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86B1 -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86B1
KR950000486B1 KR1019900015482A KR900015482A KR950000486B1 KR 950000486 B1 KR950000486 B1 KR 950000486B1 KR 1019900015482 A KR1019900015482 A KR 1019900015482A KR 900015482 A KR900015482 A KR 900015482A KR 950000486 B1 KR950000486 B1 KR 95000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water
pump
lower housing
nozz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943A (ko
Inventor
젠자브로 하라
Original Assignee
하라헬쯔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젠자브로 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헬쯔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젠자브로 하라 filed Critical 하라헬쯔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0001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486B1/ko
Publication of KR92000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저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수중 전기 펌프의 확대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에 적용할 수 있는 저소음 튜브의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정면도.
제 9 도는 제 7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단면도.
제 10 도는 분해된 방법으로 보조노즐을 도시한 제 7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
제 11 도는 조립된 방법으로 보조노즐을 도시한 제 7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
제 12 도는 제 7 도의 수중전기 펌프의 확대단면도.
제 13 도는 하우징이 생략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사시도.
제 14 도는 하우징이 생략된 제 13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개략 측면도.
제 15 도는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제공된 여과기를 도시한 제 13 도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2 : 하부 하우징
14 : 목하우징 16 : 헤드 하우징
18 : 원형 흡입 개방구 20 : 흡입컵부재
24 : 개폐 스위치 26 : 펌프
28 : 여과기 30 : 분지 파이프
32,80,100 : 보조노즐 36 : 주노즐
42 : 전기동력박스 44 : 욕조
48 : 저소음튜브 82 : 구면 결합부
본 발명은 욕조에 있는 물에 다수의 즉석 거품을 발생시키는 목욕용 발포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휴대형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관계된 기술에 있어서, 1986년 4월 2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855,628 호는 욕조의 물위에서 보유되는 노즐을 가지는 건강욕실 구조를 게재한다. 이러한 건강욕실 구조는 욕실벽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 안의 펌프를 가지고, 설치작업은 이러한 구조물의 설치시에 필요하다. 더우기, 이러한 구조물은 특별한 위치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보조장치는 노즐을 바람직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3,842,823 호는 욕조의 측벽을 벌어지도록 설계된 물마사지 유닛을 게재한다. 이 유닛은 하우징의 교각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클램핑 브라켓을 가지고, 욕조의 측벽 상부에서 쉬기에 적합하게 된다. 클램핑 브라켓 위치의 조정에 의하여, 클램핑 브라켓은 동력 유닛 하우징과 합체해서 클램핑할 수 있고, 이는 욕조 외부에 배치되기 적합하여서, 물마사지 유닛은 욕조의 측벽상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욕조의 측벽이 브라켓의 조정움직임 범위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질 때, 물마사지 유닛을 욕조상에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덕아웃 형태의 욕조에 관하여, 상기 언급된 형태의 물 마사지 유닛은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형태의 욕조에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욕조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위치로 노즐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과 다른 목적들을 가지고, 본 발명은 입구 및 출구를 가진 수중전기 펌프와, 펌프의 출구에 연결된 노즐부재와, 욕조에 조립체의 설치시에 욕조의 물위에서 노즐부재를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를 제공한다. 보유하기 위한 수단은 욕조바닥 상에 펌프를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수단과, 펌프위에 노즐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펌프와 노즐부재 사이에 배치된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설치에 기인하는 유일한 단계는 펌프위에 배치된 노즐 부재와 함께 욕조바닥상에 펌프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립체는 다루기 힘든 설치작업과 같은 어떠한 어려움 없이 어떠한 형태의 욕조에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립체는 욕조안에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은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펌프의 작동에서, 물은 욕조로부터 펌프입구를 통하여 펌프안으로 들어가고, 노즐부재로부터 욕조물 표면을 향하여 분출상태로 배출된다. 이러한 물의 분출은 욕조물의 표면을 덮는 즉석 거품층의 형성에 따라서 욕조물안으로 산소를 주입시킨다. 이러한 무수히 많은 거품들이 파열되었을 때, 사람을 괴롭히는 피부질병과 근육통을 방지하는 초음파의 발생을 돕는다.
