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113B1 - 비디오 폰 유니트 - Google Patents

비디오 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113B1
KR940011113B1 KR1019910005574A KR910005574A KR940011113B1 KR 940011113 B1 KR940011113 B1 KR 940011113B1 KR 1019910005574 A KR1019910005574 A KR 1019910005574A KR 910005574 A KR910005574 A KR 910005574A KR 940011113 B1 KR940011113 B1 KR 94001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party
video phone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408A (ko
Inventor
다까시 아이다
가쯔오 오제끼
겐지 다찌꾸
히데유끼 우에노
도시아끼 와따나베
요시꾸니 마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쬬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쬬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폰 유니트
제 1 도는 첫대상물체를 성취하기 위한 첫 번째 구체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폰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 2 도는 T.V 카메라가 비디오 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비디오 폰의 사시도.
제 3 도는 T.V 카메라가 비디오 폰 본체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비디오 폰의 사시도.
제 4 도는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대상물체를 성취하기 위한 두 번째 구체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폰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 5 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대상물체를 얻기 위한 세 번째 구체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폰의 블록다이아그램.
제 6 도는 작동스위치를 사용하여 첫 번째 대상물체를 얻기 위한 네 번째 구체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폰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 7 도는 훅과 리셋스위치를 사용하여 첫 번째 대상물체를 얻기 위한 다섯 번째 구체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폰 유니트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 8 도는 카메라의 두 번째 변형을 보여주는 제 1 도에 나타난 T.V 카메라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 9 도는 카메라의 세 번째 변형을 보여주는 제 1 도에 나타난 T.V 카메라의 블록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폰 본체 2 : T.V 카메라
3 : 수화기 4 : 디코더
5 : 수신단자 6 : 코더
7 : 송신단자 8 : 훅
9 : 전환스위치 10 : 수신화상단자
11 : 촬영화상단자 12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T.V 카메라를 구비한 비디오 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화상을 송신하기 위한 비디오 폰 유니트는 디지탈 통신 네트워크가 확산하면서 급격히 발전되고 있다.
상기 비디오 폰 유니트에 있어서, 보통 한통화자의 이동화상은 상대 통화자로 송신되기 전에 이동 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다.
그러나 기존의 상기 비디오 폰 유니트에서 카메라가 전화기 본체의 부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통화자는 각 통화자쪽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T.V화상을 볼 수가 없다.
그것은 각 통화자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영역을 선택할 수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그런 전화기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세울 수 있는 T.V화상의 몇몇 종류가 있다고 할지라도, T.V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T.V 카메라의 촬영하는 쪽의 통화자에게는 보여질 수 없다.
또한, 기존의 비디오 폰 유니트에서는 촬영화상을 송신하고 있는 동안에 대상물체가 촬영되기 때문에, T.V 카메라가 이동될 때 떨리는 화상이 송신된다.
그래서 수신자는 만족한 화상을 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대상은 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영역이 넓혀지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T.V 화상이 쉽게 보여지는 비디오 폰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대상은 T.V 카메라가 이동할 때 통화자가 만족할 수 있는 화상이 송신될 수 있는 비디오 폰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일방과 상대방 사이에 정지화상이나 이동화상들을 송신하기 위한 비디오 폰 유니트는 ;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수신화상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 ; 일방에 관한 촬영화상을 만들기 위해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촬영수단 ; 촬영 수단이 정지상태인지 이동상태인지를 검파하며, 촬영수단이 이동상태를 가리키는 첫 번째 검파신호 혹은 촬영 수단이 정지상태를 가리키는 두 번째 검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파 수단 ;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검파 신호를 수신한 후에,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수신화상 또는 촬영 수단에서 만들어진 촬영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첫 번째 선택수단 ; 첫 번째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한 화상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및 ; 촬영 수단으로부터 상대방으로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첫 번째 선택수단은 첫 번째 검파 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촬영수단에서 만들어진 촬영화상을 선택하고, 두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수신화상을 선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에서, 비디오 폰의 구조는 촬영수단과 다른 수단들을 구비한 비디오 폰 본체로 나누어진다.
