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14B1 -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14B1
KR950002214B1 KR1019920008001A KR920008001A KR950002214B1 KR 950002214 B1 KR950002214 B1 KR 950002214B1 KR 1019920008001 A KR1019920008001 A KR 1019920008001A KR 920008001 A KR920008001 A KR 920008001A KR 950002214 B1 KR950002214 B1 KR 95000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ydraulic
control valve
planting clutch
hydraul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340A (ko
Inventor
마사카즈 타나카
사토루 타니
마코토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쿠보타
미노 시게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쿠보타, 미노 시게카즈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쿠보타
Publication of KR93000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제 1 도는 조작계통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유압 제어밸브의 측면도.
제 3 도는 유압 제어밸브의 측면도.
제 4 도는 유압 제어밸브의 절단정면도.
제 5 도는 유압 제어밸브의 절단측면도.
제 6 도는 유압 회로도.
제 7 도는 전식기의 전체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대지작업장치 3 : 유압 액츄에이터
6 : 감지센서 9 : 스프울
17 : 식부클러치 18 : 규제부재
V : 유압 제어밸브
본 발명은,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주행기체(走行機體)에 대해서 자유자재로 승강작동을 할 수 있도록 대지(對地)작업장치를 설치하며, 이 대지작업장치에 부착된 감지센서가 감지하는 흙의 표면에 대한 접지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한 유압 액츄에이터에 대한 유압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대지작업장치가 흙의 표면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감지센서와 유압 제어밸브의 스프울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연동상태의 연결과는 관계없이, 상기한 스프울을 상승작동쪽으로 강제적인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수답(水畓)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로는, 종래에는, 예컨대, 일본국 특공평 제3-586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유압 제어밸브의 스프울을 장공을 거쳐서 승강조적레버와 연동되도록 연결시키고, 동시에, 스프울에서 핀에 의해 지지된 작동레버에 스프링을 걸어서 스프울을 하강조작쪽으로 밀어주며, 이 작동레버와 감지센서가 부착된 접지플로우트를, 조작와이어를 사용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시키며, 동시에, 조작와이어가 상승조작으로 되면 소정의 위치에서 스프울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감지센서가 감지한 접지압의 변화에 따라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즉, 자동승강제어장치에서 유압실린더에 대한 유압공급량을 교축시키므로써, 헌팅(hunting)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 두렁 등에서 강제로 상승작동을 시킬때에는 작동유를 다량으로 공급하여 작업장치를 신속하게 상승시키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감지센서와 연동되는 작동레버의 작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감지센서의 승강조작에 따라 상기한 작동레버는 스토퍼와 항상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작동레버와 스토퍼의 접촉이 빈번하여 접촉부위에서의 마모가 심한 결점이 있고, 또, 연장레버와 스토퍼의 접촉부위에서도 마모가 발생하여 내구성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의 스프울을, 상기한 유압 액츄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고속 구동위치와 작동유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저속 구동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상기한 대지작업장치에 대한 동략전달용 작업클러치를 연결시켰을 때에는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의, 스프울이 상기한 고속 구동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며, 클러치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규제를 해제하여 상기한 스프울이 상기한 고속 구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업클러치의 연결상태, 즉, 대지작업장치가 작업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한 규제부재에 의해 유압 제어밸브의 스프울이 상기한 고속 구동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대지작업장치는 적은 량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상승구동되며, 따라서, 완만한 승강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클러치가 차단된 상태에서는,작업장치의 작동위치에 관계없이 상기한 스프울의 규제는 해제되므로, 스프울은 스트로크 전체에 걸쳐서 자유로히 이동할 수 있다.
