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866Y1 -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866Y1
KR950002866Y1 KR2019890003673U KR890003673U KR950002866Y1 KR 950002866 Y1 KR950002866 Y1 KR 950002866Y1 KR 2019890003673 U KR2019890003673 U KR 2019890003673U KR 890003673 U KR890003673 U KR 890003673U KR 950002866 Y1 KR950002866 Y1 KR 950002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emitter
transistors
bas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930U (ko
Inventor
허동현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3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866Y1/ko
Publication of KR900017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신호 입력 레벨 검출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 입력 레벨 검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1: 트랜지스터 ZD1: 제너다이오드
D1, D2: 다이오드 R1∼R7: 저항
본 고안은 입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리잉(Rining) 신호를 검출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호 입력 레벨 회로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Vcc 전원 입력라인에 트랜지스터(Q5, Q6)의 에미터 및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저항(R4, R5)의 한측단과 다이오드(D1)의 애노우드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 Q6)의 각 베이스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 다이오드(D2)의 애노우드에 동시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7)의 에미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는 다이오드(D2)의 캐소우드와 연결되고, 그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와 다이오드(D3)의 캐소우드에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는 출력(Out)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저항(R6)을 거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연결되며 다이오드(D3)의 애노우드는 트랜지스터(Q4, Q8)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8, Q9)의 베이스에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는 저항(Q7)을 거쳐 접지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그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저항(R4)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와 저항(R1)에 동시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그 콜렉터는 저항(R2, R3)의 접속단과 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우드에 동시 연결되고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우드는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저항(R5)과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는 저항(R1, R2)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보면, 전원전압(Vcc)이 어느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너다이오드(ZD1)가 제너항복(ZENER BREAK DOWN)을 일으키므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로우' 전원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가 '턴온'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4)가 '온'되면 트랜지스터(Q8, Q9)의 베이스로 '하이' 전원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8, Q9)도 '턴온'하게되고 트랜지스터(Q9)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5∼Q7)도 '턴온'되며 트랜지스터(Q7)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도 '하이'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0)가 '턴온'하게 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에는 일정전압이 나타나게 되고 다시 이 전압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로 '로우' 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어 제너다이오드(ZD1)를 개방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8-Q9-Q5-Q5)의 전류원은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항복이 중지될때 계속 동작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신호 입력레벨 검출회로는 저항을 많이 사용하므로 집적회로의 면적이 넓어지고 또 동작이 개시되는 전압을 조절할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전원전압(Vcc)라인에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6, Q7)의 에미터 및 저항(R3)의 한측단과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우드단이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6, Q7)의 베이스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와 다이오드(D1)의 애노우드에 동시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는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와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와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및 다이오드(D2)의 캐소우드에 동시 연결되며 다이오드(D2)의 애노우드는 트랜지스터(Q5, Q8)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9, Q10)의 배이스에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는 저항(R5)을 거쳐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는 저항(R3)의 나머지 한측단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는 저항(R2)을 거쳐 접지로 연결되고 그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와 저항(R1)의 한측단에 동시 연결되며 저항(R1)의 다른 한측단은 제너 다이오드(ZD1)의 애노우드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 Q2)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저항(R4)을 거쳐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전원전압(Vcc)이 상승하여 어느 일정전압 이상이 되면 제너 다이오드(ZD1)가 제너항복을 일으키면 트랜지스터(Q1, Q4)의 베이스로 '하이'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 Q4)는 턴-온 하게되고 트랜지스터(Q4)가 '온'됨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3, Q5)도 '온'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1-Q4-Q3-Q5)의 전류원이 동작을 시작하고 이로인해 트랜지스터(Q6-Q7-Q8-Q9-Q10) 및 다이오드(D1, D2)의 전류원이 동작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로 '하이'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1)도 턴온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에는 일정전압이 출력되고 이때 이 전압은 트랜지스터(Q2)이 베이스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켜 트랜지스터(Q1, Q4)의 전류원을 차단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에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항복이 중단될때 까지 전압이 계속 나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저항을 줄여 집적회로의 면적을 줄일수 있고 저항(R1, R3)을 조절해서 전류 래치의 개시 전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동작개시 전압을 조절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전압 증가로 인해 제너항복을 일으키는 제너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가 제너항복을 일으킬때 동작되는 트랜지스터(Q1, 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동작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지스터(Q3, 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6∼Q10) 다이오드(D1, D2)와, 상기의 트랜지스터(Q8)와 다이오드(D2)의 접속단에 연결되어 그 에미터로 출력을 뽑아내는 트랜지스터(Q11)와, 상기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트랜지스터(Q1, Q4)의 전류원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Q2)와, 동작개시 전압을 조절할수 있는 저항(R1, R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레벨 검출회로.
KR2019890003673U 1989-03-30 1989-03-30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KR950002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673U KR950002866Y1 (ko) 1989-03-30 1989-03-30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673U KR950002866Y1 (ko) 1989-03-30 1989-03-30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930U KR900017930U (ko) 1990-10-05
KR950002866Y1 true KR950002866Y1 (ko) 1995-04-15

Family

ID=1928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673U KR950002866Y1 (ko) 1989-03-30 1989-03-30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8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930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0801A (en) Self-powered nonregenerative fast gate turn-off FET
KR900015454A (ko) 유도성 부하상의 파워 mos 트랜지스터 제어회로
KR0171713B1 (ko) 전력용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US4954917A (en) Power transistor drive circuit with improved short circuit protection
US4481434A (en) Self regenerative fast gate turn-off FET
GB2195506A (en) Cascode bimos driving circuit
JPH05308717A (ja) 短絡保護回路
KR950030451A (ko) 파워 소자 구동 회로
US5914619A (en) Trigger circuit for a power fet having a source-side load
KR910010869A (ko) 전력 fet용 적응 게이트 방전 회로
US5617285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detecting undervoltage
US5506478A (en) AC ignition system with optimized electronic circuit
KR950002866Y1 (ko) 신호입력 레벨 검출회로
EP0168419A1 (en) Zener referenced threshold detector with hysteresis
KR870008240A (ko) 기준 전압 회로
EP0556744B1 (en) Device for limiting the working voltage for mechanical switches in telephony
US5568043A (en) Du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JPH06276072A (ja) 半導体スイッチの駆動制御回路
US5616971A (en) Power switching circuit
US5235215A (en) Memory device for use in power control circuits
RU2035841C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ки
JPS61120521A (ja) トランジスタ駆動回路
JP2697196B2 (ja) 出力回路
SU1661972A1 (ru) Триггер
SU1547054A2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