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144B1 -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 Google Patents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144B1
KR950001144B1 KR1019910024603A KR910024603A KR950001144B1 KR 950001144 B1 KR950001144 B1 KR 950001144B1 KR 1019910024603 A KR1019910024603 A KR 1019910024603A KR 910024603 A KR910024603 A KR 910024603A KR 950001144 B1 KR950001144 B1 KR 95000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semiconductor chip
package
lead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851A (ko
Inventor
정하천
전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144B1/ko
Publication of KR93001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50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e.g. power bus, number of le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제1도는 종래의 리이드프레임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반도체패키지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프레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의 단면도.
제5도는 반도체칩과 연결된 리이드프레임의 평면도.
제6도는 반도체칩과 연결된 리이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device)에 적용할 수 있는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패키지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칩(4)을 리이드프레임패드(1)상에 접착제(5)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내부리이드(2)와 칩(4)의 본딩패드를 와이어(3)로 연결하여 수지봉지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반도체패키지는 내부리이드(2)와 칩(4)의 본딩패드를 와이어(3)로 연결하여 수지봉지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반도체패키지는 내부리이드(2) 및 외부리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리이드프레임의 패드상에 전도성 수지인 은(Ag) 에폭시(epoxy)를 돗딩(dotting)하고 그위에 칩을 접착시킨 후 약 한시간 정도 경화(cure)시키고, 이어, 와이어 본더(Wire Bonder)의 히터 블럭(Heater Block)에 열을 가한 후, 클램프(Clamp)로 리이드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와이어로 칩(4)의 본딩패드와 리이드프레임의 내부리이드(2)간을 연결하고 칩(4)을 보호하기 위해 수직(6)로 몰딩하여 봉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반도체패키지에서는 동일패키지일지라도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따라 여러 종류의 리이드프레임이 필요하고 다이본딩 및 와이어본딩 공정시 그에 따라 여러개의 서로 다른 치공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LOC구조의 반도체패키지는 칩상에 내부리이드 및 버스바내부리이드를 절연테이프에 의해 접착하고 와이어본딩에 의해 와이어로 내부리이드를 칩과 연결하여 수지로 봉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반도체칩상에 리이드프레임의 내부리이드가 위치하고 있으며 칩의 본딩패드는 칩의 중앙 또는 사이드(Side)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패키지의 경우는 반도체칩(4)의 하면에 리이드프레임패드(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칩(4)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몰딩컴파운드내에 존재하는 우라늄 등에 의한 알파파티클에러발생에 의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은 반도체칩(4)의 상부가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며, 디바이스의 동작이 주로 반도체칩(4)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반도체칩(4)의 상부가 외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으면 받을수록 그만큼 신뢰성은 저하하게 된다.
또한 박막패키지의 경우에는 몰딩시 루프컨트롤(Loop Control)이 어려워 와이어 돌출현상이 나타나 패키지 불량을 야키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패키지의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반도체칩의 윗면에 리이드프레임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반도체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과 더불어 몰딩컴파운드내에 존재하는 우라늄 등에 의한 파티클에러 발생문제를 없애고 리이드프레임에 형성된 딤플이 반도체칩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어 반도체칩의 상부면측을 몰딩컴파운드와 양호하게 결합할 수 있고 몰딩시 와이어 돌출현상에 의한 패키지 불량이 일어나지 않으며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패키지의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와이어 루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는 반도체칩(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패드부(11)가 있는 리이드프레임과 상기 패드부(11) 주위에 배열된 내부리이드(12)와 내부리이드(12)의 연장인 외부리이드와 폴리이미드테이프(15)와 수지(16)로 이루어진 반도체패키지에 있어서, 리이드프레임의 내부리이드가 반도체칩(14)이 아닌 프레임의 패드부와 분리된 위치에 있고, 반도체칩(14)의 상부면에 폴리이미드테이프(15)를 통해 딥플(Dimple)을 위로하여 리이드프레임패드부(11)를 설치하되 상기 리이드프레임의 패드부(11) 크기를 반도체칩(14)보다 작도록 하여 리이드프레임의 패드부(11)가 설치되지 않은 반도체칩(14)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와이어본딩패드(17)를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의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1은 반도체칩상에 접착되는 리이드프레임패드부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12는 내부리이드 칩(14)의 본딩패드(17)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도면부호 15는 반도체칩(14)과 리이드프레임패드부(11)를 연결하는 폴리이미드테이프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는 반도체칩(14)을 폴리이미드테이프(15)로 칩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리이드프레임패드부(11)와 접착시키고 내부리이드(12)의 선단부가 리이드프레임과 분리되어 와이어(13)로 칩의 본딩패드(17)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있는 리이드프레임은 수지(16)로 몰딩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에칭에 의해 딤플(Dimple)을 형성하였다.
