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202B1 -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02B1
KR950001202B1 KR1019910014662A KR910014662A KR950001202B1 KR 950001202 B1 KR950001202 B1 KR 950001202B1 KR 1019910014662 A KR1019910014662 A KR 1019910014662A KR 910014662 A KR910014662 A KR 910014662A KR 950001202 B1 KR950001202 B1 KR 95000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riving
data
signal
head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083A (ko
Inventor
김홍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202B1/ko
Publication of KR93000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프린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갭 조정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인자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CPU 201 : 포트 메모리
202 : 디코더 203 : 타이머
204 : 센서 205 : 래치
206, 207 : 구동펄스발생기 208 : 게이트
209 : 헤드구동부
본 발명은 프린터에서 헤드갭을 감지하고 감지된 헤드갭에 따라 헤드 구동펄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렬 인자 방식의 프린터에서 인자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헤드를 이동시키는 캐리지부분, 헤드핀을 구동시켜 인자를 실행하는 헤드부분, 인쇄용지를 1라인씩 이동시키는 라인 피드 부분 등의 기구부(mochanism part)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캐리지와 라인 피드 부분은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에 의해 구동되며 헤드 부분은 별도의 헤드핀 구동회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carriage) 및 헤드의 구동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1도와 같이 헤드핀 구동시 플라텐(platen)과 헤드의 캡(gap)에 관계없이 일정주기를 갖는 헤드 구동펄스를 고정시켜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린터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타이머(103)는 CPU(100)의 제어하에 적절한 구동시간값이 세트된다. 이 경우 상기 CPU(100)는 특징어드레스를 출력하며, 상기 디코더(102)는 상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타이머(103)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디코딩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102)에 의해 타이머(103)가 인에이블된후, 상기 CPU(100)는 타이머(103)가 적절한 시간값을 갖도록 시간 데이타를 출력하면 상기 타이머(103)는 수신 시간 데이타 값으로 세트된다. 이때 상기 시간 데이타는 인자를 인쇄하는 화소수(Dot Per Inch : DPI)에 의해 설정되며, 두 타이머의 시간 데이타는 각각 다른 시간값을 갖도록 세트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타이머(103)에 시간값이 세트되면, 상기 타이머(103)는 클럭에 의해 시간값을 계수하며, 세트된 시간값이 "0"가 되면 상기 CPU(100)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헤드가 구동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헤드 타이머(103)가 계수 종료하면, 상기 CPU(100)는 이를 INT단자로 수신하여 헤드 구동시기임을 인지한다. 그러면 상기 CPU(100)는 폰트 메모리(FONT MEMORY)(101)로부터 인자할 문자 데이타를 억세스하고, 상기 디코더(102)로 래치(104)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이로인해 상기 래치(104)는 상기 폰트 메모리(101)로 부터 출력되는 문자 데이타를 래치한다. 그리고 상기 CPU(100)는 상기 디코더(102)로 헤드 구동펄스 발생부(105)를 인에블 시키기 위한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펄스 발생부(105)가 인에이블 되어 헤드 구동펄스(Strobe pulse)를 헤드 구동부(106)로 출력하며, 이로 인해 상기 헤드 구동부(106)는 상기 헤드 구동펄스 주기동안 상기 래치(104)를 출력하고 있는 문자 데이타를 헤드부로 인가한다. 따라서 헤드 핀이 상기 헤드 구동펄스 주기동안 구동되어 인자를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린터에서는 헤드와 플라텐간의 갭을 조정하는 헤드갭 조정 레버(head gap adjust lever)가 단순히 기구적으로 용지폭에 따라 조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로인해 현재 헤드와 플라텐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헤드핀 구동시에는 헤드갭에 관계없이 사양(spec)상에 정해진 용지 인쇄능력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시간동안 무조건 헤드핀을 구동하게 된다. 