보통 첫 번째 선택수단이 검파수단으로부터 두 번째 신호를 수신한 후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화상을 선택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촬영수단은 정지상태에서 비디오 폰 본체에 장착된다.
그래서 수신 화상은 수신 수단과 첫 번째 선택 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나타내어진다.
또한 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은 송신 수단을 통하여 상대방으로 송신된다.
다시 말해서, 일방과 상대방은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서로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이동 가능한 촬영수단이 일방에 의해 일방의 비디오 폰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세워질 때, 비디오 폰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세워진 촬영수단은 정지상태이며 첫 번째 선택수단은 검파 수단으로부터 첫 번째 검파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첫 번째 선택수단은 수신화상으로부터 촬영화상으로 자동적으로 선택을 전환한다.
그래서 일방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사용하여 일방의 촬영 화상을 바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촬영화상을 확인하면서 독단적으로 촬영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디오 폰이 일방의 촬영화상을 보면서 쉽게 더 넓은 영역에서 대상물체를 촬영하는 것을 일방에게 허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때와 송신수단을 통해 상대방으로 선택화상을 송신할 때,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이나 독단적인 화상들을 선택하기 위해 두 번째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첫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두 번째 선택수단은 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두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두 번째 선택수단은 촬영 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한다.
나아가서, 두 번째 선택수단이 촬영 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동안에 촬영수단에서 촬영되는 촬영 화상 대신에 송신수단을 통하여 상대방으로 송신되는 지정된 화상을 미리 기억하기 위해 내부메모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구조에서 이동 가능한 촬영 수단이 일방에 의해 비디오 폰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세워질 때, 상대방은 일방의 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 대신에 일방의 내부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메모리 화상을 수신한다.
그래서 상대방은 그가 불만족하게 떨리는 화상을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일방과 통화하는 동안에 항상 만족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폰의 첫 번째 제기된 구체적 표현이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방과 상대방 사이에 정지화상이나 이동화상을 송신하기 위한 비디오 폰은 정지 화상이나 이동화상을 송신하기 위해 비디오 폰 본체(1)에 장착되어 본체(1)에서 이탈되어 쉽게 세우고 움직이게 할 수 있는 T.V 카메라(2)를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 폰 본체(1)는, 음성으로 상대방과 원거리통화를 하기 위한 수화기(3)와, 일방과 상대방 사이에서 수신단자(5)를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고 송신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압축되는 수신화상이라 불리는 화상의 스틸이나 이동화상의 신장을 위한 디코더(4)와, 전송 단자(7)를 통하여 고효율성으로 상대방으로 송신되는 T.V 카메라(2)에 의해 만들어지는 촬영화상이라 불리는 화상의 정지화상이나 이동화상이 압축을 위한 코더(6)와, 카메라(2)를 걸 수 있게 하고 카메라(2)와 훅(8)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상태일 때 첫 번째 검파신호를 발생하고 카메라(2)가 훅(8)에 장착되어 정지상태일 때 두 번째 검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훅(8)과, (카메라(2))는 훅(8)으로부터 쉽게 장착하고 쉽게 이탈하여 세울 수 있음)
첫 번째 검파신호가 훅(8)으로부터 제공될 때 카메라(2)에서 만들어진 촬영화상을 선택하고, 두 번째 검파신호가 훅(8)으로부터 제공될 때 수신화상단자(10)를 통하여 송신되는 수신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전환스위치(9)와, 전환 스위치(9)에서 선택되는 촬영화상이나 수신화상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12)와, 수화기(3)를 통하여 전송되는 음성이나 디스플레이(12)에 나타나는 화상을 조정하기 위한 키보드(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2)는 아날로그를 디지탈 촬영 화상으로 바꿔주는 첫 번째 A/D 변환기(14)가 제공된다.
그래서 카메라(2)는 디지탈 촬영화상을 전환스위치(9)로 제공한다.
디코더(4)에서 신장된 정지화상이나 이동 화상은 전환스위치(9)로 디지탈 수신화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탈 수신화상이다.