제5도는 칩(14)이 탑재된 리이드프레임을 상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반도체칩(14)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리이드프레임 딤플(Dimple)이 형성된 리이드프레임패드부(11)는 지지바(18)에 의해 지지되고 폴리이미드테이프(15)에 의해 칩과 접속되어 있다.
제6도는 칩이 탑재된 리이드프레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는 단일 리이드프레임으로 여러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이드프레임의 종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다이본딩 및 와이어본딩 공정시 불필요한 투자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길이가 같은 패키지나, TSOP(Thin Small Outline Package) 및 TQFP(Thin Quad Flat Package)와 같은 박막패키지에 적용하면 리이드프레임의 두께만큼 여유를 가질 수 있어서 와이어루프의 높이제어에 많은 잇점이 있으므로 박막패키지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반도체칩의 윗면에 리이드프레임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반도체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과 더불어 몰딩컴파운드내에 존재하는 우라늄 등에 의한 파티클에러 발생문제를 없애고 리이드프레임에 형성된 딤플이 반도체칩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어 반도체칩의 상부면측을 몰딩컴파운드와 양호하게 결합할 수 있고 몰딩시 와이어 돌출현상에 의한 패키지 불량이 일어나지 않으며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패키지의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반도체칩(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패드부(11)가 있는 리이드프레임과 상기 패드부(11)주위에 배열된 내부리이드(12)와 내부리이드(12)의 연장인 외부리이드와 폴리이미드테이프(15)와 수지(16)로 이루어진 반도체패키지에 있어서, 리이드프레임의 내부리이드가 반도체칩(14)이 아닌 프레임의 패드부와 분리된 위치에 있고, 반도체칩(14)의 상부면에 폴리이미드테이프(15)를 통해 딤플(Dimple)을 위로하여 리이드프레임패드부(11)를 설치하되 상기 리이드프레임의 패드부(11) 크기를 반도체칩(14)보다 작도록하여 리이드프레임의 패드부(11)가 설치되지 않은 반도체칩(14)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와이어본딩패드(17)를 형성한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KR1019910024603A 1991-12-27 1991-12-27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KR95000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603A KR950001144B1 (ko) 1991-12-27 1991-12-27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603A KR950001144B1 (ko) 1991-12-27 1991-12-27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851A KR930014851A (ko) 1993-07-23
KR950001144B1 true KR950001144B1 (ko) 1995-02-11

Family

ID=1932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603A KR950001144B1 (ko) 1991-12-27 1991-12-27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49U (ko) * 2016-11-07 2018-05-16 양수만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49U (ko) * 2016-11-07 2018-05-16 양수만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851A (ko) 199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551B2 (en) Semiconductor package for a large die
JPH08222681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US5708294A (en) Lead frame having oblique slits on a die pad
US6495908B2 (en) Multi-chip semiconductor package
US20090001534A1 (en) Two-sided die in a four-sided leadframe based package
KR950001144B1 (ko) 리이드프레임을 갖춘 반도체패키지
JPH0547979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US834965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two-sided die in a four-sided leadframe based package
JP3716101B2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US6737737B1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 chip supporting member
JP3565114B2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US2008003887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373891B1 (ko) 반도체장치
JP2885786B1 (ja) 半導体装置の製法および半導体装置
KR940002389B1 (ko) 반도체 리이드 프레임
JPH10223700A (ja) 樹脂封止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45258B1 (ko) 단차진 내부리드들이 일부 형성된 리드 온 칩용 리드프레임
KR200169834Y1 (ko) 반도체 패키지
JPH03163858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KR200202058Y1 (ko) 스몰다이패드패키지용리드프레임및이를흡착하기위한히터블록
JPH05152495A (ja) 半導体装置
KR0156335B1 (ko) 타이 바를 이용한 반도체 칩 패키지
KR200156151Y1 (ko) 인너리드 고정형 리드프레임
KR200245729Y1 (ko) 반도체패키지구조
JPH04317360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