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354B1 -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54B1
KR950002354B1 KR1019870010227A KR870010227A KR950002354B1 KR 950002354 B1 KR950002354 B1 KR 950002354B1 KR 1019870010227 A KR1019870010227 A KR 1019870010227A KR 870010227 A KR870010227 A KR 870010227A KR 950002354 B1 KR950002354 B1 KR 95000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detergent composition
silicate
alkali metal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075A (ko
Inventor
존 하워드 헤이보언 마이클
나이트 피터코리
말구찌 안토니오
미오띠 다니엘레
윌리엄 트래빌 앤드류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취. 반 발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044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23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취. 반 발렌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88000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2Preparation in the form of powder by spray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무 건조탑의 제 1 실시예의 계략적인 수직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무 건조탑의 제 2 실시예의 계략적인 수직단면도.
본 발명은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 빌더 뿐만 아니라 규산알카리금속염의 적정량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정질(제오라이트) 및 비결정질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은 세제분말에서 트리폴리인산나트륨 (STP)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세정력 빌더이지만, 분무 건조 분말의 구조에 기여하는 능력이 STP보다 못하다.
세탁기의 부식을 줄이고 알카리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흔히 규산알카리금속염을 구조화제로서 세제분말에 함유시킨다. 그러나 만일 알루미노규산염과 규산염이 세제슬러리내에 공존한다면 이들이 서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있다. 즉 알루미노규산염의 응집화가 발생하여 세정액 속에서 느리게 분산하며 그 결과 세정 효율을 저하시키는 거대입자를 함유하는 세제분말을 제공하게 된다.
미국특허 제4 129 511호(라이온)에는 규산염 함유 세제슬러리와 알루미노규산염 슬러리를 동일한 건조 공간내에서 따로따로 분무 건조시켜 5-20%의 규산나트륨 및 0.5-5%의 알루미노규산염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발표되어 있다.
영국특허 제2 013 707B호 (유니레버)에는 규산염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고 알루미노규산염을 함유하는 세제슬러리가 크러처(crutcher)를 통과한 후 분무 노즐에서 분무되기전에 규산나트륨의 수용액 또 수성 분산액을 주입시키는 방법이 발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슬러리내에서 규산염과 알루미노규산염이 접촉하는 시간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접촉이 제거되는 것은 아니다.
유럽특허 제10 247B호 (헨켈 KGaA)에는 규산염을 슬러리로부터 빼는 대신에 후에 분무 건조된 분말에 고체상태로 부가 혼합하는 방법이 발표되어 있다. 이 슬러리는 알루미노규산염, 계면활성제 및 특정의 유기성 금속 봉쇄제인 빌더 재료를 함유하며, 한편 규산염은 Na2O : SiO2몰비가 2.0-2.2이고 수분 함량이 15-23중량%이며 물에 매우 잘녹은 분말 형태로 포스트도우즈 (postdose)된다. 또한 분무 건조하기에 부적당한 기타성분(예를들어, 특정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도 포스트도우즈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제분말을 제조하면 알루미노규산염이 분말내에서 또는 세정액내에서 작은 입자 형태로 유지되므로 세정효과가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말은 그 물리적 성질이 불량하며 분말강도가 낮다.
1987년 4월 3일자 우리의 유럽특허 출원 제87 302 911.0호에는 중합체물질인 추가적 분말 구조제를 함유하는 분무 건조 분말에 고상 규산나트륨을 포스트도우즈하는 개선된 방법이 발표되어 있다. 1986년 4월 10일자 우리의 유럽특허 출원 제87 303 159.5호에는 유사한 방법을 발표하여 그 특허를 청구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분무 건조 분말은 추가적 구조제로서 숙신산염을 함유한다.
분무 건조 기본 분말에 규산나트륨을 포스트도우즈하는 이러한 방법들에 있어서 이 규산나트륨은 고품질이어야하며 신속한 용해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이러한 고급 규산나트륨은 고가이다. 또한 먼지처럼 미세한 상기물질을 공장에서 다루는데 있어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자들은 슬러리내에서 규산나트륨과 알루미노규산염의 접촉, 즉 불리한 상호작용을 피하면서 알루미노규산염으로 빌드된 분말내에 규산나트륨을 도입시키는 대체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 특유의 복합과립을 함유하는 분말을 제조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되는 분무 건조 세제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 )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 및 1종 이상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세제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분무 건조탑내로 분무하는 단계.
ii ) 단계( i )과 동시에 규산알카리금속염 수용액을 상기 분무 건조탑내로 따로따로 분무하는 단계.
