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662Y1 -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662Y1
KR950001662Y1 KR92002183U KR920002183U KR950001662Y1 KR 950001662 Y1 KR950001662 Y1 KR 950001662Y1 KR 92002183 U KR92002183 U KR 92002183U KR 920002183 U KR920002183 U KR 920002183U KR 950001662 Y1 KR950001662 Y1 KR 950001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support frame
cover
heigh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2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876U (ko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태 filed Critical 이종태
Priority to KR92002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662Y1/ko
Publication of KR930019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최초시공시의 단면 구조도.
제3도는 노면 덧씌움으로 인하여 노면이 덮개보다 높아 졌을때 덮개위치를 노면과 일치시키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예시도로서, (a)는 상승높이(W)에 맞는 두께의 상높이조절륜을 결합시킨 상태도, (b)는 (a)상태에서 덮개받침부에 하부높이조절블럭을 결합시킨 상태도, (c)는 높이조절이 완료된 (b)상태에서 덮개를 복착시킨 시공완료 상태도.
제4도는 종래구성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틀 11 : 장요홈
12 : 체결구멍 13 : 포켓
14 : 체결보울트 15 : 너트
17 : 돌출턱 20 : 상부높이조절륜
21 : 돌기 30 : 하부높이조절블럭
40 : 덮개
본 고안은 상. 하수도 또는 가스, 통신케이블 등의 유지관리용 맨홀에 있어서 초기 시공이후에 노면 덧씌우기공사등으로 인한 노면 단차가 발생할 경우 높아진 단차만큼 맨홀의 높이를 상승시켜 노면과 맨홀덮개의 높이를일치시킬수 있게 하는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을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설치된 맨홀부위는 덧씌우기등의 노면 보수로 인하여 노면이 맨홀표면보다 높아져서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를 즉시 일치되게 보수하지 않으면 교통장애 및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종래의 맨홀구성은 단순히 받침틀과 덮개를 결합한 구조로서, 최초시공시에는 먼저 받침틀을 매설하고 그위에 덮개를 복착시켜 사용하는 재래식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재래식 맨홀덮개를 덧씌우기 등으로 높아진 노면과 일치시킬려면 맨홀부위를 굴착하여 받침틀을 철거한후, 기초지면을 상승시키고 그위에 다시 받침틀을 안치하여 그 외곽을 콘크리트로 양생시켜야만 비로서 노면과 맨홀덮개가 수평화 되는 보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수작업은 노면굴착, 받침틀제거, 콘크리트 시공등의 복잡한 작업 조건 때문에 교통을 차단한 상태로 장시간 동안 작업을 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초지반 및 주변콘크리트의 양생완료시까지를포함한 보수완료시 까지는 상당시간동안 교통체증 현상을 유발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완전 양생이 않된 상태에서 차량을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기초가 파손되어 맨홀덮개부위가 다시 침하되는 문제점도 빈번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노면 굴착작업을 행하지 않고 기존의 받침틀위에 또다른 받침틀을 복층 결합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국내공개실용공보(공개번호 90-10204호)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고안은 노면굴착작업 없이도 보수공사(노면일치작업)를 행할수는 있으나, 노면과 맨홀덮개높이 차이를 정확히 일치시킬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고안의 구성은 제4도에서와 같이 받침틀(1)의 덮개안치부(2)위에 또다른 높이조절대(A)를 개제시키는 구조로서, 높이조절대(A)에도 덮개안치부(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대(A)의 덮개안치부높이(C)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보수노면의 예정 높이가 높이조절대상단보다 낮을 경우(D), 또는 이보다 높을 경우(E)에는 수평화 시킬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런 경우 맨홀부위의노면을 다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작업을 하거나(노면을 선시공한경우), 또는 노면 시공예정높이를 변경하여야(노면을 후시공할 경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고안으로는 일본국 공개실용공보(소61-112059)가 알려져 있으며, 맨홀에 매설되는 받침틀과 그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판, 그리고 덮개가 안치된 높이조절판 밑에 고여지는 고임판과, 높이조절판의 외주연에설치되는 보호링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노면이 상승됨에 따라서 높이조절판 밑의 고임판을 적층. 상승 시켜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되, 높이조절판과 노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링을 매번 교체 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 노면굴착이 선행됨과 아울러 보호링교체 등의 장시간에 걸친 복잡한 작업공정을 필요로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보완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이며. 노면굴착 작업없이 빠른시간내에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노면의 덧씌움 두께에 따라 덮개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할수 있도록함에 그 목적이 있는바,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고안은 맨홀 상부에 매설되는 받침틀(10)과, 받침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높이조절륜(20)과, 받침틀 내부의 플렌지에 결합되는 하부높이조절블럭(30)과, 하부높이조절 블럭에 얹혀지는 덮개(40)이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받침틀(10)의 상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요홈(11)이 형성되고 그 사이마다 형성된 체결구멍(12)들은 내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포켓(13)들과 각각 수직상으로 연통된다.
이들 포켓(13)은 너트 결합홈으로서, 체결공(12)에 끼워지는 체결보울트(14) 하단부에 너트(15)를 쉽게 결합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받침틀 내벽면의 플렌지(16)는 덮개(40)가 얹혀지는 부위로서 그 내면쪽으로 복수개의 돌출턱(17) 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구멍(18)을 갖고 있다.
