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63B1 -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63B1
KR950001363B1 KR1019910022841A KR910022841A KR950001363B1 KR 950001363 B1 KR950001363 B1 KR 950001363B1 KR 1019910022841 A KR1019910022841 A KR 1019910022841A KR 910022841 A KR910022841 A KR 910022841A KR 950001363 B1 KR950001363 B1 KR 95000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portion
face plate
funnel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413A (ko
Inventor
게이따로 쯔꾸이
쥰꼬 이또
겐이찌 우미노
고지 나까무라
뎃신 야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51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324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4300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8205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부분외관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의 주요부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의 주요부의 다른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의 부분외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장치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장치의 제조방법의 1예를 설명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도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다른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장치의 제조방법의 1예의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장치의 제조방법의 1예의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장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 장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제19도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다른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 장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또다른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 장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다른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25도는 제24도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의 부분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부분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15의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부분단면도.
제28도는 종래예 1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의 1/4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응력분포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30도는 종래예 2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31도는 종래예 3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32도는 종래예 4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패널페이스 1c : 금속체
1d : 코너부 2 : 측벽부
4 : 밴드 5 : 보강판
8 : I형 들보 10A : 상부 금속체
10B : 하부 금속체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등에 사용되는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이하, CRT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제28도는 종래예 1에 의한 CRT의 주요부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1)은 앞면에 마련된 패널페이스(1a)와 이것에 연결되는 측부의 패널스커트(1b)로 구성되는 패널, (2a)는 퍼낼이다. 상기 패널(1)과 퍼넬(2a)는 모두 유리제로서 양자는 유리땜납인 프릿유리(3)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4)는 패널스커트(1b)에 감겨진 금속제 밴드이다.
또한, 뒤쪽에는 전자총을 내장하는 네크부를 갖지만, 이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패널페이스(1a)와 네크부 사이에 개재하는 측벽부(2)는 패널스커트(1b)와 퍼넬(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CRT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면, 대기압에 의해서 패널페이스(1a)의 중앙부는 내면쪽으로 변형하고, 패널스커트(1b)는 외면쪽으로 부풀어오르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CRT 표면의 대부분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하지만, 이 CRT의 1/4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응력분포상태를 설명하는 제29도의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 즉 CRT의 앞면둘레 가장자리부와 측벽부(2)의 일부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압축응력하에서 높은 강도를 나타내지만 인장응력하에서는 강도가 낮고, 특히 CRT의 외면은 제조시등에 미세한 흠이 발생하기 쉽고, 이것이 인장강도 저하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유리제의 CRT에서는 외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극력 배려하고 있다. 그러나, 4각형에 가까운 CRT에서는 제29도에 도시한 영역에 전과 다름없이 인장응력이 작용하고 있다.
제28도에 도시한 종래의 CRT는 모두 유리제이므로, 유리의 판두께를 늘리는 것에 의해 인장응력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특히 대형의 CRT에서는 유리의 판두께가 매우 두껍게 되어 중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예2로서 일본국 특허공보소화 56-34983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즉, 이것은 제3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2)를 금속제로 한 것이지만, 이와 같은 CRT를 진공으로 했을 때 유리제인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는 외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종래예1의 전유리제의 CRT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상기 금속제 CRT에서는 측벽부(2)와 패널페이스(1a)를 봉해서 접착하고 있는 프릿유리(3)에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예 3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2-86033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것은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페이스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측벽부(2)에 걸친 부위를 금속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CRT에서는 금속부가 거의 일정한 강성으로 되어 있고,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금속부 전체의 판두께를 증가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고 있어 중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예 4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3-96848호에 개시된 CRT는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보강틀(10)을 마련하고, 이 보강틀(10)에 음극선관을 임의의 강도로 압축하는 가변길이의 압축자(11)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측벽을 구성하고 있는 퍼넬(2a)가 유리이므로 측벽의 에지부 근처를 압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량이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CRT는 패널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금속체로 형성하고, 이 금속체의 바깥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패널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가까운 부위에 강성의 밴드를 팽팽한 상태로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중의 적어도 밴드에 대향하는 코너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속중의 적어도 밴드에 대향하는 코너부에 보강판을 접합해도 좋다. 상기 보강판은 측벽부를 구성하는 금속체보다 고강도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 금속체중의 적어도 상기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를 금속체의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를 금속체의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부를 포함하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수단은 채용해도 좋다.