전환스위치(9)는 내쇼날 반도체로부터 구입된 54/74 F 157A 쿼드 2입력 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있다.
멀티플렉서는 디지탈 신호들로 작동한다.
디스플레이(12)는 전환스위치(8)에서 선택된 디지탈 화상을 디스플레이(12)에 나타나는 아날로그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첫 번째 D/A 컨버터(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환스위치(9)는 카메라(7)가 훅(8)으로부터 이탈될 때 훅(8)으로부터 제공되는 첫 번째 검파 신호의 콘트롤 아래 촬영화상을 선택한다.
한편, 전환스위치(9)는 카메라(7)가 훅(8)에 장착될 때 훅(8)으로부터 제공되는 두 번째 검파신호의 콘트롤 아래 수신화상을 선택한다.
비디오 폰의 상기 구조에서 작동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편리성 도모를 위해 카메라(2)에서 만들어진 화상에 대해 "촬영화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또한,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단자(5)에서 수신되는 화상에 대해 "수신화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보통, 카메라(2)는 두 번째 검파신호가 훅(8)에서 발생되고 전환스위치(9)로 제공되도록 제 2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방을 촬영하기 위해 본 비디오 폰 본체(1)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2)는 코더(6)와 송신단자(7)을 통해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한다.
동시에, 수신단자(5)에서 받아들인 수신화상은 전환스위치(9)가 훅(8)으로부터 두 번째 검파신호를 받아 화상을 디스플레이(12)로 송신하기 위한 수신화상을 선택하기 때문에 디코더(4)와 전환스위치(9)를 통하여 디스플레에(12)에 나타난다.
그래서, 일방과 상대방은 각각의 수신화상을 보면서 서로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일방이 다른 물체를 촬영하여 다른 화상을 송신하기를 원할때는,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디오폰 (1)로부터 카메라(2)를 이탈시킨다.
그래서 기존의 비디오 폰에서는 촬영화상이 상대방으로 송신되고 일방으로는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2)가 무엇을 촬영했는지 일방은 알 수가 없다.
이것은 일방이 촬영화상을 인식하고 있는 동안에 독단적으로 촬영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훅(8)은 스위치(9)가 수신화상으로부터 촬영화상으로 선택을 변화하도록 카메라(2)가 비디오 폰 본체(1)로부터 이탈되어 세워지고 첫 번째 검파신호를 전환스위치(9)로 제공하여 탐지한다.
따라서, 일방은 촬영화상을 인식하는 동안에 독단적으로 촬영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첫 과제와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4 도를 참고하여 두 번째 구체예를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도면들에서 표현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다음 설명과 도면들에서도 동일한 참조 코드번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은 비디오 폰 본체(20)와 비디오 폰 본체(20)에 부착되어 있는 T.V와 비디오 폰 본체(20)에서 이탈되어 쉽게 세우고 움직일 수 있는 카메라(21)를 구비하고 있다.
T.V 카메라(21)는 첫 번째 A/D 컨버터(14)와 카메라(21)에 일체화되어 일방의 의지대로 작동되는 작동스위치(22)가 제공되고 있다.
비디오 폰 본체(20)는 ; 수화기(3)와 ; 카메라(21)를 걸 수 있고 카메라(21)가 훅(23)으로부터 이탈되어 동작상태일 때 첫 번째 검파신호를 발생하고 카메라(21)가 훅(23)에 장착되어 정지상태일 때 두 번째 검파신호를 발생하는 훅(23)과; 디코더(4)와 ; 코더(6)와 ; 지정된 화상을 미리 메모리 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 영역(24)와 ; 첫 번째 검파신호가 훅(23)으로부터 제공될 때 내부 메모리 영역(24)에서 기억된 화상을 선택하고, 두 번째 검파 신호가 훅(23)으로부터 제공될 때 카메라(21)에서 만들어진 촬영화상을 선택하여 송신 단자(7)를 통하여 상대방으로 선택된 화상을 송신하기 위한 두 번째 전환스위치(25)와 ; 훅(23)으로부터 제공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검파신호를 수신한 후에 수신화상이나 촬영화상의 선택을 위한 전환스위치(9)와 ; 디스플레이(12)와 ; 작동키보드(13)가 구비되어 있다.
