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941A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941A
KR950000941A KR1019940014176A KR19940014176A KR950000941A KR 950000941 A KR950000941 A KR 950000941A KR 1019940014176 A KR1019940014176 A KR 1019940014176A KR 19940014176 A KR19940014176 A KR 19940014176A KR 950000941 A KR950000941 A KR 95000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nofilament
multifilament yarn
filament
structur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마리아 판 덴 호이펠 크리스티앙
페터 드 바이예르 안톤
미델얀스 헨드릭
막스 호이펠 헤르만
Original Assignee
피터 크르넬리스 살크비크, 귄터 펫트
아크조 노벨 엔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908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09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크르넬리스 살크비크, 귄터 펫트, 아크조 노벨 엔파우 filed Critical 피터 크르넬리스 살크비크, 귄터 펫트
Publication of KR95000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min의 가열속도하에서 샘플 함량 2.5㎎에 대해 측정한 DSC 융점이 29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400mN/tex 이상이며 대부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바람직하기는 95중량% 이상의 폴리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생산공정에서, 용융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다공 방사구금으로 압출되며, 냉각에 의해 고화된 필라메트 또는 필름이 500 내지 10,000m/min의 속도로 권취됨으로써 필리멘트 또는 필름을 방사구금 토출구로부터 제 1 권취부재로 연신비 B 내지 25,000으로 처리한다. 사용되는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85중량% 이상 함유하며 용융 유동 지수 C는 3 내지 26이다.

Description

폴리에탈렌 나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23)

  1. 20℃/min의 가열속도하에서 샘플 함량 2.5㎎에 대해 측정한 DSC 융점이 29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400mM/tex 이상이며 대부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8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SC 융점이 292 내지 3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9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에 측정한, 뜨거운 공기로 인한 수축율이 3.5%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의 뜨거운 공기로 인한 수축율에 대한 2% 신도에서의 사의 강도의 비인 치수 안정성이 120을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1,350㎏/㎡을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SC 융점이 29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SC 융점이 30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9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에 측정한, 뜨거운 공기로 인한 수축율이 2.5%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9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에 측정한, 뜨거운 공기로 인한 수축율이 1.6%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11. 제 1 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수 안정성이 15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수 안정성이 20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1,362㎏/㎡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된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형 구조물.
  15. 용융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다공 방사구금(multi-hole spinneret)으로부터 압출시키고, 냉각에 의해 고화된 필라멘트 또는 필름을 500 내지 10,000 m/min의 속도로 권취함으로써 필라멘트 또는 필름을 방사구금 토출구로부터 제 1 권취부재로 연신비 B 40 내지 25,000으로 처리하여 제 1 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멀티필라멘트 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85중량% 이상 함유하고 용융 유동 지수 C가 3 내지 26인 중합체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다음 식을 충족시키는 온도 T에서 방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0e-0.46C+305≤T≤100e-0.46C+325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방사구금으로부터 압출된 필라멘트 또는 압출된 필름이 10 내지 35℃에서 유지되는 유체와 함께 0.1 내지 1.0m/sec의 속도로 취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 유동 지수 C가 6 내지 20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되고, 냉각에 의해 고화된 필라멘트 또는 필름이 500 내지 8,000m/min의 속도 A로 권취됨으로써, 필라멘트 또는 필림이 방사 구금 토출구로부터 제 1 권취부재로 연신비 B 100내지 10,000으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용융 유동 지수가 C가 7 내지 15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되고, 냉각에 의해 고화된 필라멘트 또는 필름이 2,00 내지 5,500m/min의 속도 A로 권취됨으로써, 필라멘트 또는 필름을 방사 구금 토출구로부터 제 1 권취부재로 연신비 B 500내지 8,000으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다음 식을 충족시키는 온도 T에서 방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0e-0.46C+305≤T≤100e-0.46C+318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방사구금으로부터 압출되는 필라멘트 또는 압출된 필름이 12 내지 25℃에서 유지되는 유체와 함께 취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구금으로부터 압출되는 필라멘트 또는 필름이 0.2 내지 0.6m/sec의 속도로 취입되는 방법.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 속도 A, 연신비 B 및 용융 유동 지수가 C가 Ф〉1.15로 되도록 다음과 같이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W1=3.62416 W2=-66.57265 W3=-0.36305
    O1=-65.2267 W4=-5.51435 W5=-15.02366
    W6=-0.00704 O2=-22.71156 W7=4.60509
    W8=-33.08694 W9=-0.83813 O3=-37.28374
    W10=43.44371 W11=5.26325 W12=-5.66574
    O4=29.67359 W13=-7.37680 W14=7.17561
    W15=9.89252 W16=3.02096 O5=-1.59320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4176A 1993-06-22 1994-06-22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0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0593A DE4320593A1 (de) 1993-06-22 1993-06-22 Multifilament-Garn aus Polyäthylennaphthala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P4320593.3 1993-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41A true KR950000941A (ko) 1995-01-03