상기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를 금속체의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의 내면에 둘레방향의 리브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해도 좋다.
또, 상기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를 금속체의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패널페이스측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의 내면에 축방향의 리브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 금속체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측의 부위와 네크측의 측벽부 부위가 교차하는 에지부를 금속체의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앞면에 마련되는 패널페이스, 뒤쪽에 마련되는 전자총을 내장하는 네크부 및 상기 패널페이스와 네크부 사이에 개재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금속체로 형성하여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체의 바깥둘레에 보강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틀위에 측벽의 에지부를 임의의 강도로 압축하는 가변길이의 압축자를 여러개 마련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금속체의 측벽위에 미리 압축자의 선단이 닿는 위치결정부를 설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CRT에서는 유리에 비하여 강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하고 있고, 게다가 밴드의 장력에 의해서 응력이 적정하게 배분되어 있으므로 경량으로 해서 필요한 강도를 갖게 할 수가 있다.
또, 금속체의 코너부가 두껍게 되어 있으면 밴드를 조일때 응력이 코너부에 집중하는 것이 회피되고, 즉 다른 부위를 더욱 얇게 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두꺼운부 대신에 보강판을 사용하면 보강효과의 조정도 용이하게 되고, 또 보강판을 고강성인 것으로 구성하면 보강판 자체를 판두께가 작은 것으로 해서 전체의 경량화에 공헌할 수 있게 된다.
또, 금속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패널페이스측의 코너부를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구성한 경우도 금속체에 있어서의 강성이 적정하게 배분되어서 경량이지만 필요한 강도가 부여된다.
또, 금속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패널페이스측의 코너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수단을 채용할 때는 필요한 부분만의 강성을 높여서 패널페이스의 응력저감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된다.
또, 금속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패널페이스측의 코너부의 내면에 둘레방향의 리브, 또는 측방향의 리블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할 때는 측벽부 전체를 균일한 판두께의 금속체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또, 패널페이스측의 금속체를 상기 네크측의 측벽부의 금속체가 교차하는 에지부를 고강성으로 한 경우도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유리에 비하여 강도가 높은 금속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 금속체이 바깥둘레에 마련한 보강틀에 음극선관을 임의의 강도로 압축할 수 있는 여러개의 가변길이 압축자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이 압축자에 의해 측벽의 에지부를 압축하는 것에 의해서 응력이 적정하게 배분되기 때문에 경량이며, 또한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미리 압축자의 선단이 닿는 위치결정부를 상기 금속체의 측벽상의 바라는 부위에 설정해 두면 보강틀에 대한 압축자의 부착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포인트에 압축자의 선단을 닿게 해서 패널페이스 측벽의 에지부에 압축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가능성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CRT를 도시한 부분외관도 및 주요부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1c)는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2)를 구성하는 금속체로서, 이 예에서는 측벽부(2)의 전체, 즉 퍼넬(2a)의 부위까지가 상기 금속체(1c)로 구성되어 있다. (4)는 금속등의 강성의 밴드로서, 상기 금속체(1c)의 바깥둘레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가까운 팽팽한 상태로 감겨져 있다. 상기 금속체(1c)에 있어서의 밴드(4)와 대향하는 코너부(1d)는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페이스(1a)의 중앙부, 즉 영상이 비치는 부분은 예를 들면, EIAJ(일본 전자기계공업회)의 H8602제등의 유리로 형성되어 있고, 또 금속체(1c)로서는 상기 유리에 열팽창계수가 가깝고, 게다가 진공시의 가스의 발생이 적은 것, 예를 들면 SUS430의 강철제등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체(1c)는 절연을 위해서 피막(도시하지 않음)이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CRT의 내부를 진공으로 할때, CRT 표면에는 제29도와 마찬가지의 응력분포가 발생하지만, 상기 금속체(1c)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가까운 부위에 밴드(4)를 팽팽한 상태로 감고 있으므로, 상기 패널페이스(1a) 측의 인장응력을 상기 밴드(4)로 분산시켜서 저감시킬 수가 있다. 상기 CRT의 측벽부(2)까지가 금속체(1c)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되어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밴드(4)를 조이는 것에 의한 응력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밴드(4)를 조이는 것에 의해서 금속체(1c)의 밴드(4)에 대응하는 코너부(1d)에 응력이 집중해도 이 부위(1d)는 제2도와 같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응력이 집중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회피되고, 따라서 다른 부위를 얇게 해서 더욱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코너부에 대해서는 제3도와 같이 금속체(1c)의 외면, 또는 제4도와 같이 금속체(1c)의 내면에 보강판(5)를 접합해서 용접(6) 등으로 고정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보강판(5)에 의한 보강효과의 조정도 용이하게 된다. 이 보강판(5)를 금속체(1c)의 다른 부위보다 고강도인 재료로 구성하면, 이 보강판(5)를 가급적 얇게 해서 전체의 경량화에 도움이 될 수가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금속체(1c)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 및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1e)를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하기 위해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