작동스위치(22)는 카메라(21)가 정지상태에서 새로운 위치로 놓여지고 훅(23)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도 불구하고 카메라의 촛점을 조정할 때, 내부 메모리 영역(24)에 메모리 된 화상으로부터 촬영화상으로 두 번째 전환스위치(25)에서 선택을 변환하기 위해 강제로 작동된다.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도 역시 54/74 F 157 A 쿼드 2 입력 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카메라(21)가 비디오 폰 유니트(20)에 장착될 때, 두 번째 검파신호가 축(23)으로부터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로 제공되기 때문에 코더(6)와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를 통하여 촬영화상이 상대방으로 송신된다.
그래서 상대방은 화상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만족하게 된다.
카메라(21)가 비디오 폰 유니트(20)에서 이탈될 때, 첫 번째 검파신호가 훅(23)으로부터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로 제공되기 때문에 두 번째 전환 스위치(25)를 통하여 내부 메모리 영역(24)에 메모리 된 화상이 상대방으로 송신된다.
그래서 카메라(21)의 흔들림으로 동기화에 있어서 떨리는 촬영화상은 상대방에 송신되지 않는다.
보상을 해주어, 화상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은, 만족한 느낌을 주는 기억된 화상을 받을 수 있다.
카메라(21)가 새로운 물체를 촬영하기 위해 새로운 촬영 포인트를 잡고 그 촛점이 조정될 때, 작동스위치(22)에 의해 발생되는 콘트롤 신호가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로 제공되기 때문에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는 기억된 화상으로부터 촬영화상으로 선택이 변환된다.
작동스위치(22)는 일방의 의지대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은 통화자가 항상 만족할 수 있도록 상대방으로 흔들리지 않는 화상만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이 상대방과 편안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신속히 새롭고 소중한 화상을 송신할 수 있다.
비디오 폰은 내부 메모리 영역(24) 대신에 외부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부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이 입력단자와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를 통해 입력단자와 두 번째 전환스위치(25)를 통해 상대방으로 송신된다.
다음, 세 번째 구체예는 제 5 도를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은 비디오 폰 본체(31)와 작동스위치(22)가 부착된 T.V 카메라(32)로 구성되어 있다.
T.V 카메라(32)는 비디오 폰 본체(31)로부터 이탈되어 세울 수 있고 이동할 수 있고 비디오 폰 본체(31)로 촬영된 화면을 제공한다.
비디오 폰 본체(31)는 수화기(3) ; 작동키보드(13) ; 훅(23) ; 디코더(4) ; 디코더(4)에서 신장된 디지탈 수신화상을 아날로그 수신화상으로 바꾸기 위한 두 번째 D/A 컨버터(33) ; 카메라(32)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촬영화상을 디지탈 촬영화상을 바꾸기 위한 두 번째 A/D 컨버터(34) ; 두 번째 A/D 컨버터(34)에서 바꾸어진 촬영화상을 압축하기 위한 코더(6) ; 내부 메모리 영역(24) ; 두 번째 전환스위치(25) ; 두 번째 검파신호가 훅(23)으로부터 제공될 때 두 번째 D/A 컨버터(33)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수신화상을 선택하고, 첫 번째 검파 신호가 훅(23)으로부터 제공될 때 카메라(32)에서 촬영된 아날로그 촬영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첫 번째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 및 ; 첫 번째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에서 선택된 아날로그 촬영화상이나 아날로그 수신화상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36)를 구비하고 있다.
첫 번째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는 해리스(HARRIS) 반도체 생산부로부터 구입된 Ⅲ-518 CMOS 고속 아날로그 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있다. 멀티 플렉서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작동한다.
상기 구조에서, 수센 수신화상은 상대방으로부터 일방에 관한 것이 수신단자를 통하여 송신된다.