고정수단은 펌프를 둘러싸는 하부 하우징일 수도 있다. 하부 하우징은 하부단부를 가지고, 욕조 바닥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하부단부와 함께 욕조안에 배치하기 적합하게 된다. 지지 수단은 마주하는 단부들을 가지는 연결파이프이다. 연결 파이프는 한쪽 단부가 노즐 부재에 부착되고, 다른쪽 단부는 노즐부재가 펌프의 출구와 유체를 소통시키도록 펌프에 부착된다.
고정 수단은 하부 하우징의 하부단부에 부착된 흡입컵부재를 포함한다. 흡입컵부재가 욕조 바닥의 상부면에 부착될 때, 흡입컵 부재는 욕조 바닥에 하부 하우징을 고정시킨다.
하부 하우징은 펌프의 입구와 유체를 소통시키는 흡입 개방부를 가지게 된다. 하부 하우징은 또한 하부 하우징이 욕조에 배치될 때 욕조의 바닥에 마주하는 하부 단부면을 가진다. 욕조물이 흡입 개방부를 향하여 펌프안으로 들어갈 때, 조립체가 욕조의 바닥에 기대어 흡입에 의하여 조여지도록, 흡입개방부는 하부 하우징의 하부 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는 펌프에 DC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동력 공급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동력 공급 수단은 욕조외부에 배치시키기에 적합하게 된다.
저소음 튜브는 물의 분출기에 기인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즐부재에 한쪽 단부를 동축으로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저소음 튜브는 적어도 저소음 튜브의 다른쪽 단부를 조립체에 연결하고, 욕조에 물을 채울시에 욕조물에 잠겨지는 축선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펌프의 출구에 연결되는 보조 노즐부재는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보조 노즐부재 외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하부 하우징에 부착될 것이다.
달리 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고정수단은 하부 하우징의 하부 단부에 부착되고, 하부 하우징의 하부 단부로부터 돌출한 흡입 컵 부재를 포함한다. 흡입컵 부재는 흡입컵 부재가 욕조 바닥의 상부면에 부착될 때, 욕조 바닥에 하부 하우징을 고정시킨다. 또한 흡입컵 부재는 욕조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부 하우징의 하부 단부를 파지한다.
하부 하우징의 하부 단부는 펌프입구와 유체를 소통시키는 흡입 개방부를 가진다. 이런 배열과 함께, 물이 흡입 개방부를 통하여 펌프안으로 들어갈 때, 하부 하우징은 욕조 바닥에 기대어 흡입에 의하여 조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는 펌프의 출구와 유체를 소통시키는 보조 노즐부재를 가진다. 보조 노즐부재는 보조 노즐부재로부터 배출되어지는 물의 분출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구면부의 중앙부위에서 보조노즐 부재의 선회 움직임을 위하여 하부 하우징에 연결된 구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도면에서, 참조번호는 전체 도면에서 일치한 부분을 지시하고, 일치한 부분의 반복은 제거되었다.
제 1 내지 제 4 도에서, 참조번호(10)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한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를 지시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의 케이싱은 직렬의 3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즉, 병모양의 하부 하우징(12), 길게 늘린 목하우징(14) 및 피스트(fist)형 헤드 하우징(16)으로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2)은 평단부면(13)을 가진 하부단부(12a)와 목하우징(14)에 연결된 상부단부(12b)를 가진다. 하부 하우징(12)의 상부단부는 상부단부(12b)가 하부 하우징(12)의 주요부분보다 지름이 작도록, 상부단부(12b)를 향하여 테이퍼진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상세히 도시될 것으로서, 원형흡입 개방부(18)는 하부 하우징(12)의 하부 단부면(13)에서 형성되고, 다수의 흡입컵(20)들은 흡입개방부(18)을 둘러싸는 하부 단부면(13)상에 부착되고, 하부 단부면의 그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한쌍의 홈(70,72)들은 하부 단부면(13)에서 형성된다. 각각의 홈(70,72)들은 흡입개방부(18)안으로 물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흡입개방부(18)와 하부 하우징(12)의 측면 사이로 연장한다. 홈들(70,72)은 개방부(18)의 중앙에 대하여 180°의 각도 간격으로 하부 단부면(13)상에 배열된다.