이 제2 및 제3 실시예의 경우도 금속체(1c)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1a)의 앞면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 및 그 주변을 포함한 부위(1e)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널페이스(1a) 표면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저감됨과 동시에 금속체(1c)의 전역을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제7도는 상기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2)의 일부를 형성하는 금속체(1c)의 판두께를 패널페이스(1a)와 동일한 두께로 하고, 다른 네크측의 측벽부(2)를 형성하는 금속체(1e)의 판두께를 얇게해도 좋고, 이 경우는 금속체 전체의 판두께를 불필요하게 두껍게 하는 일 없이 필요한 부분의 강성을 높여서 경량이며, 또한 인장응력하에서도 높은 강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제7도의 장치에 있어서 판두께가 두꺼운 금속체(1c)와 판두께가 얇은 금속체(1e)를 제8도와 같이 별체로 하고, 판두께가 두꺼운 금속체(1c)를 패널페이스(1a)에 대해서 프릿유리(3)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함과 동시에 판두께가 얇은 금속체(1e)에 대해서는 용접(6)에 접합해도 좋고, 이 경우는 금속체의 판두께를 부분적으로 바꾸기 위한 기계가공이 불필요하고 제조가 간편하게 되어 가공원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금속체(1c)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그 주변을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고강성을 부여한 것이지만, 제4 및 제5의 실시예인 제9도 또는 제10도와 같이, 다른 보강판(7)을 금속체(1c)의 상기 특정부위에 용접(6) 등으로 접합, 고정하는 것에 의해 고강성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6의 실시예인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체(1c) 내면에 보강판(7), 대신에 축방향의 리브(7a)를 마련해서 고강성화 해도 좋고, 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두께는 동일하게 해서 상부 금속체(1c)와 하부 금속체(1e)를 별체로 하고 그중 상부 금속체(1c)를 패널페이스(1a)에 대하여 프릿유리(3)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함과 동시에 하부 금속체(1e)에 대해서 용접(6)에 의해 접합한 것에 있어서 상부 금속체(1c)의 내면에 축방향 리브(7a)를 마련해서 고강성화 해도 좋다.
또, 제7의 실시예인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체(1c) 내면에 둘레방 리브(7b)를 마련해서 고강성화 해도 좋고, 또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두께는 동일하게 해서 상부 금속체(1c)와 하부 금속체(1e)를 별체로 하고, 그중 상부 금속체(1c)를 패널페이스(1a)에 대하여 프릿유리(3)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함과 동시에 하부 금속체(1e)에 대해서는 용접(6)에 의해 접합한 것에 있어서 상부 금속체(1c)의 내면에 둘레방향 리브(7b)를 마련해서 고강성화 해도 좋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금속체(1c)에서의 상기 패널페이스측의 부위(1f)와 상기 패널측의 측벽부 부위(1g)가 교차하는 에지부(1h)에 I형 들보(8)을 마련하여 이 부위(1h)가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CRT에서는 금속체(1c)에 있어서의 양부위(1f)(1g)가 교차하는 에지부(1h)를 I형 들보(8)로 보강하여 고강성으로 하고 있는 것에 의해 CRT 내부를 진공으로 했을때, 에지부(1h)가 둘레위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널페이스(1a)가 내면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CRT의 앞면둘레 가장자리부와 측벽의 일부에 발생하고 있던 인장응력을 저감하고, 특히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패널페이스(1a)의 인장응력을 유효하게 저감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헛되게 금속체(1c) 전체의 판두께를 두껍게 해서 강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가장 필요한 부분(1h)만을 I형 들보(8)로 보강하여 고강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금속체(1c) 전체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어 경량이며, 또한 인장응력하에서도 강도가 높은 CRT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CRT 제조방법의 1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6도는 이 방법에 의한 CRT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금속체(1c)에서의 패널페이스(1a)의 앞면둘레 가장자리부 및 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2)를 형성하는 부위를 상부 금속체(10A)로 하고, 다른 부위를 하부 금속체(1B)로 해서 구성하고, 상부 금속체(1A)에 있어서의 상기 에지부(1h)이 내면에 I형 들보(8)을 용접(6)으로 접합한다. 다음에, 이 상부 금속체(1A)와 패널페이스(1a)를 프릿유리(3)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한다. 그후, 패널페이스(1a)에 형광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내면측에 마련한 I형 들보(8)에 새도마스크(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한다. 