Family

ID=649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176A KR950000941A (ko) 1993-06-22 1994-06-22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466525A (ko)
EP (1) EP0630995B1 (ko)
JP (1) JPH0711514A (ko)
KR (1) KR950000941A (ko)
BR (1) BR9402489A (ko)
CA (1) CA2126423C (ko)
DE (2) DE4320593A1 (ko)
ES (1) ES213668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504A1 (en) * 1995-06-02 1996-12-0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s of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having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US5955196A (en) * 1996-06-28 1999-09-21 Bp Amoco Corporation Polyester fibers containing naphthalate units
US6099162A (en) * 1997-10-24 2000-08-08 Hydril Company Resin cure monitor
US7083644B1 (en) 2000-05-24 2006-08-01 Scimed Life Systems, Inc. Implantable prostheses with improved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TE527402T1 (de) * 2002-07-05 2011-10-15 Api Inst Spinnverfahren
KR100499220B1 (ko) * 2003-06-30 2005-07-01 주식회사 효성 방사성이 우수한 고강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4928308B2 (ja) * 2007-02-28 2012-05-09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産業資材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繊維とその製造方法
CN101970736B (zh) * 2008-02-27 2012-07-18 阿斯顿约翰逊公司 包括含聚酯混合物的单纤丝的造纸机成形织物
CN104213241B (zh) * 2014-09-15 2016-02-03 马海燕 大直径聚萘二甲酸乙二醇酯单丝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95450A (ko) * 1968-12-24 1972-11-08
US4001479A (en) * 1971-04-14 1977-01-04 Teijin Limited Novel naphthalate polyester fibers, and their end uses
GB1325107A (en) * 1971-08-09 1973-08-01 Teijin Ltd Polyester filaments and their production
US4000239A (en) * 1971-12-13 1976-12-28 Teijin Limited Process for spinning naphthalate polyester fibers
JPS525612B2 (ko) * 1971-12-13 1977-02-15
JPS49132600A (ko) * 1973-04-06 1974-12-19
US4026973A (en) * 1973-08-31 1977-05-31 Teijin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heat-resistant aromatic polyester filaments
JPS5615321B2 (ko) * 1973-09-20 1981-04-09
GB1445464A (en) * 1973-10-19 1976-08-11 Teijin Ltd Method of producing a polyethylene-2,6-naphthalate yarn
JPS57189822A (en) * 1981-05-20 1982-11-22 Toray Ind Inc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DE4013574A1 (de) * 1990-04-27 1991-10-31 Hoechst Ag Flaechenhafter formkoe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0546184A1 (en) * 1991-04-06 1993-06-16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954391B2 (ja) * 1991-05-22 1999-09-27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233688T2 (de) * 1991-08-13 2008-01-24 Teijin Ltd. Biaxial ausgerichtete, in eine Längsrichtung gedehnte Polyethylen-26-naphthalat Folie und daraus hergestelltes Magnetband
CA2078698A1 (en) * 1991-10-03 1993-04-04 Noboru Sato Biaxially orientated polyester film
DE69213474T3 (de) * 1992-01-21 2001-08-23 Allied Signal Inc Polyestergarne mit hohem modul fuer reifenkorden und verbundmaterial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36683T3 (es) 1999-12-01
EP0630995B1 (de) 1999-08-04
CA2126423C (en) 2004-11-16
US5618480A (en) 1997-04-08
BR9402489A (pt) 1995-03-14
DE59408569D1 (de) 1999-09-09
EP0630995A3 (de) 1995-07-26
JPH0711514A (ja) 1995-01-13
DE4320593A1 (de) 1995-01-05
US5466525A (en) 1995-11-14
CA2126423A1 (en) 1994-12-23
EP0630995A2 (de) 1994-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3208B1 (en) Polyethylene multifilament yarn
US4948545A (en) Extrusion process for preparing orientated polyolefins
Wu et al. High‐strength polyethylene
JPS61252312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延伸物の製造方法
KR900702096A (ko) 연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사(絲)제조공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다중 필라멘트사
JPS602406B2 (ja) 熱可塑性合成ポリリマ−よりなり、多数の並存する独立の不連続空洞を有する糸もしくは繊維の製造法
KR950000941A (ko)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CA2491647C (en) Spinning method
JPS61108711A (ja) 高強度、高弾性率ポリビニルアルコ−ル系繊維の製造法
US5024797A (e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mono- and multifilaments and staple fibers based on polyarylene sulfides
US5091254A (en) Polyvinyl alcohol monofilament yar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215819A (e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mono- and multifilaments and staple fibers based on kolyarylene sulfides and high-strength polyarylene sulfide fibers
US5264173A (en) Polyvinyl alcohol monofilament yar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61194218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
JPH0156164B2 (ko)
KR910700365A (ko) 치수 안정성 폴리에스테르 사의 제조방법
JPH04100916A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098692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arylene sulfide fiber and thereby obtainable polyarylene sulfide multifilament yarn
JP3036941B2 (ja) マルチ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CA1328718C (en) Method to prepare high strength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olefin articles by dissolving particles and shaping the solution
JPS61231211A (ja) 高強度ポリエチレン繊維の製造方法
JP3347377B2 (ja) マルチ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H11293523A (ja) 高比重ポリオキシメチレンフィラメント
CA1152273A (en) Process for forming a continuous filament yarn from a melt spinnable synthetic polymer and novel polyester yarns produced by the process
JPS62238812A (ja) 高強度高弾性率ポリビニルアルコ−ル系繊維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