즉, 홈들은 홈들 사이에 배치된 개방부(18)와 함께 서로 정반대로 마주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2)의 측면상에 다음에 기술되는 보조노즐이 끼워지는 틈부(22)는 형성된다. 목하우징(14)은 목하우징(14)이 하부 하우징(12)의 마주하는 단부(12a, 12b)들 사이로 연장한 축선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하부하우징(12)의 상부단부(12b)에 목하우징의 한쪽 단부가 연결된다. 헤드 하우징(16)은 제 1 및 제 2 단부들(16a,16b)을 가지고, 제 1 및 제 2 단부들(16a,16b)을 가지고, 제 1 및 제 2 단부들(16a,16b)사이로 연장한 축선이 목하우징(14)의 세로축에 대체로 수직이 되도록, 제 1 단부(16a)가 목하우징(14)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다. 제 2 단부(16b)에 가까이 있는 헤드 하우징(16)의 하부면에서, 하부 하우징(12)을 향하여 개방된 틈부는 형성된다. 이 틈부안으로, 다음에 기술될 주노즐은 끼워진다.
헤드하우징(16)은 또한 헤드하우징(16)의 측면상에 제공된 개폐 스위치(24)를 가진다. 추가해서, 하부 및 목하우징(12,14)의 길이 L1+L2의 양은 종래의 욕조 깊이보다 대체로 길게 설계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2)안에서 수중 전기펌프(26)는 단단하게 설치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6)는 입구(26a)와 출구(26b)를 가진다. 펌프(26)의 입구(26a)는 2개의 체눈들(26a, 28b)과 체눈들 사이에 끼워진 여과 매개물(28c)로 구성된 여과기(28)를 통하여 흡입개방부(18)와 소통한다. 가로누운 T-자형 분지 파이프(30)는 이것의 하부 단부(30a)를 펌프(26)의 출구(26b)에 연결한다. 분지 파이프(30)의 또 다른 단부(30b)는 보조노즐(32)에 연결되고, 보조 노즐(32)은 틈부(22)를 통하여 대체로 목하우징(14)에 수직 방향인 하부 하우징(12)의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하부 하우징(12)의 틈부(22)에 끼워진다. 분지 파이프(30)의 다른 단부(30c)는 전위 L-자형 연결파이프(34)의 하부단부(34a)에 연결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34)는 분지파이프(30)로부터 목하우징(14)의 내부를 통하여 헤드 하우징(16)를 향하여 연장하여 구부러지고, 헤드 하우징(16)안으로 간다. 연결파이프(34)의 상부단부(34b)에서, L-자형 커플링(38)을 경유하여 주노즐(36)은 부착된다. 주노즐(36)은 헤드 하우징(16)의 틈부에 끼워지고, 틈부를 통하여 헤드 하우징(16)의 외부로 돌출한다. 주노즐(36)은 연결 파이프(34)를 통하여 펌프(26)의 출구(26b)와 소통하고, 또한 연결 파이프(34)와 하우징들(12, 14 및 16)에 의하여 펌프(26)위에서 지지된다.
제 4 도에서, 참조번호(40)는 조립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전기동력박스(42), 제 2 도에 도시)에 펌프(26)를 연결하는 전기코드를 표시한다. 이러한 전기코드(40)는 펌프(26)로부터 목하우징(14)을 통하여 개폐스위치(24)로 연장하고,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하우징(16)의 측벽을 통하여 헤드 하우징(16)의 외부로 통과된다. 예를 들면, 전기 동력박스(42)는 DC12V의 전류로 AC100V의 전류를 변환하고, DC12V의 전류를 가지고 펌프(26)에 공급하기 위한 변환기이다. 동력박스(42)는 전기동력의 충전없이 3시간 이상 동안 DC12V의 전류를 연속 공급할 수 있고, AC100V의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 동력원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는 재충전 밧데리 전지이다. 추가해서, 제 5 도의 참조번호(60)은 하부 하우징(12)에서 용접으로 밀봉된 쳄버(64)에 배치된 전기모터(62)에 구동되도록 연결된 펌프(26)의 임펠러를 지시한다.