그리고, 별도로 형성된 네크(도시하지 않음)과 네크측의 측벽부 금속체의 하부 금속체(1B)의 접합체를 용접(6)에 의해 접합한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I형 들보(8)을 용접(6)으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에지부(1h)를 고강성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면측에 마련한 I형 들보(8)에 섀도마스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가공원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 종래의 CRT 제조시에 있어서는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페이스의 측벽을 고온 화로에 넣어서 프릿유리(3)으로 접합하고 있지만, 접합시에 접합부 이외도 고온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패널페이스(1a)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이 열에 의해서 손상을 받아 발광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지만, 이 제조방법에서는 패널페이스(1a)와 패널페이스측의 금속체(10A) 의 일부를 프릿유리(3)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한 후 패널페이스(1a)에 형광막을 형성하고, 별도로 형성된 네크와 네크측의 측벽부 금속체의 일부의 접합체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으므로, 형광막이 고온에 노출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형광막의 발광효율이 저하하지 않아 고성능의 CRT가 얻어진다는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에지부(1h)의 내면측에 I형 들보(8)를 마련했지만, 제9의 실시예인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부(1h)의 외면측에 I형 들보(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고강성화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외면측에 마련한 I형 들보(8)을 부착레그(도시하지 않음)와 겸용할 수 있게 되므로 가공원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대해서도 금속체(1c)를 상부 금속체(10A)와 하부 금속체(1B)로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18도에 도시한 CRT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상부 금속체(10A)와 하부 금속체(1B)를 접합한 후 용접(6)에 의해서 I형 들보(8)을 에지부(1h)에 접합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에지부(1h)의 내면 또는 외면측에 I형 들보(8)을 마련했지만, 제10의 실시예인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부(1h)의 내외 양면에 각각 I형 들보(8)을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에지부(1h)가 더욱 고강성으로 되어 응력저감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내면측의 I형 들보(8)에 새도마스크를 부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면측의 I형 들보(8)을 부착레그와 겸용할 수 있으므로, 가공원가를 크게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 대해서도 금속체(1c)를 상부 금속체(10A)와 하부 금속체(10B)로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20도에 도시한 CRT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에지부(1h)에 I형 들보(8)을 마련했지만 H형, T형, 홈형, 산형 등의 단면형상의 들보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고강성화해도 좋으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H형, T형, 홈형, 산형등의 단면형상의 들보인 경우에는 금속체(1c)와의 접함에 스폿용접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면용접에 비하여 가공원가를 크게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예에 대해서도 금속체(1c)를 상부 금속체(10A)와 하부 금속체(10B)로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고성능의 CRT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체(1c)의 에지부(1h)에 별체의 들보(8)를 접합해서 고강성화했지만, 금속체(1c)에 있어서의 패널측의 부위(1f)와 퍼넬측의 측벽부 부위(1g)를 제11의 실시예인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측에 가공해서 굴곡부(9)를 형성하고, 이것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에지부(1h)를 고강성화해도 좋다. 이 예에 대해서도 금속체(1c)를 상부 금속체(10A)와 하부 금속체(1B)로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22도의 주요부 단면으로 도시한 CRT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제21도에 도시한 금속체(1c)의 굴곡부(9)를 최후에 용접(6)에 의해서 접합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22도에 도시한 상부 금속체(10A)와 하부 금속체(10B)를 접합하는 공정이 없게 되므로 가공원가를 보다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9)는 제12의 실시예인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체(1c)의 외면측에 형성해도 에지부(1h)를 고강성화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외면측의 굴곡부(9)를 부착레그와 겸용할 수 있으므로 가공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예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고성능의 CRT를 얻을 수가 있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5도는 제24도에 도시한 음극선관 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a)는 유리제의 패널페이스, (1c)는 패널페이스(1a)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2)를 형성하는 금속체이고, 이 예에서는 측벽(2)전체, 즉 제28도의 종래예에서 도시한 퍼넬(2a)의 부분까지 금속체(1c)로 구성되어 있다.
