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74A - 접속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속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74A
KR950000474A KR1019940007709A KR19940007709A KR950000474A KR 950000474 A KR950000474 A KR 950000474A KR 1019940007709 A KR1019940007709 A KR 1019940007709A KR 19940007709 A KR19940007709 A KR 19940007709A KR 950000474 A KR950000474 A KR 95000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end portion
spring device
contac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졸탄 머즈레이 스티븐
Original Assignee
피터 에이. 아브러지스
아이티티 인더스트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에이. 아브러지스, 아이티티 인더스트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터 에이. 아브러지스
Publication of KR95000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스프링 위치(46, 제8도 참조)에 관한 것이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접속기(12)가 제2 접속기 장치(18)에 정합되지 않을 때 한쌍의 접속기 단자들(14,16)을 단락시킨다. 스프링 장치는 제1단자에 접속되는 고정된 고착단부(50) 및 대향된 접촉단부 부분(44)를 갖는 형태로 되며, 상기 접촉단부 부분(44)는 단락방향(S)에서 외측(O) 및 측면측(A)로 이동되어 제2단자에 접촉될 수 있고 제2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내측 및 측면측으로 이동되어 개방방향(U)로 선회되도록 압압될 수 있다. 절연재료로 된 절연체(92)는 제2단자의 내부부분을 둘러싸서, 접촉단부 부분이 개방위치에 있게 될 때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제2단부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장치는 제1단자를 밀착적으로 수납하는 구멍을 갖는 고착단부(50)를 구비하는 시이트 금속 대편으로 제조되며; 상기 스프링 장치는 또한 접속기의 절연 베이스에 형성되는 슬로트(102)내로 돌출되어 제1단자를 중심으로한 스프링 장치의 선회를 제한하게 되는 탭(10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속기 및 그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8도는 제3도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

Claims (23)

  1. 서로 정합될 수 있는 접속기 및 접속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기 장치는 절연 하우징 및 한쌍의 단자 장치들을 가지며, 상기 접속기는 절연 베이스 및 제1과 제2단자들을 갖고, 상기 단자들은 상기 베이스에 고착되는 고착부들 및 상기 베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접속기는 상기 제1단자에 접속되는 고착단부 부분 및 서로 대향되는 단락방향 및 개방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는 접촉단부 부분을 갖는 전기 전도성 스프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단락방향으로 선회될 때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상기 접촉단부 부분에 있는 접촉지점이 상기 제2단자에 계합될 때까지 상기 제2단자를 향하여 외측으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기 및 접속기 장치가 정합될 때 상기 접촉단부 부분을 내측으로 압압하여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개방위치로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촉지점이 상기 제2단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게 되는, 접속기 시스팀이 있어서, 상기 접속기 및 접속기 장치가 완전히 정합되어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개방방향으로 완전히 선회될때 스프링 장치의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제2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단자의 자유단부 부분의 내부 부분 둘레에 걸쳐서 위치되는, 절연성 재료로 된,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정합될 수 있는 접속기 및 접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접속기 시스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개방방향으로 완전히 선회될 때, 상기 접촉지점의 옆에 위치되게 되는 내부지점을 갖고; 상기 내부지점에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지점에서의 제2단자의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폭이 테이퍼되며, 상기 절연체의 외측 단부가 가장 작은 폭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시이트 금속 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착단부 부분은 상기 제1단자를 밀착적으로 수납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슬로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탭을 구비하며, 상기 탭은 상기 슬로트내로 돌출되어 상기 제1단자를 중심으로한 스프링 장치의 선회를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시이트 금속 대편으로 제조되고,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단자의 대향측면들에서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대향된 아암들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단자의 제1단자에 대하여 대향된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아암들을 연결시키게 되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또한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신된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단부 부분의 휨에 저항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시이트 금속 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착단부 부분은 상기 제1단자를 밀착적으로 수납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고착단부 부분은 다수의 슬로트를 구비하고, 상기 슬로트는 상기 구멍으로 부터 연장되며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격설되는 다수의 격리된 단자 접지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접지부들은 내면과 외면 및 상기 제1단자에 계합되는 단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접지부의 상기 단부는 상기 내면에 라운딩된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게 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접지부들은 상기 제1단자내로 파고들어가기 위해 상기 외면에 제공되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의 상기 베이스가 외면부분을 갖고, 상기 외면부분은 상기 제2단자의 대향 측면들상에서 대향측면 지점들을 갖게 되는 키이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접속기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기와 상기 접속기 장치가 정합됨에 따라 상기 키이를 밀착적으로 수납하는 키이웨이를 형성하는 요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의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상기 