수신화상은 일방과 상대방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탈 신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12)는 단지 아날로그 신호들을 수신하므로써 작동될 수 있다.
그래서 디지탈 수신화상이 디코더(4)에서 신장된 후에 두 번째 D/A 컨버터(33)에서 아날로그 수신화상으로 바꾸어진다.
다음에 아날로그 수신화상이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로 제공된다. 또한, 촬영화상은 카메라(32)에서 만들어지며 얻어진 촬영화상은 아날로그이다.
그 다음에, 아날로그 촬영화상이 디지탈 화상으로 바꿔지지 않고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로 제공된다.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는 단지 아날로그 화상들로 작동한다.
그래서, 스위치(35)는 제 4 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디스플레이(36)로 화상을 보내기 위하여 아날로그 화상을 선택한다.
한편, 두 번째 전환스위치(25)가 제 4 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촬영화상을 선택할 때 아날로그 촬영화상이 두 번째 A/D 컨버터(34)에서 바꿔진 후 상대방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전환스위치(35)를 가진 비디오 폰에서, 디지탈 전환스위치(9)를 가진 비디오 폰과 같은 방식으로 수신된 화상이나 촬영화상이 첫 물체를 해결하기 위해 교대로 디스플레이(36)에 나타난다.
또한 내부 메모리 영역(24)에서 촬영화상이나 기억된 화상이 두 번째 대상 물체를 해결하기 위해 교대로 상대방으로 송신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네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폰이 첫 대상 물체를 해결하기 위해 제 6 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첫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과 비교하여 볼 때, 제 6 도에 나타난 것처럼 네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이 훅(8) 대신에 작동스위치(41)를 갖추고 있다.
작동스위치(41)은 T.V 카메라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방에 의해 손으로 작동된다.
상기 구조에서, 작동스위치(41)로부터 제공된 첫 번째 작동신호가 스위치(9)로 제공될 때 전환스위치(9)는 카메라(2)에서 만들어진 촬영화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작동스위치(41)로부터 제공된 두 번째 작동신호가 스위치(9)로 제공될 때 전환스위치(9)는 상대방으로 전송된 수신화상을 선택한다. 따라서 일방은 디스플레이(12)에 나타난 화상을 의지대로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카메라(41)가 비디오 폰 유니트(1)로부터 이탈되어 세워질 때 일방은 필요하다면 디스플레이(12)에서 수신화상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다섯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이 첫대상 물체를 해결하기 위해 제 7 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첫 구체예의 비디오폰과 비교하여 볼 때, 제 7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섯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 폰은 일방에 의해 전환스위치(9)의 선택을 강제로 전환하기 위한 리셋스위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리셋스위치(42)는 전환스위치가 촬영화상을 선택한 후 작동될 때, 전환스위치(9)는 촬영화상으로부터 수신화상으로 선택이 변환된다.
유사하게 리셋스위치(42)는 전환스위치(9)가 수신화상을 선택한 후 작동될 때, 전환스위치(9)는 수신화상으로부터 촬영화상으로 선택이 변환된다. 따라서 제 6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 번째 구체예의 비디오폰과 같은 방식으로 일방이 의지대로 디스플레이(12)에 나타난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변형의 T.V 카메라는,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첫변형의 T.V 카메라와 비교하여 제 8 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두 번째 변형의 T.V 카메라(51)는 ; 물체로부터 투영된 입사광선의 촛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52) ; 렌즈(52)에서 촛점이 맞춰진 입사광선을 비디오 폰 본체(1)에 있는 전환스위치(9)로 송신된 비디오신호로 바꾸기 위한 비디오장치(53) ; 스위치(54)가 훅(8)로부터 첫 번째 검파신호를 수신할 때 비디오장치(53)에서 바꾸어진 비디오신호를 통과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54) 및 ; 스위치(54)를 통과하는 비디오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5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화상을 위해 대상 물체로부터 투영된 입사광선은 렌즈(52)에서 촛점이 맞추어진 후 비디오장치(53)에서 비디오신호로 바꾸어진다. 비디오장치(53)에서 얻어진 비디오신호는 스위치(54)가 훅(8)으로부터 첫 번째 검파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닫혀질 때 일방으로 물체를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5)에 공급된다.