(10)은 상기 측벽(2)의 바깥측에 마련된 보강틀로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 예를들면, 철이나 나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11)은 음극선관을 임의의 강도로 압축하기 위해서 상기 보강틀(10) 위에 마련된 여러개의 압축자이고, 예를 들면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형상의 것이 보강틀(10)의 상하에 각 5개, 좌우에 각 3개 마련되어 있고, 이 도면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1개만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그 이외는 그 중심선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축자(11)이 볼트형상의 것이면, 그 나사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압축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각 압축자(11)은 1개씩 개별로 그 압축력을 조정할 수 있고, 패널페이스의 측벽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금속체(1c)의 측벽의 에지부에는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압축자(11)의 위치결정부(1p)를 마련해 두고, 이 위치결정부(1p)에 압축자(11)의 선단이 닿도록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압축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부위에 댈 수가 있어 적정한 응력의 배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패널페이스(1a)의 중앙부, 즉 영상이 비쳐지는 부분은 예를 들면, EIAJ(일본 전자기계공업회)의 H8602제등의 유리로 형성되어 있고, 금속체(1c)로서는 상기 유리에 열팽창계수가 가깝고, 게다가 진공시의 가스발생이 적은 예를 들면, SUS430등의 강철제가 사용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CRT의 내부를 진공으로 할 때, CRT 표면에는 제29도와 마찬가지의 응력분포가 발생하지만, 상기 구성의 CRT는 금속체로 형성한 측벽의 에지부를 압축자로 압축하여,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패널페이스(1a)의 표면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이 압축에 의해서 에지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일부를 금속체로 구성한 얇은 두께의 CRT라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상기 제13의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부(1p)가 금속체(1c)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제14도의 실시예인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금속체(1c)상에 위치결정부(1p)를 갖는 받침대판(12)를 마련해도 좋고, 이 받침대판(12)의 부착위치를 고려하는 것에 의해 보강틀(10)에 대한 압축자(11)의 부착위치도 가장 효과적인 위치에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3 및 제14의 실시예에서는 압축자가 볼트와 같이 나사에 의해서 길이조정을 실행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압축자로서는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길이조정이 가능한 것을 자유롭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나사형의 압축자 대신에 예를 들면, 제15의 실시예인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이나 접시형스프링등의 스프링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재의 스프링압력을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에 비해 측벽의 에지부에 대한 압축력의 조정이 가능하여 실시예 13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금속체로 구성하고, 이 금속체의 바깥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패널페이스 둘레 가장자리부에 가까운 부위에 강성의 밴드를 팽팽한 상태로 감았으므로 금속체에 대한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게할 수가 있다.
또, 금속체에서의 밴드에 대응하는 코너부가 보강되어서 밴드를 조이는 것에 의한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가 있다. 또, 보강판을 고강도재로 구성하므로 이것을 가급적 얇게 해서 전체의 경량화를 더욱 촉진할 수가 있다.
또한, 금속체의 적어도 패널페이스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했으므로 경량이며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CRT를 얻을 수가 있다. 또, 패널페이스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두껍게 하거나 둘레방향리브나 측방향리브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금속체 전체의 판두께를 불필요하게 두껍게하는 일 없이 필요한 부분의 강성을 높여서 경량이며 또한 인장응력하에서도 높은 강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금속체에 있어서의 패널페이스측의 부위와 상기 네크측의 측벽부 부위가 교차하는 에지부를 다른 부위보다 고강성으로 형성했으므로 경량이며, 게다가 인장응력하에서도 강도가 높은 CRT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패널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부 및 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유리 대신에 금속체로 형성하고, 이 금속체의 바깥둘레 측벽에 마련한 보강틀에 부착한 압축자에 의해서 측벽의 에지부를 압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경량이며 강도가 높은 CRT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33)

  1.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및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을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퍼넬보다 두껍고, 상기 스커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코너와 동일 방향으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부터 세로로 연장하는 음극선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퍼넬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된 음극선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퍼넬은 각각 별도로 형성되고 함께 용접된 음극선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퍼넬보다 모든 곳이 두꺼운 음극선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코너부만이 상기 퍼넬보다 두꺼운 음극선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실질적으로 L형 단면부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는 프릿유리에 의해 납땜되어 결합된 음극선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는 납땜에 의해 결합된 음극선관장치.