이렇게 하므로써 슬러리액적 및/또는 거기서 형성된 분말과립과 규산알카리금속염 용액의 액적이 충돌하여 복합과립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로 i )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 및 1종 이상의 음이온 및/또는 비이온 세제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중심과립 및 ii ) 규산알카리금속염을 함유하는 코팅형태 또는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진 형태의 외각층으로 구성되는 복합과립을 함유하는 분무 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분무-건조 방법에 있다. 세제활성화합물 및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특히, 알루미노규산나트륨)등과 같은 통상의 기본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세제슬러리는 분무 건조탑내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분무된다. 일반적으로 슬러리는 탑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1개 이상의 노즐을 통해 하향분무되며, 한편 뜨거운 공기는 탑의 기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링메인(ring main)으로부터 위쪽으로 불어올려진다. 슬러리 액적은 하강함에 따라 신속히 습기를 빼앗겨 과립을 형성하는데, 이 과립은 초기에는 함습량과 점도가 크지만 하강하면서 점차 함습량과 점도가 줄어들게되어 탑의 기부에 있는 수집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비교적 건조하게 된다. 슬러리가 분무되는 노즐의 형태는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선회노즐 및 팁(tip)노즐이 있다.
이와 동시에, 규산알카리금속염(특히, 규산나트륨)의 수용액은 분리된 노즐 또는 한세트의 노즐들로부터 탑내로 따로따로 분무된다. 슬러리를 분무할때 사용된 노즐처럼 이 노즐도 어떤 형태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선회노즐 및 팁노즐이 있다.
두 노즐들 또는 두 세트의 노즐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으며, 또한 규산염 용액이 슬러리의 분무방향(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하향)과 뜨거운 공기의 흐름방향(보편적으로 상향)에 관련지어 분무되는 방향에 대해서도 제한을 두지않는다. 어떤식으로 배열된 장치가 선택되든지간에 규산염용액의 액적과 슬러리 액적 또는 기본 분말과립 사이의 충돌 확률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면 된다. 또한 기억해 두어야할 것은 충돌이 발생할때 슬러리액적 또는 기본분말 과립이 습하면 습할수록 복합과립의 형성기회가 더욱더 증가한다는 것이다.
슬러리가 탑상부 근처의 위치로부터 하향분무될 때 규산염 용액이 슬러리가 분무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상향분무되는 식으로 배열된 장치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두 성분을 탑내로 분무시키는 위치들 사이의 간격은 상당히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 분말을 이루는 과립이 하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에 따라 다르지만, 1.0-4.5m의 간격이 만족스러운 분말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 대신으로, 뜨거운 공기입구와 규산염이 분무되는 위치 사이의 간격이 고려될 수도 있다. 즉, 이 간격은 2.5-5m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원칙적으로, 많은 다른 장치들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두 성분을 동일한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 (특히, 하향)으로 분무시킬 수도 있고, 또는 규산염의 분무위치를 슬러리의 분무위치보다 높게하고 규산염 용액을 하향 분무시킬수도 있다. 앞서 언급했던 영국특허 제2 013 707B호의 방법과 구별되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두 성분의 혼합이 각각의 성분이 따로따로 분무되고 나서야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규산 나트륨용액의 분무온도는 대기온도 (30℃)보다 높지않은 것이 유리하다. 즉, 이러한 분무온도는 규산염의 건조속도를 느리게 한다. 낮은 분무압력이 또한 유리한데 그 이유는 보다 큰 액적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온도와 압력하에서 복합과립을 형성시키는 충돌의 확률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제분말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즉, 복합과립의 존재를 쉽게 알아낼수 있으며, 규산나트륨이 슬러리를 경유해서 혼입되는 방법 또는 규산나트륨이 고체상태로 포스트도우즈되는 방법으로 생산된 입자들과 상당히 다른 복합과립의 존재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복합과립은 슬러리로부터 유도된 기본분말의 중심 및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 코팅형태이거나 불연속의 미세입자들로 이루어진 형태의 규산나트륨 외각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과립을 함유하는 세제분말이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이다.
