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99A - 순차 증폭기 - Google Patents

순차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99A
KR950002199A KR1019940014420A KR19940014420A KR950002199A KR 950002199 A KR950002199 A KR 950002199A KR 1019940014420 A KR1019940014420 A KR 1019940014420A KR 19940014420 A KR19940014420 A KR 19940014420A KR 950002199 A KR950002199 A KR 95000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stages
sequential
amplifier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1666B1 (ko
Inventor
엘. 에쉬 달렐
Original Assignee
엘. 에쉬 달렐
알에프 모니리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 에쉬 달렐, 알에프 모니리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엘. 에쉬 달렐
Publication of KR95000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5Distribut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08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in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2Circuits for receivers in which no local oscillation is generated
    • H04B1/24Circuits for receivers in which no local oscillation is generated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지연소자에 의해서 분리된 적어도 두개의 층폭기단을 갖는 순차증폭기로서 스위칭 수단은 증폭기단간에 발생하는 발전이 없는한 입력신호의 최대이득을 얻도록 주어진 시간에서 증폭기단의 두개 또는 하나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따라서 피드백의 역 영향없이 인접 증폭기단에 의해 신호가 증폭되게 한다.

Description

순차 증폭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4도는 본 발명의 일반 블록도.

Claims (19)

  1. 신호입력 및 신호출력을 가지며 주어진 주파수에서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에 있어서, 각각의 증폭기단이 주어진 주파수에서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연속시간 구간을 가지며 출력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 ; 앞쪽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입력신호가 뒤쪽 증폭기에 연결되기 전에 미리 설치한 시간지연을 발생키기기 위하여 그리고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간에서 발진을 발생하기 전에 시간구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증폭기단중 앞쪽 증폭기를 뒤쪽 증폭기에 연결시키는 지연수단 ;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간의 발진을 야기시키는 피드백이 없는한 입력신호의 최대이득을 얻도록 시간구간동안 중복부를 증폭하며 그 후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간의 발진을 방지하도록 한 증폭기단은 에너지를 소모하도록 하여 입력신호의 최대이득의 전류 증폭기단과 상호간섭하는 피득백없이 각 증폭기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 중 하나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폭기단은 증폭기단간에 발생하는 발진에 앞서 에너지 공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은 시간 구간동안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에서 각각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진 주파수는 라디오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진 주파수는 오디오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5. 제1항에 있어서, 지연수단은 지연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지연라인은 표면음파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7.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이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8.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이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9. m≥3일때 각각의 증폭기 단이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연속시간 구간을 가지는 m개의 증폭기단 ; 각각의 증폭기단이 m개 증폭기중 하나로부터 증폭된 입력신호가 m개 증폭기중 뒤쪽 증폭기에 연결되기 전에 미리 설정한 시간지연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m개 증폭기단중 두개의 연속증폭기를 각각 연결시키는 m-1개의 지연라인 ; 입력신호의 최대 이득을 얻도록 두개의 연속한 증폭기단간에 발진을 야기시키는 피드백이 없는한 시간구간동안 중복부를 증폭하도록 두개의 연속한 m개의 증폭기단의 각각에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증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한 두개의 증폭기단중 앞선 하나가 적어도 두개의 연속한 증포기단간에서 발진을 시작하기 앞서 에너지를 소모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은 시간구간동안 적어도 두개의 연속한 증폭기단의 각각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11. 제9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은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증폭기.