  9.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및 상기 스커트부에 부착된 고강성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에 용접된 음극선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퍼넬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된 음극선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는 각각 별도로 형성되고 함께 용접된 음극선관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는 프릿유리에 의해 납땜되어 결합된 음극선관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는 납땜에 의해 결합된 음극선관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I형 단면부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15.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및 상기 스커트부에 부착된 고강성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에 용접된 여러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원주와 직교하고, 상기 스커트부와 교차하여 배치된 음극선관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원주에 평행하고, 상기 스커트상에 세로로 배치된 음극선관장치.
  18.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및 상기 스커트부에 부착된 고강성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I형 단면부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19.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및 상기 스커트부에 부착된 고강성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스커트부의 외면에 용접되고 I형 단면부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20.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및 상기 스커트부에 부착된 고강성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과 외면에 용접된 음극선관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I형 단면부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22.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및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스커트부의 일부는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코너와 동일방향으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로부터 세로로 연장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퍼넬은 굴곡부를 갖고,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굴곡부는 상기 퍼넬의 상기 굴곡부에 용접된 음극선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굴곡부와 상기 퍼넬의 굴곡부는 안쪽으로 굴곡된 음극선관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굴곡부와 상기 퍼넬의 굴곡부는 바깥쪽으로 굴곡된 음극선관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굴곡부와 상기 퍼넬의 굴곡부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 굴곡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가지며, 각 굴곡부의 상기 면은 서로 연결된 음극선관장치.
  26.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스커트부의 코너가 상기 스커트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껍고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및 상기 스커트부를 둘러싼 환형의 강성의 밴드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27.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상기 스커트부의 코너에 용접된 고강성 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스커트부를 둘러싼 강성의 밴드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스커트부의 외면에 용접되고, 상기 강성의 밴드는 상기 고강성 보강플레이트와 접촉하여 배치된 음극선관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에 연결된 음극선관장치.
  30.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상기 스커트부를 둘러싸는 4개의 코너를 갖는 고강성 보강틀 및 상기 4개의 코너중 2곳에 인접한 쌍사이의 상기 고강성 보강틀에 부착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안쪽방향으로 누르는 여러개의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고강성 보강틀상의 구멍내에서 회전에 의해서 조정되는 나사인 음극선관장치.
  32.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상기 스커트부를 둘러싸는고강성 보강틀 및 상기 고강성 보강틀에 부착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안쪽방향으로 누르는 여러개의 압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재는 한쪽끝이 상기 보강성 부재에 접착되고 다른 한쪽끝이 상기 스커트부에 접착된 스프링인 음극선관장치.
