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322Y1 -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322Y1
KR950000322Y1 KR2019910003177U KR910003177U KR950000322Y1 KR 950000322 Y1 KR950000322 Y1 KR 950000322Y1 KR 2019910003177 U KR2019910003177 U KR 2019910003177U KR 910003177 U KR910003177 U KR 910003177U KR 950000322 Y1 KR950000322 Y1 KR 950000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mpartment
cock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193U (ko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2019910003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322Y1/ko
Publication of KR920018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a)(b)(c)의 본 고안에 의한 3방 밸브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압자동밸브 2 : 격실
3 : 수도콕 4 : 출수구
5 : 3방밸브 6 : 직립배관
7 : 순환관 9 : 플로트
10 : 스위치 11 : 양수펌프
12 : 연결관 13,14 : 역류방지밸브
15 : 고무튜브
본 고안은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 상수도관 내부의 물이 얼어서 상수도관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콕 직전의 직립배관 하부에 장치하여 직립내관 내부의 물이 순환되어 얼지 않도록 함으로서 동파가 방지되도록 하는 상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수도는 동파방지를 위하여 지상에 노출되는 직립배관에 보온재를 씌우거나 전기적 보온장치를 함은 물론 물이 흐를수 있도록 수도콕을 열어 놓았으나, 전기적 보온장치는 설비비 및 관리비가 많이 들어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고 수도콕을 열어놓은 방법은 수도물의 낭비가 극심해지는 결점이 발생되어 주로 보온재를 씌어두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보온상태가 완벽하지 못하여 겨울철동안 서서히 배관내면의 물이 얼어 붙으면서 배관내경이 좁아지게 되므로 결국은 배관이 동파되는 결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수도콕의 일측에 순환관을 연설하고 직립내관과 순환관의 하단에 수압자동밸브와 고무튜브 및 담수통을 설치하여 밸브의 조작에 의해 물을 사용하지 않을때도 직립배관 내부의 물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서 물의 낭비없이 동파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상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방밸브(5)가 내설된 수도콕(3)의 일측에 순환관(7)을 연설하여 담수통(8)에 삽입하고 플로트(9)와 스위치(10)가 설치된 담수통(8)의 바닥면에 양수펌프(11)를 고정하며 양수펌프(11)에는 격실(2)과 연결되는 연결(12)을 설치하되 연결관(12)에는 역류방지밸브(13)(14)와 고무튜브(15)를 설치한 후 격실(2)에는 수압자동밸브(1)를 가진 수도배관(6)의 출구와 직립배관(6)의 입구를 분리상태로 입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압자동밸브(1)가 상수도관으로부터 격실(2)에 수도물을 공급하고 격실(2)내의 수압이 상승되면 격실(2)내의 수압에 의해 차단되어 수도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으로 수도물을 사용하기 위해 수도콕(3)내부의 3방밸브(5)를 제2도의 (b)와 같이 조절하면 수압 자동밸브(1)를 통해 격실(2)로 공급된 수도물이 직립배관(6)을 따라 수도콕(3)으로 이동하여 수도콕(3)으로 이동하여 수도콕(3)의 출수구(4)로 배출되므로 수도물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도물의 사용을 중단할 때는 수도콕(3)내의 3방밸브(5)를 제2도의 (a) 및 제2도의 (c)와 같이 조절함으로서 출수구(4)로 배출되는 수도물을 차단하여 수도물의 사용을 중단하되 동파의 염려가 없는 계절에는 제2도의 (c)와 같이 3방밸브(5)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동파의 위험이 있는 겨울철에는 3방밸브(5)를 제2도의 (a)와 같이 조절함으로서 직립배관(6)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수도콕(3) 내부의 3방밸브(5)를 제2도의 (a)와 같이 조절하면 출수구(4)는 차단되지만 격실(2)내의 수압에 의해 수도물은 직립배관(6)을 따라 공급된 후 순환관(7)을 통해 담수통(8)으로 공급되고 담수통(8)내의 수위가 상승되어 플로트(9)가 스위치(10)를 온(ON)시키면 담수통(8)바닥면의 양수펌프(11)가 동작하여 담수통(8)내의 물을 연결관(12)을 통해 고무튜브(15)로 공급한다.