  12. 제9항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는 ; m개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록을 포함하며, 제1출력신호는 m개의 증폭기중 제1증폭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 제2출력신호는 m개의 증폭기중 제2증폭기 만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 그리고 증폭기간의 발진을 야기시키는 피드백이 없는한 출력신호의 최대이득을 얻기 위해 m개의 증폭기중 m번째 증폭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m번째 출력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증폭기.
  13. 제9항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는 m개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바, m개의 멀티바이브레이터 각각은 증폭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m개의 증폭기중 대응하는 증폭기와 그리고 연속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동작하기 위해 연속한 하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접속된 출력펄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증폭기.
  14. 다수의 증폭기 단을 이용하여 주어진 주파수에서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증폭기단이 주어진 주파수에서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연속시간 구간을 가지며 입력신호의 증폭의 적어도 연속한 제1 및 제2증폭단을 제공하는 단계 ; 하나의 증폭기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지연후 연속한 증폭기단과 결합하도록 연속증폭기단과 하나의 증폭기단간에 신호지연수단을 결합시키는 단계 ; 증폭기단간의 상호간섭을 야기시키는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한 시간구간동안 중복부를 증폭하여 입력신호의 최대 이득을 얻도록 제1 및 제2연속증폭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 제1 및 제2증폭기단간에 발진이 발생하기전에 제1증폭기단만 에너지를 소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의 안정이득을 개선시키기 위한 순차증폭기.
  15. 각각의 증폭기단이 m≥3일때 전자신호의 증폭을 위한 연속시간구간을 가지며 m개의 증폭기단중 제1의 한증폭기단과 전자신호를 연결시키는 단계 ; 하나의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전기신호가 그 다음 증폭기에 연결되기 전에 미리 설정한 시간 지연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m개의 증폭기단 중 연속하는 두개의 단 각각을 m-1개의 지연라인중 하나와 연결시키는 단계 ; 신호의 최대이득을 얻도록 상기 두개의 연속한 증폭기단중 하나간에 발생하는 발진이 없는한 시간 구간동안 중복부를 증폭하도록 m개의 증폭기단중 두개의 연속한 증폭기단에 연속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 두개의 연속한 증폭기단간에 발진이 발생하기 전에 두개의 연속한 증폭기단중 제1의 하나에 에너지 소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를 순차적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방법.
  16. 변조된 RF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수단을 포함하고, 변조된 RF 주파수 입력 신호로 부터 미리 설정한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신호 수신수단에 연결된 주파수 동조장치를 포함하고, 선택된 RF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동조장치에 연결된 순차증폭기 회로를 포함하는바, 상기 순차증폭기 회로는 ; 각 증폭기단이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연속시간 구간을 가지며 출력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 ; 앞쪽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입력신호가 뒤쪽 증폭기에 연결되기 전에 미리 설치한 시간지연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중 앞쪽 증폭기를 뒤쪽 증폭기에 연결시키는 지연장치 ; 증폭기단간의 상호간섭을 야기시키는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한 시간구간동안 중복부를 증폭하여 입력신호의 최대이득을 얻도록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 ;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단간에 발진이 발생하기 전에 적어도 두개의 증폭기간중 제1단에서 에너지를 소모하는 스위칭 수단 ; 순차증폭기에 연결되어 변조신호를 복구하기 위한 검출기 ; 검출기에 연결되어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 복구된 변조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출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수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복구된 변조신호는 아날로그 데이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수신기.
  18. 제16항에 있어서, 복구된 변조신호는 디지탈 데이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수신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데이타 신호는 오디오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수신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4420A 1993-06-23 1994-06-23 순차 증폭기 KR100201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81,802 1993-06-23
US08/081,802 US5357207A (en) 1993-01-21 1993-06-23 Sequential ampl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199A true KR950002199A (ko) 1995-01-04
KR100201666B1 KR100201666B1 (ko) 1999-06-15

