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98Y1 -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98Y1
KR950002598Y1 KR92017457U KR920017457U KR950002598Y1 KR 950002598 Y1 KR950002598 Y1 KR 950002598Y1 KR 92017457 U KR92017457 U KR 92017457U KR 920017457 U KR920017457 U KR 920017457U KR 950002598 Y1 KR950002598 Y1 KR 950002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aft
power transmission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7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838U (ko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7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598Y1/ko
Publication of KR940008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제1도는 종래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제2a도는 자동으로 용지를 급지하는 상태도, 제2b도는 수동으로 용지를 급지하는 상시도.
제3도는 본 고안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로서, 제4a도는 자동으로 용지를 급지하는 상태도, 제4b도는 수동으로 용지를 급지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프레임
4 : 레버 4a :회동편
5 : 솔레노이드 6 : 감지센터
7 : 제1샤프트 7a : 제2샤프트
8 : 제1급지롤러 8a : 제2급지롤러
9 : 구동기어 10 : 동력전달기어
11 : 제1종동기어 11a : 제2종동기어
본 고안은 복사기, 레이져빔 프린터, 팩시밀리와 같은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수동급지를 할때 사용자가 수동급지 용지만을 넣어주면 급지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기에는 용지를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카세트가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카세트 내의 용지를 한장씩 자동으로 급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카세트와 그 크기가 맞지 않은 용지(편지봉투, OHP필림등)를 수동으로 급지할 수 있도록 용지급지 장치를 갖게된다.
종래의 용지급지 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1)내의 프레임(22)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3)의 일측끝단에는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종동기어(2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23)는 프레임(22) 내측으로 샤프트(2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용지를 급지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급지롤러(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2)내로 착, 탈 가능하게 장착된카세트(26)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가이드장공(27)이 형성된 커버(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가이드장공(27)에 안내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판(29)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는 수동으로 공급되는 용지가 정확하게 급지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판(30)이 서로 연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26)에 용지(31)를 넣고 상기 카세트(26)의 상부로 커버(28)를 씌운 다음 카세트(26)를 본체(21)내의 프레임(22)내로 밀어넣으면 상기 프레임에 카세트(26)가 장착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카세트(26)내의 용지를 급지시킬 경우에는 커버(28)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29)을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급지버튼을 선택하면 되고 용지를 수동으로 급지시킬 경우에는 이동판(29)을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우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이동판(29)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판에 안내되도록 수동급지 용지를 밀어넣으면 된다.
즉, 카세트(26)내의 용지(31)를 자동으로 급지시키기 위해 급지버튼을 선택하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이 동력전달 수단을 거쳐 샤프트(23)의 일측 끝단에 고정된 종동기어(24)를 회전시킴으로 프레임(22)에 지지설치된 샤프트(23)와 상기 샤프트의 프레임(22)내측에 설치된 한쌍의 급지롤러(25)가 반시계방향(도면상화살표방향)으로 함께회전하고 이에 따라 카세트(26)내의 용지(31)가 한장씩 자동으로 급지된다.
상기에서 급지롤러(25)의 회전에 의해 카세트(26)내의 용지가 한장씩 급지되는 것은 카세트(26)내에 밑판(32)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스프링(33)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판(32)의 상부에 용지(31)가 놓여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또한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키기 위해 이동판(29)을 우측으로 밀면 상기 이동판이 카세트(26)상부에 설치된 커버(28)의 좌, 우측 가이드 장공(27)에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되어 이동완료되는데, 상기 이동판(29)이 우측으로 이동완료된 상태에서는 이동판의 내측부가 급지롤러(25)의 하부로 들어가 있으므로 카세트(26)내의 용지(31)는 이동판(29)에 의해 눌러져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용지(31)가 급지롤러(25)와 일정간격 떨어져 있게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이동판(29)의 상부에 연동설치된 한쌍의 가이드판(30)을 이동시켜 급지하고자 하는 수동급지 용지의 폭과 동일축으로 맞춘다음 상기 가이드판(30)에 안내되도록 수동급지 용지를 밀어넣으면 용지의 선단이 급지롤러(25)의 하부에 물리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급지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급지롤러(25)가 회전하여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킨다.
한편 자동 및 수동에 의해 급지되어 이송되는 용지는 본체(21)내부에 설치된 상, 하부 공급롤러(34), (34a)의 회전에 의해 계속 공급되는데, 이때 기기 내부에 설치된 프린팅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상에 프린팅을 행한다.