복합과립의 구조 및 구성은 슬러리분무, 규산염분무 및 뜨거운 공기입구의 상대위치, 상호간에 연관된 분무방향 및 뜨거운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연관된 분무방향, 사용되는 분무기형태 및 분무압 및 규산염에 용액의 입구온도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규산염 용액이 서서히 건조되어 아직 액체상태에 있을때 기본분말 입자와 접촉하는 조건하에, 보다 무거운 코팅된 입자가 얻어진다. 예를들어 복합과립의 비율은 규산염 분무노즐을 이동시키므로서 증가시킬수 있다. 이렇게하므로써 생성물의 동질성이 또한 증가된다. 동질 생성물이 이질 생성물보다 다소 바람직하지만, 둘다 받아들일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규산염 용액이 빠르게 건조되거나, 또는 규산염액적이 기본분말 입자와 접촉하기전에 건조하는 조건하에서는 따로따로 분리된 기본분말 과립과 (일반적으로 속빈 유리질 구체 형태의)규산염 과립이 비교적 높은 비율로 얻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하에서도 비교적 작은 규산염 입자가 보다큰 기본분말 과립을 둘러싸고 있는 응집체들이 약간은 존재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구조체들은 전자 또는 현미경사진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복합입자는 2-15중량%의 규산나트륨을 함유한다.
기본분말을 형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슬러리는 일반적으로 생성물에 혼입되는 열-불감성 성분들을 함유한다. 이 열불감성 성분으로는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 빌더가 있으며, 이 빌더는 최종분말을 기준으로 10-60중량%의 양으로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특히, 알루미노규산나트륨)은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다음 일반식을 갖는다.
0.8-1.5 Na2O·Al2O3·0.8-6 SiO2
이러한 물질들은 약간의 결합수를 함유하며 적어도 약 50㎎ CaO/g의 칼슘이온 교환용량을 가져야 한다.
알루미노규산나트륨은 상기 일반식에서 SiO2단위가 1.5-3.5인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노규산나트륨의 입자크기가 약 100㎛이하, 바람직하게 약 20㎛이하 특히 10㎛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문헌에 폭넓게 설명된 바와 같이 비결정질 및 결정질 알루미노규산나트륨은 규산나트륨과 알루민산나트륨 사이의 반응에 의해 쉽게 제조된다.
적절한 결정질 알루미노규산나트륨 이온-교환 세정력 빌더는 예를들어 영국특허 제1 473 201호(헨켈)및 영국특허 제1 429 143호(프록터 앤드 갬블)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형의 바람직한 알루미노규산나트륨으로는 잘 알려진 시판의 제오라이트 A 및 X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필요하거나 원할경우, 다른 종류의 빌더도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시킬수 있다. 즉, 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라면 적절한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무기 또는 유기 빌더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다. 그 예로는 인산 알카리금속염 (예를들어 오르토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또는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탄산 알카리금속염, 단량체형 폴리카르복실산염(예를들어 알카리금속의 시트르산염, 니트릴로트리초산염,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등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인산염을 소량 함유하거나 전혀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인산염의 함량은 인을 기준으로 6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2.5중량% 이하이다.
황산나트륨과 같이 세정력을 빌드하는 기능이 없는 기타 무기염도 슬러리에 포함시킬수 있다.
슬러리는 또한 1종 이상의 음이온 및/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 예로는 알킬벤젠술폰산염(특히, 평균 쇄장이 약 C12정도인 선형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일차 및 이차알콜 황산염(특히 C12-C15일차알콜 황산나트륨), 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및 지방산에스테르술폰산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 사용될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일차 및 이차알콜 에톡실레이트(특히, 알콜 1몰당 평균 3-20몰의 산화에틸렌으로 에톡실화된 C12-C15일차 및 이차알콜)가 있다.
또한 1종 이상의 지방산비누를 첨가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비누의 예로는 코코넛오일, 비이프텔로우 또는 해바라기오일 등에서 얻은 지방산과 같은 천연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진 나트륨비누가 있다.
본 발명의 세제분말내에서 비누를 세제활성물질(계면활성제)의 총량은 5-40중량%가 적절하다. 유럽식 프론트로딩 자동세탁기에서 사용하고자하는 세제분말의 경우에는 5-20중량%가 바람직하며, 음이온 계면활성제 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10 : 1이하, 바람직하게는 6 : 1이하가 좋다.