그러므로, 고안된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작동은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사용시에 동력박스(42)를 제외한 완전한 몸체의 조립체는 욕조가 설치된 욕실안으로 가져가고, 한편 동력박스(42)는 욕식밖에 둔다. 그리고 나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 몸체는 물이 채워진 욕조(44)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는 위로 연장한 목하우징(14)과 함께 욕조(44)의 바닥(44a)상에 하부 하우징(12)을 단지 위치시켜서 이루어진다. 하부 하우징(12)의 설치시에, 흡입컵(20)들이 바닥(44a)의 상부면에 부착됨에 의하여, 하우징(12)은 욕조(44)의 바닥(44a)에 고정 설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12)은 욕조(44)의 바닥(44a)으로부터 마주하여 떨어져 있는 하부 단부면(13)과 함께 목욕물(46)안에 배치되고, 헤드 하우징(16)은 목하우징(14)에 의하여 목욕물(46)위에서 지지된다.
스위치(24)가 켜질 때, 펌프(26)는 작동된다. 그리고 나서, 욕조(44)에 있는 물(46)은 하부 단부면(13)과 욕조(44)의 바닥(44a)사이에 있는 공간을 통하여 주로 흡입 개방부(18)안으로 들어간다. 하부 단부면(13)에 있는 홈(70,72)들은 흡입 개방부(18)안으로 들어가는 물의 주입을 용이하게 한다. 물이 흡입 개방부(18)를 통하여 통과할 때, 몸체가 보다 고정된 위치에서 파지되도록, 조립체 몸체는 욕조(44)의 바닥(44a)을 향하여 흡입에 의하여 조여진다. 또한 흡입에 의하여, 흡입컵(20)들은 욕조(44)의 바닥(44a)을 향하여 눌려 지게 됨에 의하여, 하부 하우징(12)이 주노즐(36)의 작용으로 분출하는 물에 반응하여 조립체 몸체에 전해지는 전복 움직임과 상관없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놓이는 것을 보장한다. 펌프(26)안으로 들어간 물은 펌프(26)에 의하여 압축되고, 주노즐(36)과 보조노즐(32)에 보내진다. 그리고 나서, 보조노즐(32)에 보내진 물은 보조노즐(32)로부터 목욕물(46)안으로 수평으로 분출 배출된다. 이러한 물의 분출은 욕조안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고, 사람의 몸에 부딪힐 때, 욕조물안에 있는 사람을 마사지한다. 한편, 주노즐(36)에 보내진 물은 노즐(36)로부터 욕조물의 표면을 향하여 분출 배출된다. 물의 분출이 욕조물의 표면상에서 부딪힐 때, 대기중의 산소를 목욕물(46)안으로 주입시킨다. 이러한 것은 목욕물(46)의 전체 표면을 덮는 즉석 거품층의 형성 뿐만 아니라, 물(46)에 있는 이러한 수많은 거품들이 목욕물(46)에 잠겨있는 사람의 몸에 접촉할 때, 거품들은 순간적으로 파열되고, 욕조(44)전체에 약 60,000 내지 80,000Hz의 초음파가 발생한다. 이러한 초음파는 목욕물(46)과 사람몸 사이의 열전달율을 향상시켜, 사람의 몸을 마사지하고, 사람의 피부로부터 먼지 및 기름기의 제거를 촉진한다. 이는 사람을 괴롭히는 피부질병 및 근육통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추가해서, 욕조에 조립체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때, 조립체는 흡입컵(20)들이 욕조(44)의 바닥(44a)에서 해제하도록, 단지 조립체 몸체를 기울여서 욕조(44)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분출된 물의 충돌이 사람몸의 특별한 부위에서 요구될 때, 노즐(32,26)들은 욕조(44)안에 있는 조립체 몸체의 이동에 의하여 노들즐이 특별한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제 6 도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에 부착할 수 있는 저소음 튜브(48)를 도시한다. 이러한 저소음튜브(48)는 상부 및 하부단부(52,54) 사이에 주름관부를 가진다. 이러한 저소음튜브(48)의 주름관부는 가상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튜브(48)는 종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수축할 수 있으며 유연하다. 튜브(48)의 상부단부(52)는 외부면에 나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주노즐(36)은 내부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어서, 제 1 도의 가상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튜브(48)는 주노즐(36)에 이것의 상부단부를 공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한쌍의 공기 흡입구멍(56)들은 외부 공기가 구멍(56)들을 통하여 튜브(48)안으로 취할 수 있도록, 튜브(48)의 상부단부(52)에 형성된다. 저소음 튜브(48)는 주노즐(36)에 가장 짧은 길이로 튜브를 부착하는 길이를 가지고, 튜브(48)가 최소의 길이로 수축될 때, 튜브(48)의 하부단부는 목욕물(46)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주노즐(36)에 튜브(48)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튜브는 목욕물(46)과 노즐(36)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분출 사이의 충돌에 기인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기로서 제공한다. 또한 튜브의 부착에 의하여, 욕조(44)에 있는 물을 포함하는 거품의 흐름방향을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해서, 만일 6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28%의 소디움 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11.5%의 소디움 설페이트 안히드라이드, 0.5%의 색소 및 매우 작은 양의 향수로 구성된 첨가제와 함께 사용된다면, 상기 언급된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는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첨가제의 적당량이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를 이용화하는 목욕용 발포제에 첨가되었을 때, 첨가제와 거품의 성질들은 목욕물위에 있는 거품층의 형성을 가속화하도록 서로에 영향을 미치는 산소를 포함한다.
