) Control systems including control panels
KR101473985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맞춤형 통합 리모컨 생성 시스템
KR100748406B1 (ko) 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모컨 신호 설정방법 및 장치
JPH1133715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US20170060979A1 (en) Action Group Loading and Operation
JP2003102078A (ja)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通信方法
JP3729877B2 (ja) オペレーション装置
JP2003303228A (ja) 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のスケジュール設定方法およ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KR20000004578A (ko) 컴퓨터 이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화번호부관리방법
KR100207624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기위치 설정방법
JP2652088B2 (ja) 開閉駆動制御装置
JP2001331217A (ja) プラント制御監視装置
JPS62135098A (ja) 汎用リモ−トコントロ−ラ
JPH06162039A (ja) 作業指示表示システム
JP3497441B2 (ja) 制御用サーバ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040100571A (ko) 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다운로드받아서 표시하는원격제어기
JPH0820883B2 (ja) 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