본 발명의 이점을 최대한도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슬러리에 규산알카리금속염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하고 세제조성물에 필요한 모든 규산염이 분무에 의해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편적으로 슬러리는 4중량% 이하(최종분말 기준)의 규산염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 2중량% 이하(최종분말 기준)의 규산염을 함유한다. 이보다 많은 양의 규산염이 제오라이트 슬러리에 함유된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느리게 분산하는 응집체가 허용한계 이상으로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만일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6 : 1이하의 중량비(건조중량 기준)로 슬러리내에 존재한다면 슬러리내의 규산염 함량은 1중량% 이하(최종분말 기준)가 바람직하며, 음이온 계면활성제 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규산염 함량이 이보다 약간 많아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슬러리는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혼입되는 열-불감성 소량성분을 함유한다. 그 예로는 재침전방지제, 외피화(encrustation)방지제 및 형광제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열불감성 성분중의 몇몇이 규산염 수용액을 통해 혼입되던지 또는 슬러리를 통해 혼입되던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예를들어 선형 알킬벤젠 술폰산염과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염료는 규산염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알루미노규산염 함유 세제조성물에 규산염을 첨가하는 지금까지의 방법들과는 달리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값비싼 고품질 고체 규산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시중 구입 가능한 물유리를 비롯한 거의 모든 형태의 규산염도 사용할 수 있다. 규산나트륨은 알카리도가 너무 높지않은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알카리도가 매우 높은 규산염은 저장시에 나쁘게 덩어리지는 끈적끈적한 세제분말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규산나트륨은 소위 "Υ" 수[즉, 실리카 대 산화나트륨(Na2O)의 몰비]에 의해 설명된다. 1.5Υ-3.3Υ 규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중간정도의 알카리성(2Υ) 규산나트륨이 적절하다. 그러나, 보다 높은 실리카 대 산화나트륨 비를 가지는 규산염(예를들어 중성(3.3Υ) 규산나트륨 또는 2.6Υ 규산나트륨)이 보다 저장안정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규산염은 세제분말이 저장시에 덩어리지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더우기, 고-벌크밀도(high-bulk density) 분말, 즉 약 450kg/㎥ 이상의 벌크밀도를 가지는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장시에 벌크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감소 또는 제거된다. 그러나 이 생성물은 알카리성 규산염보다 더 불용성인 분말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규산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는 20-50중량%, 바람직하게 30-45중량%인 것이 적절하다.
최종 분말내의 규산나트륨 함량은 2-15중량%, 바람직하게 2.5-6중량%가 적절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입시키고자 하는 어떤 열-민감성 성분은 종래의 방식으로 분무건조된 분말에 포스트도우즈하거나, 또는 그 위에 분무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는 표백제, 표백전구물질 및 표백안정제, 효소, 거품억제제, 액상 비이온 계면활성제, 향료 및 염료등이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방법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분무건조탑(1)내에는 라인(3)에 의해 공급되는 첫번째 세트의 분무노즐(2)이 상부근처에 위치한다. 노즐(2)은 아래쪽으로 향한다. 두번째 세트의 분무노즐(4)은 위쪽으로 향하며, 첫번째 세트의 분무노즐(2)로부터 일정간격(예를들어 4.4m) 아래에 위치한다. 이 노즐(4)은 라인(5)에 의해 공급된다. 뜨거운 공기가 나오는 링메인(6)은 탑기부 근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제오라이트 및 세제활성화합물을 포함한 기본분말 성분들을 함유하는 수성슬러리는 라인(3)을 따라 노즐로 펌프 이송되어 노즐(2)에서 하향 분무된다. 분무된 액적은 도면에 속빈 콘형태의 점선(7)으로 도시된다. 임의의 기타성분들이 함유되는 규산나트륨 수용액은 라인(5)을 따라 노즐로 펌프이송되어 노즐(4)에서 상향 분무된다. 이것의 분무액적은 도면에 속빈 콘형태의 점선(8)으로 도시된다. 슬러리 액적의 건조에 의해 형성되는 기본분말의 습하고 끈적끈적한 과립은 하강하면서 규산염 용액의 액적과 충돌하며, 충돌한 두 성분은 복합과립을 형성한다. 기본분말 과립과 충돌하지 못한 나머지 규산염용액의 액적은 단순히 건조되어 속빈 유리질 구체를 형성한다. 복합과립, 규산염 구체 및 기본분말 과립은 탑기부에 떨어져 그곳에서 수집된다.