키이의 상기 대향된 측면 지점들에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되는 대향된 연부들을 갖게 되며; 각각의 상기 스프링 장치 연부들은, 상기 스프링 장치가, 상기 스프링 장치 연부들이 상기 키이의 대향된 측면 지점들로부터 동일하게 격설되게 되는 요구위치로부터, 10°보다 큰 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키이의 측면 지점들중의 대응되는 지점을 지나서 돌출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소정 길이의 스프링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은 상기 제2단자의 둘레에서 루우프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상기 접촉단부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어 부분은 상기 단략방향으로 압압되지만 상기 개방방향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선회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소정 길이의 스프링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1회 이상 권취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부는 상기 고착단부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단자를 중심으로 타이트하게 권취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1단자에 고착시키게 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단자 둘레에서 루우프를 형성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루우프는 상기 단락방향 및 개방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상기 제2단자에 대향되는 상기 제1단자의 측면상에 위치되는, 180°중첩부에서 연결되는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는 상기 고착단부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는 상기 접촉단부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중첩부를 제외하고서는 억제되지 아니하여 긴 비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가 상기 절연체의 대향 측면들상에 위치되는 개방 벽들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시스팀.
  12. 절연 베이스 및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정합되는 접속기 장치의 단자 장치들과 정합되도록 구조되고, 상기 정합되는 접속기 장치는 접속기들이 정합될 때 상기 베이스 표면에 밀착적으로 접근하게 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단자들은 접속기가 상기 접속기 장치에 정합되게 되는 때를 제외하고는 연속적으로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접속기에 있어서, 시이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고착단부 및 접촉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고착단부는 상기 제1단자를 밀착적으로 수납하는 구멍을 갖고,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상기 제2단자를 향하여 상기 외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접속기 장치가 상기 접속기와 정합되는 때에는 상기 접속기 장치의 상기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내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2단자로 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되게 되며; 상기 베이스는 슬로트를 갖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슬로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위치되는, 유전체 재료로 된,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기와 접속기 장치가 정합되는 경우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그 최내측 위치에 있게될 때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제2단자를 중심으로 위치되게 되고; 상기 절연체는 외측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단부는 상기 접촉되는 외측 단부가 상기 제2단자를 향하여 이동되게 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4. 절연 베이스 및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들은 종방향으로 격설되며 상기 베이스의 표면으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정합되는 접속기 장치의 단자장치들과 정합되도록 구조되며, 상기 정합되는 접속기 장치는 접속기들이 정합될 때 상기 베이스에 밀착적으로 접근하게 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종방향 및 외측 방향은 서로 수직하면서 측방향에 수직하게 되며, 상기 단자들은 접속기가 상기 접속기 장치에 정합될 때를 제외하고는 연속적으로 단락된 상태로 존재되게 되는, 접속기에 있어서, 시이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제1단자를 밀착적으로 수납하는 구멍을 갖고 상기 제1단자에 고착되게 되는 고착단부 및 상기 제2단자가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큰 규모로 연장되는 한쌍의 대향된 아암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자의 측방향으로 대향된 측면들상에 위치되게 되는 접촉단부 부분을 갖고;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상기 아암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되는 다리부를 가지며; 각각의 아암은 상기 고착단부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부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단락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압압되어 상기 다리부가 제2단자를 향하여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들은 상기 다리부의 정위를 안정화하고;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대향되는 개방방향으로도 선회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상기 다리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다리부의 시이트 금속 평면으로부터 변형되어 상기 접촉단부 부분의 뒤틀림을 방지하게 되는 연신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그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로트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슬로트내에 수납되게 되는 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개방방향에서 개방위치로 선회될때 상기 접촉단부 부분의 상기 다리부의 옆에 위치되는 상기 제2단자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유전체 재료로 된,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단락방향으로 선회될 때 상기 다리부가 단자를 향하여 이동되게 하는 지점의 내측에 위치되게 되는 외측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8. 