즉, 대지작업장치가 작동할 때에만 유압 액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강제로 승강작동을 시킬 때에는 신속하게 작업장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대지작업장치가 자동으로 승강작동할때에는 완만한 승강작동을 하게 되어, 헌팅이 발생되는 일이 없이,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 유압 제어밸브의 스프울이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일을 최소한으로 하였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7 도에 수답작업기의 한 예인 승용형 전식기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전식기는, 승용형 주행기체의 후부에 평행링크기구(1)를 사용하여, 모식부장치(2)(대지작업장치의 한예)를 자유자재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모식부장치(2)는, 단동형 유압실린더(3)(유압 액츄에이터의 한 예)의 신장작동에 의해 상승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모식부장치(2)는, 식부모를 탑재하며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한 모탑재대(4), 모탑재대(4)의 하단부로부터 모를 1포기씩 분리하여 포장(圃場)에 심는 식부기구(5), 흙의 표면에서 지지되어 활주하는 접지플로우트(6)(감지센서의 한 예)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흙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한 접지플로우트(6)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부심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흙의 표면에 대한 접지압의 변동에 따라 접지플로우트(6)를 승강시키는, 승강제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접지플로우트(6)에서, 뒷부분은 가로방향에서 중앙이 되는 부분을 자유자재로 요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고, 앞부분은 굴절링크(8)를 사용하여, 프레임의 역할도 하는 식부 전동케이스(7)에 고정시키므로써, 소정의 범위내에서, 흙의 표면에 대한 접지압의 변동에 따라 자유자재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와 제 4 도에서 표시하듯이, 상기한 유압실린더(3)를 제어하는 유압 제어밸브(V)의 스프울(9)과 연동되도록 핀(10)과 장공(11)에 의해 연결된 회동암(12)과 접지플로우트(6)의 앞부분을 요동레버(20)와 조작와이어(13)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시키며, 스프울(9)의 하강제어쪽으로 작용되도록 상기한 회동암(12)에 스프링(14)을 걸어주고, 접지플로우트(6)의 중량이 조작와이어(13)를 거쳐서 회동암(12)으로 전달되어 스프울(9)이 상승제어쪽으로 작용되도록 구성하여, 접지플로우트(6)가 흙의 표면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접지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압 제어밸브(V)를 조작하는 승강제어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4 도와 제 5 도에서 표시하듯이, 상기한 회동암(12)과 회전중심이 일치되는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레버(15)를 설치하고, 이 조작레버(15)와 연동하는 걸림편(16)이 상기한 핀(10)에 의해 걸리므로써, 상기한 스프울(9)이 하강제어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이 조작레버(15)를 중립위치(n)로 설정하면, 접지플로우트(6)의 승강에 관계없이 모식부장치(2)의 하강작동을 규제하여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며, 조작레버(15)를 상승위치(u)로 조작하면, 접지플로우트(6)의 상승에 관계없이 스프울(9)을 상승쪽으로 강제이동시켜서 모식부장치(2)를 상승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15)를 하강위치(d)나 식부위치(a)로 조작하면, 상기한 걸림편(16)은 상기한 핀(10)으로부터 큰 폭으로 떨어지며, 스프울(9)은 접지플로우트(6)의 승강작동에 따라서 스트로크 전체에 걸쳐서 자유자재로 이동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승강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조작레버(15)는 연장레버(15a)를 사용하여 식부클러치(17)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레버(15)를 식부위치(a)로 조작하면 식부클러치(17)가 연결되면서 모식부장치(2)가 구동상태로 되어, 모식부작업이 실시되며, 조작레버(15)가 식부위치(a)로부터 벗어나면, 식부클러치(17)가 차단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V)의 스프울(9)을, 상기한 유압 실린더(3)에 대한 유압작동유의 공급을 증가시키는 고속 구동위치와 유압 작동유의 공급을 감소시키는 저속 구동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상기한 식부클러치(17)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V)의 스프울(9)이 상기한 고속 구동위치로 되는 것을 규제하며, 식부클러치(17)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규제를 해제하여 상기한 스프울(9)이 상기한 고속 구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V)는 제 6 도에서 표시하듯이, 작동유의 공급을 증가시켜서 모식부장치(2)를 고속으로 상승작동시키는 고속 상승위치(P1), 유압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유량만 교축시키는 저속 상승위치(P2), 중립위치(P3), 저속 하강위치(P4), 고속 하강위치(P5)등의 각각의 조작위치가 있다.
상기한 규제부재(18)는 제 2 도에서 표시하듯이, 상기한 조작레버(15)의 회전보스부(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한 식부위치(a), 즉, 식부클러치(17)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요동레버(20)의 상승조작쪽으로의 이동을 소정의 위치, 즉, 상기한 저속 상승위치(P2)에서 규제하므로써, 스프울이 고속 상승위치(P1)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제 3 도 참조).