제 2 도의 분무건조탑을 사용하여 본 방법을 다르게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분무탑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제 1 도의 분무건조탑과 구별된다. 즉, 두번째 세트의 노즐(9)은 첫번째 세트의 노즐(2)에 보다 가까이 배치된다(예를들어 1.0m 정도 떨어져 배치된다). 노즐(9)은 라인(10)에 의해 공급된다. 제 1 도의 탑과 마찬가지로 슬러리는 노즐(2)로 펌프 이송되어 하향분무되며, 한편 규산나트륨 수용액은 노즐(9)로 펌프이송되어 상향분무된다. 규산나트륨 수용액의 분무액적은 도면에 속빈 콘형태의 점선(11)으로 도시된다. 이 변형된 제 2 실시예의 방법을 따르면 보다 증가된 비율로 복합과립을 함유하는 분말이 얻어진다.
앞서 지적된 바와 같이 분무탑내의 배열을 상기 제 1 도 및 제 2 도의 배열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의 비한정적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및 2]
세제 슬러리를 다음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량부
선형알킬벤젠 술폰산염(Na 염) 9.0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폴리카르복실산염 중합체 4.0
제오라이트(Na) 24.0
황산나트륨 25.0
소량성분 1.0
물 45.0
세가지 분말을 분무건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규산염을 분무하지 않고 상기 조성의 슬러리를 분무건조하여 대조분말(A)을 제조하였으며, 최종 분말의 수분함량은 9.0중량부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첫번째 분말(1)은 규산나트륨 함량이 2.5중량부(최종분말 기준)가 되게 규산나트륨 수용액(수분함량 60%)을 분무시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두번째 분말(2)도 이와 유사하게 제조하였으나 규산나트륨 함량이 4.0중량부가 되게하였다. 각 분말의 제조에 사용된 규산나트륨은 2.0Υ 규산나트륨이었다.
이 분말들의 물리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따라서, 규산염 함량이 증가하면 유동성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분말들을 물에 분산시켰을때 얻어지는 "불용성물질"을 또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에 표시하였으며 표에 나타낸 수치는 각 분말들을 지정된 온도의 물속에서 2분동안 교반하였을 때 얻어진 〉120㎛ 입자의 백분율이다.
Figure kpo00002
비교하기 위해 상기의 기본분말에 5.0중량부의 고상 규산나트륨 A.1(크로스필드 제품)을 포스트도우즈하여 또다른 대조분말(B)을 제조하였다. 이 분말(B)의 불용물 값은 20℃와 40℃에서 갓 제조된 분말에 대하여 4-5%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말들이 알루미늄을 부식시키는 경향을 시험하였다. 세제분말내의 규산나트륨은 세탁기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지만, 이 규산염의 부식방지는 규산염이 수용성 형태로 존재할 경우에 국한해서 효과적이다. 지정된 농도의 각 분말 용액속에 알루미늄 원판을 담그고 알루미늄 원판의 1시간당 중량손실을 백분율로 표시한 결과치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분말(2)은 포스트도우즈된 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분말(B)이 제공했던 것과 대등한 정도로 알루미늄원판을 거의 부식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3-6]
세제슬러리를 다음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3에서는 술폰산으로서 알킬벤젠술폰산염을 첨가하였다. 이것은 탄산나트륨의 일부와 반응하여 1987년 4월 10일자 우리의 유럽특허 출원 제87 303 147.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스퀴탄산나트륨을 슬러리 내에 형성시켰다. 이론적으로 약 5.8부의 세스퀴탄산나트륨이 생기게 하였다.
각 슬러리는 모나스트랄 블루(Monastral blue)염료를 함유하는 중성(3.3Υ) 규산나트륨과 함께 다음과 같이 동시 분무되었다.
Figure kpo00005
각각의 중량부를 무수물 기준이다.