제 7 도 내지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0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틈부(22) 대신에 노즐소켓(74)이 하부 하우징(12)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소켓(74)은 내부 및 외부의 금속 환형림(76)을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1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내부림(76)은 외부림(72)의 내부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 내부림(76)의 외부외주면과 함께 외부림(72)안에서 배치된다. 외부 나사부는 내부림(76)의 외부 외주면상에서 형성된다. 한편, 내부림(76)의 내부 외주면은 구면의 곡선면으로 형성된다. 하부벽(12)의 측면에 부착된 내부림(76)의 단부는 제 9 도에서와 같이 분지 파이프(30)와 함께 유체를 소통시킨다.
제 10 도를 참조하면, 보조노즐(80)은 상기 언급된 노즐소켓(74)에 연결된다. 이 보조노즐(80)은 중공 구면 결합부(82)와, 구면 결합부(82)로부터 돌출하고 구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꼭지(84)를 포함한다. 구면 결합부(82)의 외부표면은 구면 결합부(82)가 내부림 중심 위치에서 회전운동을 하기 위하여, 내부림(76)안에 수용되어 끼워지도록, 내부림(76)의 내부외주면의 반경곡면 보다 대체로 같거나 또는 약간 작은 반경곡면을 가진다.
구면 결합부(82)의 내부면을 관형꼭지(84)와 분지파이프(30)로 통한다. 보다 상세하게, 구면결합부(82)는 서로 정반대로 위치한 제 1 및 제 2 개방부를 가진다. 제 1 개방부는 관형 꼭지(84)의 내부로 개방하고, 한편, 제 1 개방부는 분지 파이프(30)로 통하는 내부림(76)의 단부로 개방한다. 구면 결합부(82)의 제 2 개방부는 제 2 개방부가 적정각도 범위안에 있는 구면 결합부의 회전운동에 개의치 않고 분지파이프와 유체의 소통을 유지하도록, 제 1 개방부보다 상당히 크다. 더욱이, 잠금 링(86)은 보조노즐을 내부림(76)과 연결하여 회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즐소켓(74)에 연결된다. 이 잠금링(86)은 전면 및 후면부(89,90)를 가진다. 전면부(88)의 내부지름은 구면 결합부(82)의 최대 지름보다 대체로 작고, 한편 후면부(90)의 내부지름은 구면결합부(82)의 최대지름 보다 크다. 후면부(90)는 내부나사부(92)를 가지므로, 잠금링(86)은 잠금링(86)과 내부링(76)사이에 끼워진 구면 결합부(82)와 함께 내부림(76)상에 있는 외부나사와 함께 나사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링(86)의 전면부(88)가 관형꼭지(84)를 에워싸고 구면결합부(82)상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구면 결합부(82)는 잠금링(86)과 잠금링(86)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관형꼭지(84)를 가지는 내부림(76)사이에서 보유된다. 결과적으로, 잠금링(86)의 스크루 또는 회전작용에 의하여, 구면결합부(82)는 내부림(76)의 내부 외주벽을 향하여 눌려지게 되므로, 보조노즐(80)은 바람직한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다. 반대로, 잠금링(86)의 반회전 작용에 의하여, 구면결합부(82)는 잠금링(86)의 조임으로부터 해제되므로, 보조노즐(80)은 구면결합부(82)의 중심주위에서 선회하게 된다.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전기펌프(26)는 제 4 도의 것과 유사하다. 분지파이프(30)이 단부(30b)는 내부림(76)에 연결되고(제 10 도에 도시), 보조노즐(80)과 함께 유체 소통을 유지한다(제 10 도에 도시).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의 작동과 유사하다. 펌프(26)안으로 들어가 펌프(26)에 의하여 압축된 물은 주노즐(36)과 보조노즐(80)로 보내진다. 보조노즐(80)로 보내진 물은 보조노즐(80)로부터 목욕물(46)로 수평분출 배출된다. 이러한 물의 분출은 욕조(44)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고,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사람의 몸에 부딪힐 때 목욕물에 있는 사람의 몸을 마사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 보조노즐(80)로부터 물의 분출방향은 보조노즐(80)의 선회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되어질 수 있다.
