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48Y1 -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48Y1
KR950002548Y1 KR2019890006369U KR890006369U KR950002548Y1 KR 950002548 Y1 KR950002548 Y1 KR 950002548Y1 KR 2019890006369 U KR2019890006369 U KR 2019890006369U KR 890006369 U KR890006369 U KR 890006369U KR 950002548 Y1 KR950002548 Y1 KR 950002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hassis
slot
support groove
horizonta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6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921U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06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548Y1/ko
Publication of KR900020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제1도는 종래 건반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건반장치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반샤시 1a : 수평연장부
2 : 인쇄회로기판 3 : 고무스위치
4 : 작동부 5 : 건반
5a : 수평연장부 6 : 걸쇠
8 : 압축스프링 9 : 슬로트
10 : 지지홈
본 고안은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반 사용시 건반의 이탈방지에 적합하도록한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악기의 건반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건반샤시(21)의 후단부에 슬로트(29)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건반 인쇄회로기판(22)과 고무스위치(23)가 설치되어있으며, 건반(25)에는 후단부에 지지홈(30)이 형성되어 건반샤시(21)의 슬로트(29)와 조립되고 건반(25)과 건반샤시(21)의 후단부측에 형성된 돌출부(31), (32)사이에 스프링(28)이 삽입되어 있으며, 건반(25)의 중간부에는 고무스위치 작동부(24)가 형성되고 건반(25)의 선단부 하측에 형성된 걸쇠(26)는 건반샤시(21)의 선단부에 형성한 삽입공(33)에 삽입되고 있다.
도면에서 27은 펠트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건반장치에서 건반(25)과 건반샤시(21)사이에 삽입된 스프링(28)은 조립될 당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건반(25)의 지지홈(30)은 샤시 슬로트(29)의 상측에 밀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건반(25)은 지지홈(30)을 지점으로하여 D방향으로 반력 모멘트가 작동하고 있다. 이상태에서 건반(25)을 A방향으로 누르면 건반(25)는 지지홈(30)을 지점으로 하여 A방향으로 내려가서 고무 스위치 작위부동부(24)가 고무스위치(23)를 눌러 스위치가 온된다.
이러한 종래 건반장치에 있어서는 연주자가 장치를 사용할 때 A방향으로 누르지 않고 B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건반 스프링(28)은 수직압력에 의해 건반(25) 전체가 수평한 상태로 B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건반지지홈(30)은 슬로트(29)의 여유공간이 있기 때문에 슬로트(29)의 상단과 이탈하게 되고 이때 C방향의 힘을 약간만 주어도 건반(25)의 세트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종래장치에서는 건반(25)을 건반샤시(21)에 조립하기 위해 슬로트(9)의 크기를 크게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은 불가피한 것이었으며, 건반(25) 조립후 슬로트(9)측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 고정하여 그 슬로트(9)의 여유공간을 줄이도록 하는 고안이 알려지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이 번거로운 결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178294호와 같이 건반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악기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한 장치에서는 키프레임에 형성된 수직절곡부의 상단과 건반의 상면사이에 인장스프링을 설치한 것으로서 인장스프링의 힘이 건반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여 인장스프링의 복원력과 연주자가 가하는 힘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어서 건반을 상향 복귀시키는 인장스프링의 힘이 건반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힘과 인장스프링에 의한 힘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건반을 누를 때의 터치감을 적절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악기의 건반샤시(1)의 중간부에 인쇄회로기판(2)이 고정됨과 아울러 고무스위치(3)가 고정되고 그 고무스위치(3)를 작동시키는 작동부(4)를 하면에 가지는 건반(5)의 후반부가 건반샤시(1)의 슬로트(9)에 삽입지지됨과 아울러 건반(5)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쇠(6)가 건반샤시(1)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공(13)에 삽입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건반(5)의 후단부 하면에 지지홈(10)을 형성하여 건반샤시(21)의 슬로트(9)하단부에 접촉지지시키고, 그 지지홈(10)을 형성하여 건반샤시(21)의 슬로트(9) 하단부에 접촉지지시키고, 그 지지홈(10)에서 후방으로 소정길이의 수평연장부(5a)를 형성하여 그 수평연장부(5a)과 샤시(1)의 연장부(1a)형성한 돌출부(11), (12)사이에 압축스프링(8)을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7은 펠트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건반(5)의 지지홈(10)을 건반샤시(1)의 슬로트(9)의 하단부에 접촉시키고 건반(5)의 후단부에서 연장한 연장부(5a)와 건반샤시(1)의 수평연장부(1a)사이에 압축스프링(8)을 압축된 상태로 조립되어있으므로 건반(5)은 지지홈(10)과 슬로트(9)의 접촉점을 회전지점으로 하여 스프링 모멘트 C에 의해 건반(5)은 D방향 모멘트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반(5)을 A방향으로 누르면 지지홈(10)부분을 회전지점으로 하여 스프링 모멘트 C를 이기고 A방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스위치 작동부(4)가 고무스위치(3)를 눌러 스위치를 온시킨다.