각 분말의 벌크밀도를 분무-건조후 즉시 측정하였으며, 또한 28℃ 및 70% 상대습도에서 12주동안 저장한후에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6
약 500㎏/㎥의 벌크밀도를 가지는 유사분말을 알카리성 규산염을 포스트도우즈하여 제조하였다. 이 분말은 저장으로 인한 벌크밀도 감소값이 약 70㎏/㎥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음을 알수 있다.

Claims (10)

  1. 분무건조 세제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 )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 및 1종이상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세제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분무건조 탑내로 분무하는 단계 및 ii ) 단계 ( i )과 동시에 규산 알카리금속염의 수용액을 상기 분무건조탑 내로 따로따로 분무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이렇게 하므로써 슬러리 액적 및/또는 거기서 형성된 분말 과립과 규산 알카리금속염의 액적이 충돌하여 복합과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 세제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러리는 하향분무되며 규산 알카리금속염은 슬러리의 분무위치보다 아래쪽의 위치로부터 상향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 세제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규산 알카리금속염 용액의 분무온도는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 세제조성물의 제조방법.
  4. 복합과립이 들어있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과립은 주로 i )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루미노규산 알카리금속염 및 1종 이상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세제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중심 및 ii ) 규산 알카리금속염을 함유하는 코팅형태 또는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진 형태의 외각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복합과립의 외각층은 주로 규산 알카리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6. 제 4 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대한 규산 알카리금속염의 함량이 2-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규산 알카리금속염은 실리카 대 산화나트륨의 몰비가 1.5 : 1-3.3 : 1인 규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실리카 대 산화나트륨의 몰비가 2 : 1-3.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실리카 대 산화나트륨의 몰비가 2.4 : 1-3.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실리카 대 산화나트륨의 몰비가 2.8 : 1-3.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된 과립형 세제조성물.
KR1019870010227A 1986-09-19 1987-09-16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50002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68622565A GB8622565D0 (en) 1986-09-19 1986-09-19 Detergent composition
GB8622565 1986-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075A KR880004075A (ko) 1988-06-01
KR950002354B1 true KR950002354B1 (ko) 1995-03-16

Family

ID=1060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227A KR950002354B1 (ko) 1986-09-19 1987-09-16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65015A (ko)
EP (1) EP0260971B2 (ko)
JP (1) JPH0768554B2 (ko)
KR (1) KR950002354B1 (ko)
AU (1) AU583196B2 (ko)
BR (1) BR8704820A (ko)
CA (1) CA1296234C (ko)
DE (1) DE3778262D1 (ko)
ES (1) ES2037089T5 (ko)
GB (1) GB8622565D0 (ko)
TR (1) TR25687A (ko)
ZA (1) ZA8770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86563C (en) * 1986-04-04 1991-07-23 Jan Hendrik Eertink Detergent powder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GB8810821D0 (en) * 1988-05-06 1988-06-08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 process for preparing them
DE4106880A1 (de) * 1991-03-05 1992-09-10 Henkel Kgaa Waschmittel
DE4211699A1 (de) * 1992-04-08 1993-10-14 Henkel Kgaa Verfahren zur Erhöhung des Schüttgewichts sprühgetrockneter Waschmittel
AU701161B2 (en) * 1995-11-29 1999-01-21 Diversey, Inc. Detergent builder granule
US20030203036A1 (en) 2000-03-17 2003-10-30 Gordon Marc S. Systems and processes for spray drying hydrophobic drugs with hydrophilic excipients
NL1006703C2 (nl) * 1997-07-31 1999-02-02 Sybron Chemie Nederland B V Werkwijze voor het nawassen van gekleurd textiel.
DE19943254A1 (de) 1999-09-10 2001-03-15 Clariant Gmbh Bleichaktive Metallkomplexe
DE19960744A1 (de) * 1999-12-16 2001-07-05 Clariant Gmbh Granulares Alkalischichtsilicat-Compound
US7575761B2 (en) 2000-06-30 2009-08-18 Novartis Pharma Ag Spray drying process control of drying kinetics
DE60227691D1 (de) 2001-11-01 2008-08-28 Nektar Therapeutics Sprühtrocknungsverfahren
DE102006053375A1 (de) * 2006-11-10 2008-05-1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Verfahren zur Mischung von Pulvern
CN104997634A (zh) 2010-04-09 2015-10-28 帕西拉制药有限公司 用于配制大直径合成膜囊泡的方法
EP2380964A1 (en) * 2010-04-19 2011-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detergent
MX2013003972A (es) * 2010-10-14 2013-05-14 Unilever Nv Particulas de detergente para lavanderia.
