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33Y1 -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33Y1
KR920001533Y1 KR2019890009929U KR890009929U KR920001533Y1 KR 920001533 Y1 KR920001533 Y1 KR 920001533Y1 KR 2019890009929 U KR2019890009929 U KR 2019890009929U KR 890009929 U KR890009929 U KR 890009929U KR 920001533 Y1 KR920001533 Y1 KR 920001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musical instrument
keyboard
electronic music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09U (ko
Inventor
정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9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533Y1/ko
Publication of KR910003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제 1 도는 종래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전자악기 건반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중 요부 분리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반 2 : 스프링
3 : 고정홈 4 : 제1도전막
5, 5' : 탄성체 6 : 제2전도막
7, 7' : PCB기판 8, 8' : 접점
9 : 프레임 10 : 볼트
본 고안은 전자건반악기의 이중 접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접점이 연결되는 시간차에 의해 건반 누름의 강, 약에 따라 발진음의 강, 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전자악기의 건반을 압압하면 건반의 힌지를 중심으로 중앙 하단의 돌출부가 하향으로 내려오면서 도전막이 접점을 서로 접속시켜 주므로서 회로를 연결하며 음발생장치에 신호를 출력하여 음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음 발생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 1 도와 같은 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기판(25)상에 두개의 스위치를 나란히 설치하며 상기 한쌍의 스위치 상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누름면이 형성된 건반을 위치시켜 건반 압압시 누름편(21a)가 스위치 상면에 접촉고무(22)를 압압함에 따라 내부의 도전막(23)이 기판(25)상의 접점(24)에 접촉하게 되어 약음이 발생되게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반(21)을 더욱 압압하게 되면 누름면(21b)가 접촉고무(22')를 압압하여 도전막(23')가 접점(24')에 접촉되는데 이때 측면에 있는 스위치는 접촉고무(22)가 더욱 압압되면서 두개의 스위치가 동시에 자동되므로 강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강음을 발생하기 위하여 건반을 세게 압압하였을 경우 접촉고무(22)가 무리하게 눌리므로 인하여 훼손될 염려가 있으며 접촉고무(22,22') 별개의 탄성을 가지고 건반에 작용하므로 타건 감각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PCB기판 자체에 접점을 만들고 이에 상응하는 건반의 중앙에 탄성체를 두어 이 탄성체에 위치한 도전막이 건반. 주름의 강,약에 따라 PCB의 접점을 연결하므로 이중 접점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이중 접점구조가 필요없고 복잡한 이중접점 구조가 산소화되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2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건반(1)의 후방을 스프링(2)으로 탄지하며 중간에 형성된 고정홈(3) 하단에 적은 원기둥의 제1도전막(4)을 씌운 탄성이 있는 탄성체(5)와 한 몸체인 큰 원기둥의 제2도전막(6)을 씌운 탄성체(5')를 결합하고 프레임(9)의 상,하단에 PCB기판(7,7')을 볼트(10)로 조립하고 제1도전막(4)에 일치하여 상단 PCB기판(7)외주연에 제2도전막(6)과 일치하여 양접점(8)을 형성하고 하단PCB기판(7')에 제1도전막(4)을 일치하여 양접점(8')이 형성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걸림편이 형성된 걸림턱, 12는 쿠숀, 13은 브라켓의 통공, 14는 건반의 걸림편, 15는 건반 힌지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우선 건반(1)을 약하게 압압하면 힌지부(14)을 중심으로 건반(1)이 회동하면서 하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체(5)하단에 밀착되어 설치된 제1도전막(4)이 양접점(8')상면에 닿아 탄성체의 반력을 받으며 압압된다. 이로 인하여 접점(8')으로 인가된 전류가 제1도전막(4)을 통해 양접점(8')은 도통상태가 된다. 또한 건반(1)을 강하게 압압하면 탄성체(5')하단에 밀착되어 설치된 제2도전막(6)이 양접점(8)닿게되면 제1도전막(4)이 형성된 탄성체(5)는 오무라들며 제1도전막(4)과 양접접(8')이 이중 접점되므로 강한 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걸림편의 걸림턱(11) 밑면이 프레임(6) 설치된 쿠숀(12)에 닿아 건반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완충역할을 하므로 타건시 터치감각을 좋게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반을 압압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체(5)와 스프링(2)의 반발력에 의해 상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이때에는 걸림편(14)에 형성된 걸림턱(11)이 프레임(9)에 형성된 통공(13)의 일측단부 쿠숀에 걸려 더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에는 두접점(8,8')과 두 도전막(4,6)거리가 멀어지므로 접점간의 전류통로는 개방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두 접점이 연결되는 시간차에 의해 건반 누름의 강, 약에 따라 발진음의 강, 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중 접점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이중 접점구조가 필요없고 간단한 이중 접점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타건시 실제 피아노를 타건할때와 같이 타건 감각을 좋게 하고 항상 정확한 음을 발생하게 하며 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전자악기의 사용되는 건반에 있어서, 건반(1)의 후방을 스프링(2)으로 탄지하며 중단에 형성된 고정홈(3)하단에 적은 원기둥의 제1도전막(4)을 씌운 탄성이 있는 탄성체(5)와 한 몸체인 큰 원기둥의 제2도전막(6)을 씌운 탄성체(5')를 결합하고 프레임(9)의 상,하단에 PCB기판(7,7')을 볼트(10)로 조립하고 제1도전막(4)에 일치하여 상단 PCB기판(7)과 프레임(9)에 구명을 형성하고 상단 PCB기판(7)외주연에 제2도전막(6)과 일치하여 양접점(8)을 형성하고 하단 PCB기판(7')에 제1도전막(4)을 일치하여 양접점(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 접점장치.
KR2019890009929U 1989-07-07 1989-07-07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KR920001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929U KR920001533Y1 (ko) 1989-07-07 1989-07-07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929U KR920001533Y1 (ko) 1989-07-07 1989-07-07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09U KR910003209U (ko) 1991-02-27
KR920001533Y1 true KR920001533Y1 (ko) 1992-03-05

Family

ID=1928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929U KR920001533Y1 (ko) 1989-07-07 1989-07-07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5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24A (ko) * 2002-04-06 2003-10-10 모시준 전력 발전모터 및 가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24A (ko) * 2002-04-06 2003-10-10 모시준 전력 발전모터 및 가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09U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84018A (en) Keyboard with electrical contacts
KR920001533Y1 (ko) 전자악기의 건반 이중접점장치
JPS5829514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920000034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JP2650179B2 (ja) 電子楽器の接点装置
JPS628077Y2 (ko)
JP2817408B2 (ja) タッチレスポンス・スイッチ装置
US2625070A (en) Pedal keyboard
JPS6058831B2 (ja) 電子部品の特性検査治具
JPH02287499A (ja) 電子楽器用鍵盤装置
JP4441008B2 (ja) 鍵盤装置
KR920001534Y1 (ko) 전자악기의 건반 힌지장치
KR910009200Y1 (ko) 전자악기의 이중접점장치
JPH045022Y2 (ko)
CN217467972U (zh) 一种钢琴脚踏板装置
KR910014792A (ko) 키 입력장치
KR900011286Y1 (ko) 전자 건반
KR920007818B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JPS5915377Y2 (ja) 押釦スイツチ
KR910001812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JPH0844360A (ja) 電子楽器の鍵盤スイッチ
JPH05127664A (ja) 鍵盤装置
KR910007912Y1 (ko) 전자악기의 건반 힌지장치
JP3824040B2 (ja) タッチコントロール機能付き鍵盤装置
JPH01354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