돌출턱(17)은 포겟(13)을 가로막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턱(17)에 블럭이 적층된 상태에서도너트를 결합시킬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부높이조절륜(20)은 받침틀(10)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저면에는 받침틀상면의 장요홈(11)과 일치될수 있는 돌기(21)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21)사이마다 받침틀의 체결공(12)과 일치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높이조절륜(20)은 노면이 상승되었을 경우에 받침틀(10) 상면에 조립되어 노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사영하는 것이며, 그 두께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필요한 두께를 선택,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부높이조절블럭(30)은 받침틀(1)의 플렌지(16)에 형성된 돌출턱(17)에 체결되는 일종의 고임판으로서, 덮개(40)의 높이를 상승시켜주는데 사용되며, 이 역시 두께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선택, 사용할수 있게 하고,상부높이조절륜(20)의 두께와 동일두께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하부높이조절블럭(30)에는 돌출턱(17)의 구멍(18)과 일치될 수 있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구멍에 보울트를 끼워 체결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최초 시공시에는 제2도의 상태처럼 받침틀(10)의 플랜지(16)위에 덮개(40)를 복착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덧씌우기 또는 노면보수등에 의해서 노면이 높아지게 될 경우에는 먼저 해당 상승높이(W)에 맞는두께의 상부높이조절륜(20)을 받침틀(10) 상주연부에 결합시키고 각부위를 체결보울트(14)로 고정시킨다
이때는 장요홈(11)에 돌기(21)가 접촉되게 결합시키고 일치된 상하부체결공(12)(22)에 체결보울트(14)를 끼워 준후 포켓(13)을 통해서 너트(15)를 접속시켜 이들을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 일체의 유동없는 체결력을유지할 수 있게되며, 이에 의해서 받침틀(10)의 상단은 노면과 수평화 될수 있다.
이상태에서 덮개(40)가 얹혀지는 플렌지(16)에도 상부높이조절륜(20)과 동일두께의 하부높이조절블럭(30)이 조립되며, 복수개의 하부높이조절블럭(30)을 돌출턱(17)에 얹져놓고 이들의 구멍(18)(31)을 일치시킨후 보울트로 체결시키므로서 그위에 얹혀지는 덮개(40)의 높이가 상부높이조절륜(20)과 일치될수 있는 것이다.
하부높이조절블럭(30)은 필요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승높이에 따라서 이들 높이조절부재는 얇은 두께의 것을 북층으로 설치할수 있으며, 두꺼운 것과얇은것을 이용하여 노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정확히 시공할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기존의 맨홀덮개부위를 굴착 또는 철거하지 않고도 상. 하부높이 조절부재만 적층조립하는 작업만으로 손쉽게, 그리고 빠른시간내에 시공완료할수 있고, 노면보수공사와 동시에 맨홀덮개의 높이를시공할수 있으며 교통장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다.
또한 상부높이조절륜(20)의 돌기(21)가 받침틀(10)의 장요홈(11)에 결합되면, 차량등의 계속되는 충격, 하중에도 요동됨이 없고 어느방향으로든 밀리지 않으며, 이들 높이조절부재의 두께를 단위별로 형성하여 현장여건에 맞는것을 선택사용할수 있으므로, 정확한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맨홀의 자연침하로 인한 소폭의 높이차이도 손쉽게 보수가능하여 노면평탄성유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받침틀 플렌지에 일정간격으로 돌츨턱(17)을 형성하여 이에 각각 별개체로된 하부높이조절블럭(30)을 안치시키고 보울트로 고정하여 그위에 덮개(40)를 얹져주게한 덮개높이조절부와, 복수개의 장요홈(11)을 가진받침틀(l0)상면에 복수개의 저면돌기(21)를 가진 상부높이조절륜(20)을 결합하여 이들의 일치된 체결공을 체결보울트로 고정하는 받침틀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92002183U 1992-02-15 1992-02-15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950001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183U KR950001662Y1 (ko) 1992-02-15 1992-02-15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183U KR950001662Y1 (ko) 1992-02-15 1992-02-15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76U KR930019876U (ko) 1993-09-24
KR950001662Y1 true KR950001662Y1 (ko) 1995-03-11

Family

ID=1932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2183U KR950001662Y1 (ko) 1992-02-15 1992-02-15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6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402B1 (ko) * 2008-07-21 2010-05-24 김봉락 뚜껑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76U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152A (en) Adjustable manhole cover support with shield
US6457901B1 (en) Adjustable manhole apparatus
US4976568A (en) Device for raising level of manhole cover
US4582450A (en) Universal manhole adjusting ring
US20020136604A1 (en) Adjustable height utility access device
US6371688B1 (en) Manhole cover mounting structure
US20140311048A1 (en) Utility chambers and surrounds and methods therefor
US6953302B1 (en) Adjustment riser for a manhole frame
US6035581A (en) Road surface aperture frames and covers
US4995757A (en) Manhole cover annular support for repaved street
KR950001662Y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WO1999036633A1 (fr) Trou d'homme a reglage de hauteur
GB2207164A (en) An extension ring for a manhole frame
JP4072716B2 (ja) 自由勾配暗渠側溝
KR20040012148A (ko) 맨홀뚜껑 높이 조절장치
KR10068182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516066B2 (ja) マンホ―ルの蓋高さ調整装置
AU2020102484A4 (en) A cover assembly
JPH09268585A (ja) 鉄蓋用の受枠
JPS5835731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嵩調整リング
JP3007146U (ja) マンホールの蓋レベル調整部材
KR960003875Y1 (ko) 조립식 제수용 맨홀
JP2918675B2 (ja) マンホールの鉄蓋受け枠構造
JP3020178U (ja) 高さと勾配の調整及び修正が簡便なマンホール蓋受枠
KR20010005358A (ko) 맨홀의 높이 및 설치각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