제 13 도 내지 제 1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2 실시예의 보조노즐(80)과 다른 이 실시예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보조노즐(100)은 고정되어 있다. 말하자면, 보조노즐(100)은 욕조(44)안으로 압축된 물을 배출하도록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틈부에 고정되도록 끼워진다. 제 14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6)의 출구(26b)와 보조노즐(100)을 서로 연결시키는 T-자형 분지파이프(102)는 분지파이프(102)의 단부(102b)가까이 위치한 구멍부 또는 공기입구(104)를 가지고, 단부(102b)는 보조노즐(100)에 직접 연결된다. 이 공기입구(104)는 헤드하우징(16)의 하부면에 형성된 또 다른 구멍부 또는 공기입구(106)로 공기튜브(108)를 경유하여 소통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압축된 물이 분지파이프(102, 단부(102b)를 포함하는 분지파이프의 부분)를 통하여 통과할 때, 공기튜브(108)에서 발생하는 압력하강은 분지파이프(102)내부물의 흐름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물표면 바로위의 대기 또는 주위공기는 공기흡입구(106)을 통하여 공기튜브 안으로 취해져서, 분지파이프(102)안에 있는 물의 흐름안으로 주입된다. 그리고 나서, 공기는 분지파이프(102)안에서 물과 혼합되므로, 다수의 순간 거품을 포함한 물은 보조노즐(100)외부로 분출된다. 물의 분출을 포함하는 이러한 거품은 목욕물(46)안으로 직접 배출된다.
그러므로, 주노즐(36)으로 부터의 물의 분출과 다른 물이 분출을 포함하는 거품은 목욕물(46)을 튀기지도 않고, 소음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추가해서, 제 15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기(28)와 구조적으로 다른 여과기(110)는 하우하우징(12)의 흡입 개방부(18)안에 끼워진다. 이러한 여과기(110)는 포옴(foam)플라스틱과 같은 디스크형 체눈(112)과 디스크형 여과 매개물로 구성한다. 여과 매개물은 다수의 관통구멍(116)들을 가지고, 체눈(11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다른 부분들의 구조는 제 2 실시예의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의 부분들과 동일하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을지라도, 이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변경 및 수정이 용이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될 것이다.

Claims (16)

  1. 욕조의 물에 효과적인 거품제조를 위한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에 있어서, 수중 전기펌프로 구성되고, 욕조로부터 물을 펌프안으로 들어오게 하여 압축된 물을 욕조로 배출하고,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펌프 수단과, 물을 분출 상태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수단의 출구에 연결되는 노즐부재와, 욕조의 바닥에 수중펌프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펌프위에 있는 상기 노즐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와 상기 노즐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펌프 수단이 작동될 때 물의 분출방향이 욕조의 표면을 향하도록 욕조에서 조립체의 설치에서 물위에 상기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펌프를 둘러싸고 욕조바닥의 상부면에 배치된 하부단부와 함께 욕조안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하부하우징과 하부단부를 가지고, 지지부재는, 마주하는 단부들을 가지며 노즐부재가 펌프의 출구와 유체를 소통하도록 한쪽 단부가 부착되며 다른쪽 단부는 노즐부재에 부착되는 연결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하부 하우징의 하부 단부에 고정되는 흡입컵 부재를 추가로 구성하고, 흡입컵 부재가 욕조바닥의 상부면상에 부착될 때, 흡입컵 부재는 욕조 바닥에 하부 하우징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이 욕조바닥에 배치될 때, 흡입컵 부재가 욕조바닥과 떨어진 관계로 있는 하부하우징의 하부 단부를 지지하도록, 흡입컵 부재는 하부하우징의 하부단부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하우징은 펌프입구와 유체를 소통시키는 흡입개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물이 흡입개방부를 통하여 펌프 안으로 들어갈 때, 하부 하우징이 욕조 바닥을 향하여 흡입에 의하여 조여지도록, 흡입개방부는 하부 하우징의 하부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펌프에 DC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동력 공급 수단이 욕조 외부에 배치되기에 적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펌프의 출구와 유체를 소통시키는 보조 노즐 부재는 물이 보조노즐 부재의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부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노즐부재로부터 물이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맞추도록 보조 노즐부재는 