US9290724B2 (en) * 2010-10-14 2016-03-22 Conopco, Inc. Laundry detergent particles
EP2627758B1 (en) * 2010-10-14 2016-11-02 Unilever PLC Laundry detergent particles
BR112013009132B1 (pt) 2010-10-14 2021-12-14 Unilever Ip Holdings B.V. Partícula de detergente revestida e pluralidade de partículas de detergente revestidas
EP2627748B1 (en) 2010-10-14 2014-12-03 Unilever PLC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fluorescer
US9273271B2 (en) 2010-10-14 2016-03-01 Conopco Inc. Laundry detergent particles
AU2011316094B2 (en) 2010-10-14 2014-01-23 Unilever Plc Manufacture of coated particulate deterg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511A (en) * 1976-09-24 1978-12-12 The Lion Fat & Oil Co., Ltd. Method of spray drying detergents containing aluminosilicates
JPS5339307A (en) * 1976-09-24 1978-04-11 Lion Corp Preparation of powdery detergent
DE2903058A1 (de) * 1978-02-01 1979-08-09 Unilever N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chmittelpulver
DE3261026D1 (en) * 1981-03-20 1984-11-29 Unilever Pl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aluminosilicate
JPS5847098A (ja) * 1981-09-16 1983-03-18 ライオン株式会社 α−スルホ脂肪酸エステル塩含有洗剤の製造法
US4466897A (en) * 1981-09-29 1984-08-21 Lever Brothers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oap powder
JPS5898934A (ja) * 1981-12-08 1983-06-13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0087035B1 (en) * 1982-02-08 1985-09-11 Union Carbide Corporation Zeolite-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4534880A (en) * 1984-03-27 1985-08-13 Dow Corning Corporation Detergent composition with siliconate-zeolite and silicate builder
GB8710290D0 (en) * 1987-04-30 1987-06-03 Unilever Plc Preparation of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0971B1 (en) 1992-04-15
GB8622565D0 (en) 1986-10-22
EP0260971B2 (en) 2000-01-05
ES2037089T5 (es) 2000-06-16
TR25687A (tr) 1993-06-15
ZA877038B (en) 1989-05-30
BR8704820A (pt) 1988-05-17
US4965015A (en) 1990-10-23
AU583196B2 (en) 1989-04-20
CA1296234C (en) 1992-02-25
AU7843787A (en) 1988-04-21
DE3778262D1 (de) 1992-05-21
JPS6399297A (ja) 1988-04-30
ES2037089T3 (es) 1993-06-16
EP0260971A2 (en) 1988-03-23
JPH0768554B2 (ja) 1995-07-26
EP0260971A3 (en) 1989-10-11
KR880004075A (ko) 198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354B1 (ko)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4908159A (en) Detergent granules containing simple sugars and a seed crystal for calcium carbonate
US4755318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detergent powder incorporating polyhydric structuring agents
KR910004888B1 (ko) 세제조성물
AU716957B2 (en) Powder deterg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JPH04227700A (ja) 高嵩密度顆粒状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SK195292A3 (en) Detergent compositions
SK281376B6 (sk) Sypký detergentný prostriedok a spôsob jeho prípravy
JPH0641596A (ja) 粒状洗剤組成物または成分
EP0578871B1 (en) Process and compositions for compact detergents
US4416809A (en)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US5633224A (en) Low pH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PL184656B1 (pl) Sposób wytwarzania kompozycji detergentowej lub jej komponentu
CA2248994C (en) Free-flowing agglomerated nonionic surfactant deter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4549978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detergent powder
JPH08239692A (ja) 粒子状起泡調節剤及びそれを使用した洗剤組成物
US5998356A (en) Process for making granular detergents
JPH03210398A (ja) 粘土を含有する高嵩密度の洗剤粉末の製造方法
US6177397B1 (en) Free-flowing agglomerated nonionic surfactant deter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0464891B1 (ko) 개질된알루미노실리케이트
JPH02279797A (ja) 粉末洗剤添加用凝集体
WO2001021757A1 (en)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MXPA06009553A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sulphamic acid and/water soluble sal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