이경우 용지에 인자실행시 필요시간이상으로 헤드핀을 구동하여 과도한 소음(accoustic noise)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구동펄스가 길어지는 관계로 인쇄속도 저하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에서 헤드갭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헤드갭에 따라 헤드핀의 구동주기를 가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린터에서 인자 실행 명령시 센서로부터 헤드갭을 인지하여 헤드핀의 구동펄스 주기를 세트하고, 인자 실행과정에 상기 세트된 구동펄스 주기로 헤드핀을 구동하여 소음 감소 및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구성도로서,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폰트 메모리(201)와, 인쇄 실행 명령 수신시 제2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수신되는 헤드갭 데이타를 분석하여 일정 간격 이하일시 제1구동 데이타 (α를 세트하고 일정 간격 이상일시 제2구동 데이타 ( α+ β)를 세트하고, 인터럽트 신호 수신시 상기 폰트 메모리(210)를 제어하여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5어드레스와 함께 해드갭에 따라 세트된 구동펄스를 트리거 시키기 위한 제3어드레스 또는 제4어드레스를 출력하는 CPU(200)와, 상기 CPU(200)로부터 출력되는 제1어드레스-제5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제1디코딩 신호-제5디코딩 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202)와, 상기 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CPU(200)로부터 출력되는 폰트 데이타 억세스를 위한 시간 데이타 값을 세트하고, 소정 클럭을 계수하여 세트시간 단위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203)와, 헤드와 플라텐 사이의 헤드갭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감지된 헤드갭 데이타를 상기CPU(200)로 출력하는 헤드갭 감지부(204)와, 상기 제5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폰트 데이타를 래치하는 래치(205)와, 상기 제1구동 데이타 α로 세트되며, 상기 제3디코딩 신호 발생시 트리거되어 α주기로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하는 제1구동펄스 발생기(206)와, 상기 제2구동 데이타 α+ β로 세트되며, 상기 제4디코딩 신호 발생시 트리거되어 α+ β주기로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하는 제2구동 펄스 발생기(207)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펄스를 논리합하여 헤드 구동펄스 신호로 발생하는 게이트(208)와, 상기 게이트(208)의 펄스 주기 동안 상기 래치(205)를 출력하는 폰트 데이타를 헤드로 출력하며 인쇄하는 헤드 구동부(209)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갭 조절 흐름도로서, 인쇄 실행 명령 수신시 상기 헤드갭 감지부(204)로부터 헤드갭 데이타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일정간격 이하이면 헤드 구동펄스 주기를 제1구동시간 α로 세트하며, 일정간격 이상이면 헤드 구동펄스 주기를 제2구동시만 α+ β로 세트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흐름도로서, 상기 타이머(203)로부터 인터럽트 신호 수신시 폰트 데이타를 억세스하고, 래치(205)를 통해 폰트 데이타를 래치하는 동시에 인쇄 실행전에 세트한 헤드 펄스 구동주기로 헤드를 구동하여 해당 폰트 데이타를 인쇄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2도-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폰트 메모리(font memory)(201)는 문자 발생기로서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문자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CPU (200)의 제어하에 인쇄를 위한 해당 문자체가 억세스된다. 또한 타이머(203)에는 상기 헤드로 폰트 메모리(201)의 문자체를 출력하기 위한 시간 데이타를 세트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 CPU(200)는 상기 타이머(203)를 선택하기 위한 제1어드레스를 출력하고, 상기 시간에 대한 값을 데이타 버스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202)는 상기 제1어드레스에 의해 제1디코딩 신호 Y1을 발생하며, 이로인해 상기 타이머(203)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CPU(200)로부터 출력되는 시간 데이타를 수신하여 세트된다. 이후 상기 타이머(203)는 시스템 클럭을 계수하여 계수 종료시마다 상기 폰트 메모리(201)의 폰트 데이타를 헤드로 공급하기 위하여 CPU(201)로 인터럽트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205)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폰트 데이타를 억세스하여 헤드로 공급함으로서 인쇄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경우 헤드와 플라텐 사이의 헤드갭을 감지하여 헤드갭의 상태에 따라 헤드 구동주기를 가변 조정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CPU(200)는 컴퓨터로부터 인쇄 실행 명령이 수신되면, 인쇄 실행 시작전에 제2어드레스를 출력하여 헤드갭 감지부(204)로부터 현재의 헤드갭을 감지한다. 상기 제2어드레스를 발생하면, 상기 디코더(202)에서 제2디코딩 신호 Y2를 발생하므로 포트(PT)가 인에블되며, 이로인해 포트(PT)는 스위치(SW)의 상태에 따른 헤드갭 감지신호를 상기 CPU(20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SW)는 기계적 스위치로서 헤드갭 조정레버의 적정위치에 부착되며, 이경우 일정 위치 이상 헤드갭이 플라텐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상기 스위치(SW)가 "온"되므로 "로우"레벨의 논리신호를 발생하며, 일정위치 이하로 헤드갭이 위치하는 경우 오프상태가 되어 "하이"레벨의 논리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CPU(200) 는 상기 헤드갭 감지부(204)로부터 "로우"레벨의 논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구동펄스 발생기(207)를 인에이블시켜 제2구동 데이타 α+β를 세트시키고, "하이"레벨의 논리신호를 수신하면 제1구동펄스 발생기(206)를 인에블시켜 제1구동 데이타 α를 세트시킨다.