따라서 일방은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55)에서 촬영할 물체를 항상 볼 수 있기 때문에 일방은 비디오폰 본체(1)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보고자 하는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영역이 넓어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훅(8) 대신에 제 6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디오 폰 본체(1)는 작동스위치(41)를 가지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세 번째 변형의 T.V 카메라는,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첫 번째 변형의 T.V 카메라(2)와 비교하여 제 9 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세 번째 변형의 T.V 카메라(61)는 ; 촬영대상으로부터 투영된 입사광선의 촛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62) ; 렌즈(63)에서 촛점이 맞추어진 입사광선을 분할하기 위한 스펙트로스코프(63) ; 스펙트로스코프(63)에서 분할된 입사광선의 한 부분을 비디오 폰 본체(1)와 상대방으로 전환스위치로 송신된 비디오신호로 바꾸기 위한 비디오장치(64) ; 스펙트로스코프(63)에서 분할된 입사광선의 다른 부분을 투영하기 위한 반사경(65) ; 그리고 반사경(65)에서 투영된 입사광선들의 다른 부분을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화인더(finder)(6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촬영대상 물체로부터 투영된 입사광선들은 렌즈(62)에서 촛점이 맞춰진 후 스펙트로스코프(63)에서 두 부분의 입사광선들로 나누어진다.
입사광선들의 한 부분은 비디오폰 본체(1)와 상대방의 전환스위치(9)를 가지고 있는 비디오장치(64)에 촬영화상으로 바꿔진다.
한편 입사광선들의 다른 부분들은 반사경(65)에 투영된 후에 화인더(66)를 통하여 일방에 보여진다.
따라서 제 8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번째 변형과 비교하여, T.V 카메라(61)는 디스플레이(55)보다 더 값싼 화인더(66)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방은 경제적으로 촬영대상 물체를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은 물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영역이 두 번째 변형과 같은 방법으로 넓어지도록 하기 위해 비디오폰 본체(1)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체예에서, 카메라(2)(21)(32)는 촛점을 자동적으로 재빨리 맞추기 위한 자동촛점 타입이고 상대방으로 새로운 촬영화상을 송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2)(21)(32)는 일방의 촬영화상에 관한 주변의 소리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화상은 전환스위치(9)(35)가 촬영화상을 선택할 때, 디스플레이(12)에 나타나는 영역의 다른 부분에 나타내는 동안, 촬영화상은 디스플레이(12)(36)에 나타나는 영역의 한 부분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카메라(2)(21)(32)에서 만들어진 촬영화상은 비디오폰 본체(1)(31)로 라디오 통신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기된 구체예에서 우리의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기술됨에 있어서, 본 발명은 그런 원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정리와 세부항목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미술에서 숙련된 그런 것들로써 쉽게 명백해져야만 됩니다.
우리는 수반하는 청구의 참뜻과 범위내에서 나오는 모든 변형들을 주장합니다.