한편 연주자가 연주시 A부분을 누르지 않고 B부분을 누르다 해도 건반 지지홈(10)의 샤시 슬로트(9)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건반(5)은 샤시슬로트(9)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A부분을 누르는 것과 같이 안전하게 작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건반의 지지홈을 샤시슬로트의 하단에 접촉시키고 압축스프링의 반력이 연주자가 누르는 힘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건반의 어느 부분을 눌러도 건반의 지지홈이 샤시슬로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건반을 이탈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반을 상향 복귀시키는 압축스프링의 힘이 건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힘과 압축스프링에 의한 힘이 서로 대향되게 작용하는 것이므로 건반을 누를 때의 적절하게 유지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후단부에 슬로트(9)를 갖고 선단부에 삽입공(13)을 갖는 건반샤시(1)와, 그 중간부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2) 및 고무스위치(3)와, 그 고무스위치(3)를 작동시키는 작동부(4)가 하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3)에 삽입되는 걸쇠(6)가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건반샤시(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반(5)과, 그 건반(5)을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8)으로 구성된 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반(5)의 후단부 하면에 지지홈(10)을 형성하여 그 지지홈(10)을 슬로트(9)의 하단부에 접촉지지시키고, 건반(5)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수평연장부(5a)를 형성하여 수평연장부(5a)와 건반샤시(1)의 수평연장부(1a)사이에 압축스프링(8)을 고정하여 건반(5)의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연주자가 가하는 힘과 압축스프링 힘의 모멘트가 서로 대향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KR2019890006369U 1989-05-16 1989-05-16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KR950002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369U KR950002548Y1 (ko) 1989-05-16 1989-05-16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369U KR950002548Y1 (ko) 1989-05-16 1989-05-16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921U KR900020921U (ko) 1990-12-14
KR950002548Y1 true KR950002548Y1 (ko) 1995-04-08

Family

ID=1928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369U KR950002548Y1 (ko) 1989-05-16 1989-05-16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5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921U (ko)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7468A (en) Key switch asembly for a computer keyboard
KR950002548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KR890006086Y1 (ko) 푸시 버튼 스위치
US4474100A (en) Musical keyboard
KR930002880Y1 (ko) 전자악기의 건반 장치
JP2902596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82717Y2 (ja) 電子楽器の鍵盤スイツチ
JP3268134B2 (ja) 電子楽器の鍵盤スイッチ
JP2676930B2 (ja) 電子楽器用鍵盤装置
JPH0716994U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328436B2 (ja) 電子楽器の鍵盤スイッチ
KR930004233B1 (ko)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JP2569947B2 (ja) 鍵盤装置
KR960003642Y1 (ko) 피아노와 오르간 페달을 겸용 사용케 한 전자악기의 페달장치
KR920001533Y1 (ko)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JPS628076Y2 (ko)
KR920001534Y1 (ko) 전자악기의 건반 힌지장치
KR920005032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KR890006082Y1 (ko) 전자오르간의 이중 접점구조
KR0118909Y1 (ko) 디지탈 피아노용 자동반주 스위치
KR900009084Y1 (ko) 라디오 카세트의 녹음장치
KR910005584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KR200264572Y1 (ko)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접점구조
KR920006819Y1 (ko) 전자악기의 건반힌지 구조
KR920000034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