이후 상기 타이머(206)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폰트 메모리(201)로부터 인쇄할 폰트 데이타를 억세스한후 해당 헤드 구동펄스를 트리거시켜 헤드핀을 구동시키므로서 인쇄를 실행한다.
상기 인쇄고정을 제3도 및 제4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헤드 구동펄스 주기를 세트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컴퓨터로부터 인쇄 실행 명령 수신시(301)단계에서 상기 CPU(200)는 제2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202)가 제2디코딩 신호 Y2를 발생하며, 이로인해 헤드갭 감지부(204)의 포트(PT)가 인에이블되어 데이타 버스 상으로 헤드갭의 값을 출력한다. 이때 헤드와 플라텐이 일정간격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스위치(SW)가 "온"되므로 "로우"논리신호가 출력되며, 일정간격 이하이면 상기 스위치(SW)가 "오픈"되어 "하이"논리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제2어드레스를 출력한후, 상기 CPU(200)는 데이타 버스 상으로 수신되는 헤드갭 신호를 수신하여(302)단계에서 해드갭이 일정간격 이상 이격되어 있는가 검사한다. 즉, 상기(302)단계에서 "로우"논리신호가 수신되면, (303)단계에서 헤드 구동펄스를 제2구동 시간 α+β로 하기 위하여 제4어드레스와 α+β시간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202)는 제4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4디코딩 신호(Y4)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펄스 발생기(207)는 상기 제4디코딩 신호 Y4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CPU(200)로부터 발생되는 제2구동펄스를 위한 α+β시간 데이타를 로드하여 저장한다. 이후(30)단계에서 상기 CPU(200)는 헤드 구동 주기를 상기 α+β시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2구동펄스를 세트시킨다.
또한 상기 헤드갭이 일정간격 이하로 이격되어 상기 (302)단계에서 "하이"신호가 수신되면, (305)단계에서 헤드 구동펄스를 제1구동시간 α로 하기위하여 제3어드레스와 함께 α시간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202)는 상기 제3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3디코딩 신호 Y3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펄스 발생기(206)는 상기 제3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상기 CPU(200)로부터 발생되는 α시간 데이타를 로드하여 저장한다. 이후 (306)단계에서 상기 CPU(200)는 헤드 구동주기를 상기 α시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1구동펄스를 세트시킨다.
상기와 같이 인쇄 실행전에 상기 CPU(200)는 센서부(204)를 통해 헤드갭을 분석하여 헤드의 구동주기를 세트시킨다.
이후 인쇄실행시에는 상기 타이머(203)를 통해 일정주기로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3도와 같은 과정으로 세트된 헤드 구동주기로 제4도와 같은 흐름을 수행하여 헤드를 구동시킨다.
상기 타이머(203)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CPU(200)는 (401)단계에서 이를 인자하고, (402)단계에서 폰트 메모리(201)를 억세스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폰트 데이타를 리드한 후, (403)단계에서 상기 디코더(202)로 제5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204)는 제5디코딩 신호 Y5를 출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래치(205)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폰트 데이타를 래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래치(205)를 인에이블시켜 폰트 데이타를 래치한후, 상기 CPU(200)는 (404)단계에서 상기 폰트 메모리(203)의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306)단계에서 헤드 구동 타이머(209)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3 또는 제4어드레스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CPU(200)는 상기 제3도와 같은 흐름으로 인쇄실행전에 헤드갭을 분석하여 구동펄스 주기를 세트시켜 놓은 상태이므로, 세트된 값에 따라 제3 또는 제4어드레스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204)는 수신 어드레스 값에 제3디코딩 신호 Y3 또는 제4디코딩 신호 Y4를 출력하게 되며, 이로인해 제1구동펄스 발생기(206) 또는 제2구동펄스 발생기(207)는 상기헤드 구동부(209)를 출력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구동부(209)는 상기 헤드 구동펄스 주기동안 상기 제2래치(208)를 출력하는 폰트 데이타를 헤드측으로 인가하여 인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갭을 검사하여 헤드 구동주기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및 제2구동펄스 발생기(206, 207)를 단일의 펄스 발생기로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경우 인쇄 실행전에 시간 데이타(α 또는 α+ β)를 세트시키고, 인쇄 실행시 상기 구동펄스 발생기를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구동펄스 발생기에는 헤드갭에 대응되는 구동 시간 데이타로 세트되어 있으므로 헤드 구동펄스를 헤드갭에 따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에서 플라텐과 헤드 사이의 간격을 검사하여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하게 되므로서, 적정 시간동안 헤드핀을 구동할 수 있어 음향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용지 인쇄 시간을 감축시켜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프린터에 