Family

ID=2216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420A KR100201666B1 (ko) 1993-06-23 1994-06-23 순차 증폭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57207A (ko)
EP (1) EP0631380B1 (ko)
JP (1) JP2855076B2 (ko)
KR (1) KR100201666B1 (ko)
CA (1) CA2124718C (ko)
DE (1) DE69421212T2 (ko)
TW (1) TW2360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117A (en) 1996-01-26 1998-07-28 Rf Monolithics, Inc. Receiver/transmitter having common elements
EP0841755A1 (de) * 1996-11-08 1998-05-13 DELTEC Nachrichtentechnik GmbH Stromsparender und empfindlicher Hochfrequenzempfänger unbedingter Stabilität
FR2763187B1 (fr) * 1997-05-07 1999-07-02 Adeunis R F Systeme de transmission radioelectrique a recepteur equipe d'un dispositif de filtrage de bande de reception a resonateur a ondes de surface
US6735034B1 (en) * 2000-06-22 2004-05-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lative timing sequence for reader amplifiers
US7260375B2 (en) * 2002-11-06 2007-08-21 Rf Monolithics, Inc. Frequency agile RF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3268A (en) * 1961-03-31 1963-12-03 Ling Temco Vought Inc Coherent multi-mode repeater
JPS5330212Y2 (ko) * 1972-09-22 1978-07-28
US3921085A (en) * 1973-11-23 1975-11-18 William J Keane Frequency discriminator apparatus
JPS62241497A (ja) * 1986-04-14 1987-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ウリング抑制装置
KR900008524B1 (ko) * 1987-08-19 1990-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성수신기의 지대지간섭 제거를 위한 탄성표면파 필터
JPH0642637B2 (ja) * 1988-08-12 1994-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低周波電力増幅用パワーセイブ回路
JPH0350903A (ja) * 1989-07-19 1991-03-05 Toshiba Corp 電力増幅回路
US4952832A (en) * 1989-10-24 1990-08-2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US5099204A (en) * 1990-10-15 1992-03-24 Qualcomm Incorporated Linear gain control amplifier
US5175871A (en) * 1991-08-08 1992-12-29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 Holding Inc. Power amplifier for a cellular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1380A1 (en) 1994-12-28
JPH0758560A (ja) 1995-03-03
KR100201666B1 (ko) 1999-06-15
TW236049B (en) 1994-12-11
EP0631380B1 (en) 1999-10-20
DE69421212T2 (de) 2000-09-28
CA2124718A1 (en) 1994-12-24
DE69421212D1 (de) 1999-11-25
JP2855076B2 (ja) 1999-02-10
US5357207A (en) 1994-10-18
CA2124718C (en) 199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36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izing an efficient class D/E power amplifier using delta modulation
MY112208A (en) Radio frequency amplifier having improved ctb and cross modulation characteristics
EP0945977A3 (en) Power amplifier
JP3473492B2 (ja) Ask変調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AU2001279113A1 (en) Ampl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fixed and modulated power supply voltages and buck-boost control
EP0886372A3 (en) Oscillator circuit containing a noise prevention circuit
WO2000070746A8 (en) Power modulation systems and methods that separately amplify low and high frequency portions of an amplitude waveform
WO2002003542A3 (en) System and method for noise and spurious suppression in power amplifier systems
KR950002199A (ko) 순차 증폭기
EP0299665A3 (en) Power amplifier circuit with a stand-by state
JP2753433B2 (ja) Tdma通信機の送信制御回路
JPH1127058A (ja) パルス幅変調オーディオアンプ
KR102020574B1 (ko) 고전압 고효율 신호발생기 및 그 방법
EP1130817A3 (en) Optical modulator including a self optimized RF input driver
EP1032122A3 (en) Distortion compensating device
DE59712156D1 (de) Empfänger mit niedrigem Ruhestrom
EP0635934A3 (en) Constant-amplitude wave combination type amplifier
JP2900578B2 (ja) 電力モニタ方式
JP2758289B2 (ja) 電子銃のバイアス回路
JPS5840686Y2 (ja) テレビジョン用リモ−トコントロ−ル受信機
ATE276601T1 (de) Setup-verfahren für linearisierschaltung
SU1256144A1 (ru) Усилитель с дискрет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напр жением питани
JPS55166314A (en) Pulse duration modulating/amplifying circuit
JPH05244206A (ja) プリディストータ
JPH04160908A (ja) 圧電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