수평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보조 노즐부재는 목욕물 표면 바로 아래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고, 보조 노즐부재로부터 배출되게 되는 물의 분출이 원하는 방향으로 맞추어지도록 구면부 중앙 주위에서 보조 노즐부재의 선회 움직임을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는 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물의 분출에 기인한 소음의 감소를 위하여 노즐부재에 한쪽 단부가 동축으로 부착되는 저소음 튜브는 저소음 튜브의 다른쪽 단부가 조립체의 배치와 물로 욕조를 채우는 것에서 욕조물에 잠기도록 축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저소음튜브는 저소음관의 단부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으며 수축하고 유연한 주름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저소음 튜브는 외부공기가 공기흡입 구멍을 통하여 저소음 튜브안으로 취해지도록 공기 흡입 구멍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4. 제 6 항에 있어서, 목욕물의 표면 바로 아래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보조 노즐부재와, 펌프의 출구와 함께 보조 노즐 부재를 소통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는 분지 파이프와, 물이 분지파이프를 통하여 통과할 때 분지 파이프 안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목욕물의 표면 바로 위에 있는 대기로 개방하고 분지파이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기관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노즐부재를 감싸고 공기 흡입 구멍을 가지는 헤드 하우징과, 연결파이프를 감싸고, 헤드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로 연장하여 하부 하우징위에서 헤드 하우징을 지지하는 목하우징과, 분지파이프와 공기 흡입 구멍 사이로 연장하고 공기 흡입 구멍을 통하여 대기에 개방하는 공기관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16. 제 6 항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의 흡입 개방부에 끼워지고, 물이 펌프로 들어갈 때 펌프에 의하여 들어오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KR1019900015482A 1990-09-28 1990-09-28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KR95000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482A KR950000486B1 (ko) 1990-09-28 1990-09-28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482A KR950000486B1 (ko) 1990-09-28 1990-09-28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943A KR920005943A (ko) 1992-04-27
KR950000486B1 true KR950000486B1 (ko) 1995-01-24

Family

ID=1930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482A KR950000486B1 (ko) 1990-09-28 1990-09-28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264B1 (ko) * 2003-07-10 2005-09-02 강근수 헤딩머신에 의한 슬리브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943A (ko)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6924A (en) Hydromassage tub assembly
US4957101A (en) Portable bubble bath assembly
US5807289A (en) Water jet appliance
US4926510A (en) Hand held dry hydro-massage unit for a spa
JPH039709Y2 (ko)
US4774934A (en) Bubble bath assembly with nozzle outlet above water surface
KR950000486B1 (ko) 휴대 목욕용 발포제 조립체
CA2431729A1 (en) Shower apparatus for seated occupant
JPH034216B2 (ko)
US6131212A (en) Extendible and retractable spa jet with air/water venturi
US4984313A (en) Head-held bubble bath apparatus
JP2582781Y2 (ja) 浴槽用マッサージ装置
JPH0352982B2 (ko)
JPH0341704Y2 (ko)
JPH048902Y2 (ko)
RU2002128479A (ru) Гидромасс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упальной ванны
JP2597297Y2 (ja) 気泡発生浴槽
JP2889446B2 (ja) 浴槽の肩当て用シャワー装置
JP2520480Y2 (ja) 浴槽用水中ジェット流発生装置
AU727727B2 (en) Water jet appliance
JP2563963Y2 (ja) 浴槽用発泡器
JPH11188070A (ja) 浴槽用気泡発生装置
JP2906517B2 (ja) 気泡発生浴槽における噴出ノズル構造
KR200338352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JPH0397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