그러나 종래 복사기기의 용지 공급장치는 용지를 자동으로 급지시키다가 수동으로 급지시키거나 수동으로 급지시키다가 자동으로 급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동판을 선택 이동시켜야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짐과 함께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동급지시에는 사용자가 가이드레일 내로 수동급지 용지만 넣으면 급지롤러가 회전되어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내의 프레임 일측으로 탄력을 갖도록 힌지 결합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수동급지용지 인입시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는 감지센터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에 흰지결합된 회동편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샤프트 및 레버의 타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에 흰지결합된 회동편이 타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샤프트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됨과 함께 제1, 2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 2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력수단과,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제1샤프트가 회전할때 함께 회전하면서 카세트내의 용지를 급지시키는 제1급지롤러 및 제2샤프트에 설치되어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제2샤프트가 회전할때 함께 회전 하면서 외부에서 인입되는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키는 제2급지롤러로 구성된 본 고안의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 복사기기의 용지급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요부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내의 프레임(2) 일측으로 스프링(3)에 의해 탄력을 갖도록 레버(4)를 흰지결합하여 상기 레버가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본체(1)의 일측 상부에는 감지센서(6)를 설치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수동급지 용지의 인입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5)를 동작시키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2)내에는 레버(4)를 힌지결합하여 상기 레버가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본체(1)의 일측 상부에는 감지센서(6)를 설치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수동급지 용지의 인입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5)를 동작시키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2)내에는 레버(4)를 힌지결합하여 상기 레버가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본체(1)의 일측 상부에는 감지센서(6)를 설치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수동급지 용지의 인입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5)를 동작시키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2)내에는 레버(4)의 일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2)에 힌지 결합된 회동편(4a)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1샤프트(7)를 설치함과 함께 레버(4)의 타단은 프레임(2)에 힌지결합된 회동편(4a)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1샤프트(7)를 설치함과 함께 레버(4)의 타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2)에 힌지결합된 회동편(4a)의 타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2샤프트(7a)를 설치하여 상기 제1, 2샤프트(7), (7a)가 레버(4)의 회전시 상, 하로 교호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1샤프트(7)에는 한쌍의 제1급지롤러(8)를, 제2샤프트(7a)엔은 제2급지롤러(8a)를 각각 설치하여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샤프트(7)와 제2샤프트(7a)가 동시에 회전할때 제1급지롤러(8)와 제2급지롤러(8a)도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프레임(2)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니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9)와, 레버(4)의 힌지축에 구동기어(9)와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10)와, 제1샤프트(7)에 동력전달기어(10)와 접속되도록 고정되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제1샤프트(7)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11) 및 제2샤프트(7a)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11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에는 착, 탈 가능하도록 카세트(12)를 장착하고 있고 상기 카세트의 상부에는 커버(13)를 설치하며 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판(14)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동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설명부호 15 : 용지, 16 :밀판, 17 : 스프링, 18, 18a :공급롤러이다.
카세트(12)내에 용지(15)를 넣은 다음 커버(13)를 덮고 상기 카세트(12)를 본체(1)내의 프레임(2)로 밀어 넣으면 상기 프레임 카세트(12)가 장착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카세트(12)내의 용지(15)를 자동으로 급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급지버튼을 선택하면 모터에 구동력이 프레임(2)에 설치된 구동기어→레버(4)의 힌지축에 설치된 동력전달기어(10)→제1샤파트(7)에 고정된 제1종동기어(11)로 전달되므로 제1샤프트(7)가 회전하고 이에따라 제1샤프트에 설치된 한쌍의 제1급지롤러(8)가 제4도 a)와 같이 카세트(12)내의 용지(15)와 접속된 상태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므로 상기용지(15)가 급지된다.
상기에서 카세트(12)내의 용지(15)와 제1급지롤러(8)가 접속되는 것은 카세트(12)내에 밀판(16)이 스프링(17)으로 탄력설치되어 용지(15)를 상방으로 밀고있는 레버(4)는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3)에 의해 시계방향 회전력을 갖고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때 동력전달기어(10)의 회전력을 받아 제2종덩기어(11a)도 회전하므로 제2샤프트(7a)와 함께 제2급지롤러(8a)가 회전하지만 기설명된 바와같이 레버(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력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제2급지롤러(8a)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어 제2급지롤러의 회전에 의해서는 용지를 급지시킬 수 없다.