접속기에 있어서, 절연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 부분들을 갖는 다수의 단자들; 및 시이트 금속으로 제조되며 상기 단자들중의 제1단자에 고착되는 고착단부 부분 및 상기 단자들중의 제2단자에 계합될 수 있는 접촉단부 부분을 갖게 되는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착단부 부분이, 상기 구멍으로 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격설되는 다수의 격리된 단자 접지부들을 형성하는 다수의 슬로트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접지부들은 내면과 외면 및 상기 제1단자에 계합되는 단부를 갖고; 각각의 접지부의 상기 단부는 상기 내면에 라운딩된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들중의 하나 이상이, 상기 외면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1단자내로 파고드는, 단자 계합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슬로트를 갖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슬로트내로 돌출되며 상기 제1단자를 중심으로한 상기 스프링 장치의 선회를 제한하게 되는, 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21. 절연 베이스 및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들은 종방향으로 격설되며 상기 베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정합되는 접속기 장치의 단자장치들과 정합되도록 구조되며, 상기 정합되는 접속기 장치는 접속기들이 정합될 때 상기 베이스에 밀착적으로 접근하게 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종방향 및 외측 방향은 서로 수직하면서 측방향에 수직하게 되며, 상기 단자들은 접속기가 상기 접속기 장치에 정합될 때를 제외하고는 연속적으로 단락된 상태로 존재되게 되는, 접속기에 있어서, 중첩부에 의해 연결되는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는 상기 제1단자에 고착되며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2단자에 대향된 상기 제1단자의 측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외부는 상기 중첩부에서만 제한되게 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압압되지만 정합중에는 상기 제2접속기 장치에 의해 내측으로 편향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외부는 상기 제1단자에 대향된 상기 제2단자의 측면상에 위치되는 접촉지점을 갖고; 상기 접촉지점은 상기 외부가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단자를 향하여 외측으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2단자에 접촉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22. 절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베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되는 자유단부 부분들을 갖는 한쌍의 단자들을 갖고, 상기 제1단자에 접속되고 접촉단부 부분을 갖게 되는 스프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부 부분은 외측방향 및 상기 외측방향에 수직한 측방향에서 상기 제2단자를 향하여 단락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2단자상의 소정지점에 계합되게 되고 내측방향 및 측방향에서 상기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개방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수도 있게 되는, 접속기를,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상기 제2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자 자유단부 부분의 내부 둘레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단자의 폭 이하의 두께를 가져서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접촉단부 부분이 외측방향이 아닌 측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접촉단부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게 되는 절연체를, 상기 베이스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로트를 형성하는 단계; 시이트 금속으로 제조되고 구멍을 형성하는 벽들 및 상기 시이트 금속의 근접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탭을 갖는, 상기 스프링 장치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스프링 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구멍의 벽들이 상기 제1단자를 수납하여 상기 제1단자에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의 측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탭을 상기 슬로트내로 이동시켜 상기 제1단자를 중심으로 한 상기 스프링 장치의 선회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07709A 1993-06-01 1994-04-13 접속기 및 그 제조방법 KR950000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69,793 US5401180A (en) 1993-06-01 1993-06-01 Connector shorting spring
US08/069,793 1993-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74A true KR950000474A (ko) 1995-01-03

Family

ID=2209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709A KR950000474A (ko) 1993-06-01 1994-04-13 접속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01180A (ko)
EP (1) EP0632546B1 (ko)
JP (1) JPH07147173A (ko)
KR (1) KR950000474A (ko)
CA (1) CA2124663C (ko)
DE (1) DE6943220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24B1 (ko) * 2005-03-04 2007-04-05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클린룸의 에어샤워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634A (en) 1993-10-20 1997-07-15 Quantic Industries, Inc. Electrical initiator
US5728964A (en) 1993-10-20 1998-03-17 Quantic Industries, Inc. Electrical initiator
US5600300A (en) * 1994-07-15 1997-02-04 Chrysler Corporation Arrangement for indicating an indicating an interrupted electrical connection
GB9423346D0 (en) * 1994-11-18 1995-01-11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having retention and shorting features
EP0734100B1 (en) * 1995-03-20 2003-05-0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5616045A (en) * 1995-07-14 1997-04-01 Augat Inc. Squib connector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y
US5609498A (en) * 1995-09-19 1997-03-11 Itt Corporation Secure connector system
US5697501A (en) * 1995-12-21 1997-12-16 Polaroid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5895282A (en) * 1996-05-24 1999-04-20 Thomas & Betts Corporation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CA2233466C (en) 1996-08-12 2002-05-1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EP1378973B1 (en) * 1996-08-12 2007-01-1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US5882224A (en) * 1996-08-28 1999-03-1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quib connector socker assembly having shorting clip for automotive air bags