따라서, 고무튜브(15)는 양수펌프(11)에 의해 공급되는 담수통(8)내의 물을 수용하면서 팽창한 후 고무튜브(15)내의 수압이 격실(2)의 수압보다 높아질 때 고무튜브(15)에는 물을 격실(2)로 공급한다.
이때, 고무튜브(15)의 전, 후측 연결관(12)내에 역류방지밸브(13)(14)가 설치됨으로서 고무튜브(15)내의 물이 담수통(8)으로 역류하거나 격실(2)의 물이 고무튜브(15)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격실(2)내의 물은 다시 직립배관(6)과 순환관(7)으로 순환되므로 직립배관(6)의 동파현상이 방지되며 3방밸브(5)를 제2도의 (b)와 같이 조절하면 순환되던 물을 출수구(4)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배관에서의 수돗물 공급이 정지되고 수도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담수통내의 수도물이 연속순환되도록 함으로서 직립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고 수도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수도배관(6')의 출구와 수도콕(3)을 가진 직립배관(6)의 입구가 연결된 격실(2)과; 상기 수도배관(6')설치되며 격실(2)내의 수압을 일정상태로 자동 조절하기 위한 수압자동밸브(1)와; 상기 수도콕(3)에 설치되어 수도물의 공급방향을 조정 및 공급정지를 행하기 위한 공지의 3방밸브(5)와; 상기 수도콕(3)에 설치되어 3방밸브(5)와 연결되며 직립배관(6)의 물을 담수통(8)으로 순환공급시키기 위한 순환관(7)과; 상기 담수통(8)내에 설치되어 각각 수위감지와 담수통(8)내의 양수펌프(11)를 구동시켜 주기위한 플로트(9) 및 스위치(10)와; 상기 양수펌프(11)와 연결되어 담수통(8)의 물을 격실(2)로 공급시켜주며 격실(2)내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보충시켜 주기위한 고무튜브(15)와; 상기 고무튜브(15)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는 역류방지 밸브(13)(14)를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KR2019910003177U 1991-03-09 1991-03-09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KR950000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177U KR950000322Y1 (ko) 1991-03-09 1991-03-09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177U KR950000322Y1 (ko) 1991-03-09 1991-03-09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193U KR920018193U (ko) 1992-10-17
KR950000322Y1 true KR950000322Y1 (ko) 1995-01-20

Family

ID=1931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177U KR950000322Y1 (ko) 1991-03-09 1991-03-09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69B1 (ko) * 2007-12-07 2009-12-17 (주) 두두에너텍 상수도 공급시스템용 관말의 정체수 순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69B1 (ko) * 2007-12-07 2009-12-17 (주) 두두에너텍 상수도 공급시스템용 관말의 정체수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193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7479A (en) Heat exchanger and drain down for solar collector
EP0527545B1 (en) Water piping system
US4664143A (en) External water tower
US4481966A (en) Waterline freeze protection system
KR950000322Y1 (ko) 상수도의 동파방지장치
US5803111A (en) Device for purging water supply line
AU2019101024A4 (en) Improved cooling apparatus
JPS627336B2 (ko)
US5718374A (en) Heating device
GB25841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liquid to a fluid circuit of a heating or a cooling system
JPH10325161A (ja) 高架水槽の凍結防止方法及び装置
WO1995020132A9 (en) Heating device
JP4883686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874327B2 (ja) 風呂給湯装置
JPH0725552Y2 (ja) 泡風呂用追焚き装置
JPS5845447A (ja) 凍結防止弁
JP3844604B2 (ja) 複合式給湯器
SU1743999A1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забортной воды к теплообменникам
KR890002956Y1 (ko) 펌프와 물탱크가 일체로 결합된 온수 보일러의 이중 순환장치
SU10416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роцесс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и в трубопроводах
JP2559318Y2 (ja) 脱酸素装置における節水装置
JPH0571733B2 (ko)
JPH09138005A (ja) 太陽熱給湯設備
JP2874323B2 (ja) 風呂給湯装置
JPS5840093B2 (ja) 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