또한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킬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세트(12)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13)의 상부 가이드판(14)을 조절하여 그 폭이 수동급지 용지의 폭과 동일하게 맞춘 다음 상기 가이드판(14)에 안내되도록 용지를 인입시키면 되는데, 이때 인입되는 수동급지 용지의 선단이 제2급지롤러(8a)의 하방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이 용지의 인입상태를 본체(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감지센터(6)가 감지하여 솔레노이드(5)를 동작시킴으로 레버(4)가 스프링(3)의 탄력을 받으며 흰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함께 프레임(2)에 힌지결합된 회동편(4a)도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샤프트(7a)에 설치된 제2급지롤러(8a)는 제4도 b)와 같이 이동하여 수동급지용지의 선단과 접속됨과 함께 제1샤프트(7)에 설치된 제1급지롤러(8)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카세트(12)내의 용지(15)와는 일정간격 떨어지게된다.
이와동시에 모터가 구동하고 이구동력은 구동기어(9)→동력전달기어(10)→제2종동기어(11a)로 전달되므로 제2샤프트(7a)와 함께 제2급지롤러(8a)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킨다.
이때 제1급지롤러(8)는 기설명된 바와같이 카세트(12)내의 용지(15)와 일정간격 떨어져 있으므로 그 사이로 제2급지롤러(8a)에 의해 급지되는 수동급지 용지가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수동급지용지를 급지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5)의 동작과 제2급지롤러(8a)의 회전은 수동급지 용지가 본체(1)내부에 설치된 상, 하 공급롤러(18), (18a)사이로 물리는 순간 동작 및 회전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와동시에 레버(4)는 스프링(3)의 복원력을 받아 첨부도면 제4도의 제4a도와 같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자동으로 용지를 급지시키다가 수동으로 요지를 급지시키고자 할 때 수동급지 용지만을 인입시켜 주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 짐과 함께 편리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내의 프레임(2) 일측으로 탄력을 갖도록 힌지결합되어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4)와, 상기 본체(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수동급지용지 인입시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5)를 동작시키는 감지센서(6)와, 상기 레버(4)의 일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2)에 힌지결합된 회동편(4a)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샤프트(7) 및 레버(4)의 타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프레임(2)에 힌지결합된 회동편(4a)의 타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샤프트(7a)와, 프레임(2)의 일측에 설치됨과 함께 제1, 2샤프트 (7), (7a)에 고정되어 상기 제1, 2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1샤프트(7)에 설치되어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제1샤프트(7)가 회전할때 함께 회전하면서 카세트(12)내의 용지를 급지시키는 제1급지롤러(8) 및 제2샤프트(7a)에 설치되어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제2샤프트(7a)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수동급지 용지를 급지시키는 제2급지롤러(8a)로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 수단은 프레임(2)의 일측 외측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9)와, 레버(4)의 힌지축에 구동기어(9)와 접속설치되어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10)와, 제1샤프트(7)에 동력 전달기어(10)와 접속설치되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제1샤프트(7)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11) 및 제2샤프트(7a)에 동력전달기어(10)와 접속설치되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제2샤프트(7a)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11a)로 구성된 복사기기의 용지 급진장치.
KR92017457U 1992-09-15 1992-09-15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KR950002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457U KR950002598Y1 (ko) 1992-09-15 1992-09-15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457U KR950002598Y1 (ko) 1992-09-15 1992-09-15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838U KR940008838U (ko) 1994-04-21
KR950002598Y1 true KR950002598Y1 (ko) 1995-04-12

Family

ID=1934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457U KR950002598Y1 (ko) 1992-09-15 1992-09-15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5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838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2118A (en) Sheet feed apparatus
EP0622692B1 (en)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US91284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058788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KR950002598Y1 (ko) 복사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KR0135429Y1 (ko)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JP4284814B2 (ja) 自動シート搬送装置
JP2001080753A (ja) 給紙装置
US4933717A (en) Document feeder
JP2803869B2 (ja) ロール紙裁断装置
KR940005696Y1 (ko) 복사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CN109951610B (zh) 原稿送给装置、图像读取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3326048B2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KR930004376B1 (ko) 복사용 연속 원고 자동 이송장치
JP3856172B2 (ja) 押印装置
US5954329A (en) Document feeder having an improved separator mechanism
KR100268134B1 (ko) 자동 급지장치
KR970001870Y1 (ko) 팩시밀리의 원고급지 장치
JPS5869640A (ja) 給紙装置
KR0125964Y1 (ko) 자동원고 급지구의 분리벨트 구동장치
JP2572824B2 (ja) 給紙装置
KR920004411Y1 (ko) 퍼스널 복사기의 자동원고 이송장치
JP3791211B2 (ja) 用紙供給装置
JPH01307356A (ja) ポータブルファクシミリ
KR101051462B1 (ko) 급지부의 저판구동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