Claims (16)

  1. 일방과 상대방 사이에 정지화상이나 동적화상들을 송신하기 위한 비디오 폰 유니트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수신화상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대방에 관한 촬영화상을 만들기 위해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촬영수단 ; 촬영하는 수단이 정지상태인지 혹은 이동상태인지를 검파하고, 촬영수단이 이동상태임을 가리키는 첫 번째 검파신호 또는 촬영 수단이 정지상태임을 가리키는 두 번째 검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파 수단 ;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검파 신호를 받아들인 후에, 수신 수단에 수신된 수신화상인지, 촬영 수단에 만들어진 촬영화상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첫 번째 선택수단 ; 첫 번째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한 화상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및 ;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기 위해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첫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첫 번째 선택수단이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을 선택하고, 두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수신수단에 수신된 수신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되고 송신수단을 통해 선택된 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할 때,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인지 독단적인 화상들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두 번째 선택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첫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두 번째 선택수단이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을 멈추게 하고, 반면 두 번째 검파신호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제공될 때 두번째 선택수단이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5. 제 3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선택수단이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동안에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 대신에 송신수단을 통하여 상대방으로 송신되는 지정된 화상을 미리 기억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6. 제 3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선택수단이 촬영화상을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동안에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촬영화상 대신에 송신수단과 독단적인 화상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를 통하여 상대방으로 송신되는 독단적인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외부 메모리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검파수단은 훅으로부터 쉽게 장착 및 이탈되는 촬영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검파수단이 촬영수단과 일체화되어 있는 일방의 의지대로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이 T.V카메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은 아날로그 촬영화상을 디지탈 촬영화상으로 바꾸기 위한 A/D 컨버터를 갖추고 있고, 첫 번째 선택수단은 디지탈 촬영화상이나 디지탈 수신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첫 번째 디지탈 전환스위치이고, 디스플레이 수단은 첫 번째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디지탈 화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날로그 화상으로 바꾸기 위한 첫 번째 D/A 컨버터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디지탈 수신화상을 아날로그 수신화상으로 바꾸기 위한 두 번째 D/A 컨버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첫 번째 선택수단이 아날로그 수신화상이나 촬영된 아날로그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첫 번째 아날로그 전환스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방에 의해 첫 번째 선택수단의 선택을 강제로 전환하기 위한 리셋스위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하는 수단은 ; 대상 물체로부터 투영된 입사광선들의 촛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 ; 렌즈에서 촛점이 맞춰진 입사광선들을 첫 번째 선택수단으로 송신되는 비디오신호로 바꾸기 위한 비디오장치 ; 스위치가 검파수단으로부터 첫 번째 검파신호를 수신할 때, 비디오장치에서 바꾸어진 비디오신호를 통과하기 위한 스위치, 및 ; 스위치를 통과하는 비디오신호를 나타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은 ; 대상 물체로부터 투영된 입사광선들의 촛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 ; 렌즈에서 촛점이 맞춰진 입사광선들을 두 부분의 입사광선으로 분할하기 위한 스펙트로스코프 ; 스펙트로스코프에서 분할된 입사광선들의 한 부분을 첫 번째 선택수단으로 송신된 비디오신호로 바꾸기 위한 비디오장치 및 ; 스펙트로스코프에서 나누어진 입사광선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화인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은 촬영된 화상과 함께 상대방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폰 유니트.
  16.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은 촛점을 자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자동촛점 T.V 카메라이고 두 번째 선택수단은 촛점의 조정이 끝날 때 화상을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해 내부나 외부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지정된 화상 혹은 독단적인 화상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화상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유니트.
KR1019910005574A 1990-04-04 1991-04-04 비디오 폰 유니트 KR940011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5590 1990-04-04
JP2-088155 1990-04-04
JP??2-088155 1990-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08A KR910019408A (ko) 1991-11-30
KR940011113B1 true KR940011113B1 (ko) 1994-11-23

Family

ID=1393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574A KR940011113B1 (ko) 1990-04-04 1991-04-04 비디오 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770A (ja) * 1997-02-14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08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1601A (en) Video phone unit
KR100672338B1 (ko) 듀얼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촬영 방법
US753940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utofocus function
KR100617702B1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KR100575924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JP2001136303A (ja) 電話番号送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940011113B1 (ko) 비디오 폰 유니트
WO200510181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close-up images in a cellular telephone
JP2849862B2 (ja) 画像・音声同時転送方式
KR100678059B1 (ko) 거울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769672B1 (ko) 화상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JP3627661B2 (ja) インターホン通話方法
JP2001111976A (ja) 映像撮影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434937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222968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6197336A (ja) テレビ電話
JP3308898B2 (ja) 画像通信装置
JP2005039777A (ja)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システム
KR100689442B1 (ko)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셔터 기능의이용방법 및 장치
JP200211210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308935B2 (ja) 画像通信装置
JP202204159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010063189A (ko) 카메라 폰에서의 촬영화상 전송방법
JPH06189303A (ja) テレ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