US6276953B1 (en) 1997-12-04 2001-08-21 Thoma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US6261123B1 (en) * 2000-03-20 2001-07-17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manual disconnect
DE60222755T2 (de) * 2001-04-03 2008-07-17 Nknm Ltd., Tortola Als einheit ausgeführter kopfstück/basis/kurzschlussbrücken-halter für einen mikrogasgenerator und diesen verwendender mikrogasgenerator
FR2843493B1 (fr) * 2002-08-09 2004-12-24 Amphenol Tuchel Elect Connecteur male
JP2005353306A (ja) * 2004-06-08 2005-12-22 Sony Corp Acプラグ、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気機器
TWM277170U (en) * 2005-05-27 2005-10-01 Joymax Electronics Co Ltd Signal connector
US7354287B1 (en) * 2006-10-31 2008-04-08 Caterpillar Inc. Shorting connector
US7789685B2 (en) * 2006-12-18 2010-09-07 Caterpillar Inc Electrical shorting system
US7616421B2 (en) * 2006-12-18 2009-11-10 Caterpillar Inc. Electrical interface system
US7537473B2 (en) * 2007-06-28 2009-05-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Low profile shorting bar for electrical connector
GB201204866D0 (en) * 2012-03-20 2012-05-02 Trw Ltd Fork type electrical connector
USD772231S1 (en) * 2015-04-16 2016-11-22 Physical Optics Corporation Universal integrative mission module interface
CN106299894A (zh) * 2015-05-22 2017-01-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线缆组件
US10662898B2 (en) 2016-09-08 2020-05-26 Raytheon Company Integrated thruster
US10046409B2 (en) 2016-09-08 2018-08-14 Raytheon Company Methods of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of making a receptacle for receiving an electrical device
US10615547B2 (en) 2016-09-08 2020-04-07 Raytheon Company Electrical device with shunt, and receptacle
FR3059478A1 (fr) * 2016-11-30 2018-06-0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CN107039864B (zh) * 2017-06-05 2023-04-21 国网安徽省电力公司六安供电公司 可调节短接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7722A (en) * 1969-10-13 1971-08-03 Malco Mfg Co Inc Connector
US3668606A (en) * 1970-10-08 1972-06-06 Malco Mfg Co Inc Buss connector
US3858152A (en) * 1973-07-13 1974-12-31 Monarch Molding Inc Intercept connector suitable for use in a telephone system
DE2633590C2 (de) * 1976-07-27 1984-09-27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Zündvorrichtung für ein passives Rückhaltesystem
DE3338929A1 (de) * 1983-10-27 1985-05-09 Bayern-Chemie Gesellschaft für flugchemische Antriebe mbH, 8261 Aschau Kurzschlussfeder
US4971568A (en) * 1989-12-11 1990-11-20 Polaroid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ttachment for automatically shorting select conductors upon disconnection of connector
FR2689325B1 (fr) * 1992-03-25 1996-07-12 Carrier Kheops Bac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connecteurs electr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24B1 (ko) * 2005-03-04 2007-04-05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클린룸의 에어샤워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2204T2 (de) 2004-03-18
DE69432204D1 (de) 2003-04-10
US5401180A (en) 1995-03-28
EP0632546A2 (en) 1995-01-04
JPH07147173A (ja) 1995-06-06
EP0632546B1 (en) 2003-03-05
CA2124663C (en) 1997-10-21
EP0632546A3 (en) 199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474A (ko) 접속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191740B1 (ko) 전기 커넥터용 부유 패널 장착 시스템
EP0836249B1 (en) Electrical grounding shroud
US4575172A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 controlled contacts
US4718854A (en) Low profile press fit connector
US5178563A (en) Contact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596235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and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contact element
US62244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ame with circuit devices
US3478301A (en) Low insertion force cam-actuate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CZ91393A3 (en) Connector
EP0158413A2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 controlled contacts
US3958852A (en) Electrical connector
US10840623B2 (en) Board-mounting connector including cylindrical portion having slit with end portions offset from one another
JPH05275141A (ja) プラグ検出スイ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US604239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arrangement
EP37837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3112973A (en) Locking three-wire electrical cord connector
JPH07192819A (ja) 同軸コネクタ
US4561714A (en) Contact assembly for ribbon cable
US4192571A (e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housing
US4529260A (en) Self-retaining electrical contacts
US6435909B1 (en) Low profile cable end connector
US4285561A (en) Transmission cable mass termination
US4921431A (en) Connector adapter assembly
JP2013539154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