  33. 영상표시면을 형성하는 유리 페이스플레이트,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바깥둘레면에 연결된 틀형상의 금속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된 한쪽끝을 갖고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 퍼넬, 상기 퍼넬의 다른 한쪽끝에 연결된 네크,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네크에 배치된 전자총, 상기 스커트부를 둘러싸는 고강성 보강틀 및 상기 고강성 보강틀에 부착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안쪽방향으로 누르는 여러개의 압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압축부재의 선단을 수납하는 홈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KR1019910022841A 1991-01-16 1991-12-13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KR950001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276 1991-01-16
JP327691 1991-01-16
JP3151727A JPH04332443A (ja) 1991-01-16 1991-06-24 陰極線管装置
JP91-151727 1991-06-24
JP91-243002 1991-09-24
JP3243002A JPH0582052A (ja) 1991-09-24 1991-09-24 陰極線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413A KR920015413A (ko) 1992-08-26
KR950001363B1 true KR950001363B1 (ko) 1995-02-17

Family

ID=2727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841A KR950001363B1 (ko) 1991-01-16 1991-12-13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04890A (ko)
KR (1) KR950001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66B2 (ja) * 1993-06-30 1997-10-29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JP3212199B2 (ja) * 1993-10-04 2001-09-25 旭硝子株式会社 平板型陰極線管
JP3215765B2 (ja) * 1993-12-28 2001-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受像管の製造方法
WO1998018151A1 (en) * 1996-10-24 1998-04-30 Corning Incorporated Implosion-resistant cathode ray tube envelope
USRE38450E1 (en) 1997-02-06 2004-03-02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panel for a cathode ray tube
US5897927A (en) * 1997-06-30 1999-04-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al for vacuum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353283B1 (en) * 1997-10-20 2002-03-05 Corning Incorporated Implosion-resistant cathode ray tube envelope
KR20010063381A (ko) * 1999-12-22 2001-07-09 박영구 음극선관용 후면유리
CN2454899Y (zh) * 2000-12-12 2001-10-17 阮宝崧 用于拼接式大屏的显示管
JP2003016972A (ja) * 2001-06-27 2003-01-17 Sony Corp 陰極線管および表示装置
KR100600892B1 (ko) * 2001-07-23 2006-07-14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3602A (en) * 1935-11-05 1938-10-11 Schlesische Splegelglas Manufa Improvements in braun tubes for television
US2132783A (en) * 1936-04-24 1938-10-11 Markia Corp Electron discharge device
GB586797A (en) * 1944-08-10 1947-04-01 Chance Brother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athode ray bulbs
DE975461C (de) * 1951-05-19 1961-12-14 Siemens Ag Elektronenstrahlroehre, insbesondere Fernsehbildroehre, mit einem aus Metall bestehenden Roehrenkolben
GB720541A (en) * 1951-08-18 1954-12-22 Emi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athode ray tubes
US2635205A (en) * 1951-12-04 1953-04-14 Kenneth T Snow Grid mounting for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s
BE532722A (ko) * 1953-10-23
US2866187A (en) * 1955-01-13 1958-12-23 Richard A Fisch Insulating shield and mounting device for color television tubes
GB996494A (en) * 1962-04-09 1965-06-30 Kolster Brandes Ltd Cathode ray tubes
US4016364A (en) * 1975-10-20 1977-04-05 Zenith Radio Corporation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s with improved implosion protection system
US4054913A (en) * 1976-09-01 1977-10-18 Zenith Radio Corporation Hybrid implosion protection system for a flangeless faceplate color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4432464A (en) * 1981-09-09 1984-02-21 Thomas Electronics, Inc. Large metal cone cathode ray tubes, and envelopes therefor
GB2133210A (en) * 1983-01-07 1984-07-18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Envelope for a cathode-ray tube
DE3445628A1 (de) * 1984-12-14 1986-06-1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lache bildwiedergabevorrichtung
JPH0722000B2 (ja) * 1988-09-20 1995-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受像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04890A (en) 1994-04-19
KR920015413A (ko)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363B1 (ko) 보강틀을 갖는 음극선관장치
JP3520695B2 (ja)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US554740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icture tube
US4990825A (en) Cathode ray tube having stress resistant frame
US6392336B1 (en) Glass funnel for a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US6455992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JP2008186816A (ja) カラー受像管フェースプレートパネル
JPH04332443A (ja) 陰極線管装置
EP0881659B1 (en) Color cathode-ray tube
JP2003100235A (ja)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および陰極線管
US6614162B2 (en) Panel of cathode ray tube
KR100414488B1 (ko) 음극선관
JP2001319589A (ja) フレーム/マスク組立体を有する陰極線管
JPH03272551A (ja) ブラウン管
JPH03263738A (ja) 陰極線管装置
US5510671A (en) Inwardly convex vacuum envelope
JPH0479463B2 (ko)
KR100418037B1 (ko) 컬러 평면 음극선관
KR200151973Y1 (ko) 완전평면 브라운관의 마스크 지지 구조체
JP3165963B2 (ja) 平面ブラウン管とキャビネットとの結合装置
KR100301665B1 (ko) 평면브라운관용밴드
KR20030007157A (ko) 텐션 조정 특징부를 갖는 텐션 밴드를 설치한 음극선관
JPH0877949A (ja) 受像管
KR960004559Y1 (ko) 브라운관의 방폭밴드
KR20040071443A (ko) 평면음극선관의 밴드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