있어서,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폰트 메모리(201)와, 인쇄 실행 명령 수신시 제2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수신되는 헤드갭 데이타를 분석하여 일정 간격 이하일시 제1구동 데이타 (α를 세트하고 일정 간격 이상일시 제2구동 데이타 (α+ β)를 세트하고, 인터럽트 신호 수신시 상기 폰트 메모리(201)를 제어하여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5어드레스와 함께 헤드갭에 따라 세트된 구동펄스를 트리거 시키기 위한 제3어드레스 또는 제4어드레스를 출력하는 CPU(200)와, 상기 CPU(200)로부터 출력되는 제1어드레스-제5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제1디코딩 신호-제5디코딩 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202)와, 상기 제1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CPU(200)로부터 출력되는 폰트 데이타 억세스를 위한 시간 데이타 값을 세트하고, 소정 클럭을 계수하여 세트시간 단위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203)와, 헤드와 플라텐 사이의 헤드갭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감지된 헤드갭 데이타를 상기 CPU(200)로 출력하는 헤드갭 감지부(204)와, 상기 제5디코딩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폰트 데이타를 래치하는 래치(205)와, 상기 제1구동 데이타 α로 세트되며, 상기 제3디코딩 신호 발생시 트리거되어 α주기로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하는 제1구동펄스 발생기(206)와, 상기 제2구동 데이타 α+ β로 세트되며, 상기 제4디코딩 신호 발생시 트리거되어 α+ β주기로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하는 제2구동펄스 발생기(207)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펄스를 논리합하여 헤드 구동펄스 신호로 발생하는 게이트(208)와, 상기 게이트(208)의 펄스 주기 동안 상기 래치(205)를 출력하는 폰트 데이타를 헤드로 출력하며 인쇄하는 헤드 구동부(209)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 장치.
  2. 헤드와 플라텐간의 간격을 감지하여 헤드갭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한 프린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인쇄 실행 명령 수신시 상기 센서를 통해 헤드갭 신호를 수신하여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헤드갭 검사 과정에서 헤드갭이 일정간격 이상일시 헤드 구동펄스 주기를 제2구동 주기로 세트하는 과정과, 상기 헤드갭 검사과정에서 헤드갭이 일정간격 이하일시 상기 헤드 구동펄스 주기를 제1구동 주기로 세트하는 과정과, 상기 구동 주기 세트과정 수행후, 인터럽트 신호 발생시 폰트 데이타를 억세스하고 상기 세트된 구동주기로 헤드 구동펄스를 발생하여 헤드핀을 구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헤드갭에 따른 헤드핀 구동방법.
KR1019910014662A 1991-08-23 1991-08-23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KR95000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662A KR950001202B1 (ko) 1991-08-23 1991-08-23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662A KR950001202B1 (ko) 1991-08-23 1991-08-23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83A KR930004083A (ko) 1993-03-22
KR950001202B1 true KR950001202B1 (ko) 1995-02-14

Family

ID=1931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662A KR950001202B1 (ko) 1991-08-23 1991-08-23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83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5234A (ko) 칼라비디오프린터의 시스템자기진단장치 및 그 방법
US4411540A (en) Printing apparatus
KR19980080517A (ko) 프린트 엔진과, 프린트 헤드 자동 검출 방법
KR950001202B1 (ko) 프린터의 헤드갭 조정장치 및 방법
EP0341671B1 (en) Bidirectional printing device
JPH06255195A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5210470A (ja) プリンタ及びその機種選択処理方法
JP2616323B2 (ja) ラインサーマルヘッド保護回路
JP3612804B2 (ja) 記録装置
JP2000103135A (ja) 画像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959193B2 (ja) 印字装置
US5812177A (en) Test pattern generating apparatus of a laser printer
KR970025984A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기크기 감지에 따른 출력 화상 가변 프린트 장치와 프린트 방법
JP2679686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印字制御装置
JPH07266564A (ja) 画像形成装置
JP2746879B2 (ja) プリンタ
JPS57125067A (en) Thermal printer
JPH0520478A (ja) リボン寿命判定方法並びに装置
KR970033863A (ko)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의 화질열화 보상장치
JP3452722B2 (ja) プリンタ
JPH09226158A (ja) ドットインパクトプリンタの印字制御回路
JP2778395B2 (ja) 画像形成装置
JPS60139461A (ja) サ−マルヘツド駆動回路の誤動作検出装置
KR930009779A (ko) 칼라비디오프린터의 프린팅방법 및 장치
JPH07112535A (ja) ドットプリンタの印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