그러므로, 상기한 자동승강 제어작동시에는, 적은 유량의 작동유가 공급되어 모식부장치(2)의 상승작동이 서서히 이루어지므로, 헌팅이 없이 정확한 제어가 실시된다.
그리고, 조작레버(15)가 중립위치(n)나 상승위치(u)로 조작되면, 규제부재(18)는 큰 폭으로 떨어지므로 요동레버(20)를 규제하지 않게 된다.
조작레버(15)를 상승위치(u)로 조작하면, 상기한 걸림편(16)이 스프울(9)을 밀어주기 때문에 스프울(9)이 상승제어쪽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모식부장치(2)는 고속으로 신속하게 상승작동을 하게 된다.
제 6 도는, 제 5 도에 표시된 유압 제어밸브(V)를 유압 회로도로 표시한 것이며, (51)은 유압펌프로부터의 입력포트, (52)는 실린더(3)로 공급하는 실린터 포트, (53)은 탱크로 복귀하는 드레인포트이다. (V1)은 실린더(3)로의 작동유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이다.
도면과의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부호를 표기하였으나, 부호의 표기에 의하여,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유압 액츄에이터(3)의 작동에 의해 주행기체에 대해서 자유자재로 승강작동을 할 수 있도록 대지작업장치(2)를 설치하며, 이 대지작업장치(2)에 부착된 감지센서(6)가 감지하는 흙의표면에 대한 접지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한 유압 액츄에이터(3)에 대한 유압 제어밸브(V)를 제어하여, 대지작업장치(2)가 흙의 표면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감지센서(6)와 유압 제어밸브(V)의 스프울(9)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연동상태의 연결과는 관계없이 상기한 스프울(9)을 상승작동쪽으로 강제적인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V)의 스프울(9)을 상기한 유압 액츄에이터(3)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고속 구동위치와 작동유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저속 구동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상기한 대지작업장치(2)에 대한 동력전달용 식부클러치(17)를 연결시켰을 때에는 상기한 유압 제어밸브(V)의 스프울(9)이 상기한 구속 구동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며, 식부클러치(17)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규제를 해제하여 상기한 스프울(9)이 상기한 고속 구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부재(1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규제부재(18)는 상기한 식부클러치(17)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요동체이며, 이 규제부재(18)는, 상기한 감지센서(6)가 검출한 변위를 상기한 스프울(9)로 전달하는 요동레버(20)와 동일한 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견제부재(18)는 상기한 식부클러치(17)가 연결상태로 되면 상기한 요동레버(20)의 고속 구동위치의 경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KR1019920008001A 1991-10-04 1992-05-12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KR950002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7327A JPH0595711A (ja) 1991-10-04 1991-10-04 水田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257327 1991-10-04
JP91-257327 1991-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40A KR930007340A (ko) 1993-05-20
KR950002214B1 true KR950002214B1 (ko) 1995-03-15

Family

ID=1730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001A KR950002214B1 (ko) 1991-10-04 1992-05-12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95711A (ko)
KR (1) KR9500022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95711A (ja) 1993-04-20
KR930007340A (ko) 199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14B1 (ko) 수답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JPS6083505A (ja) トラクタ用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KR960009703B1 (ko) 논작업기의 승강제어장치
JP3286426B2 (ja) 移植機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2523290Y2 (ja) 水田作業機の油圧昇降装置
JPH0441788Y2 (ko)
JPS619209A (ja) 田植機の油圧制御機構
JPH0338982Y2 (ko)
JPH06153629A (ja) 水田作業機の昇降装置
JP2731682B2 (ja) 作業車の対地作業装置昇降構造
JPH0117935Y2 (ko)
JPH0328737Y2 (ko)
JP2598560Y2 (ja) 歩行作業機における走行車輪の昇降範囲切換構造
JP2774421B2 (ja) 水田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H0584004A (ja) 水田作業車輌における制御装置
JP3079005B2 (ja) 農用トラクタのシリンダケース
JPS646017Y2 (ko)
JP3229755B2 (ja) 農業機械の油圧昇降装置
JPH06153630A (ja) 水田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S62195208A (ja) 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昇降制御装置
JPH0260285B2 (ko)
JP2003102207A (ja) トラクタ
JPH0358682B2 (ko)
JP2002223606A (ja) 作業用走行車
JPH0387103A (ja) 対地作業機の油圧昇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