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607B1 -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607B1
KR940010607B1 KR1019920012614A KR920012614A KR940010607B1 KR 940010607 B1 KR940010607 B1 KR 940010607B1 KR 1019920012614 A KR1019920012614 A KR 1019920012614A KR 920012614 A KR920012614 A KR 920012614A KR 940010607 B1 KR940010607 B1 KR 94001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value
surface potential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673A (ko
Inventor
송용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607B1/ko
Publication of KR94000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복사기의 전체 개략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복사기중 감광드럼 주위부의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 4 도는 감광드럼의 표면전위(전류) 측정장치의 개략구성도.
제 5 도는 감광드럼의 표면상처 및 필름(Film)현상 탐지장치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송벨트 2 : 게전판
3 : 전자 코로나 대전기 5 : 감광드럼
6 : 블랭크 램프 7 : 코로나 대전기
8 : 크리너 브레이트 10 : 계전램프
11 : 현상장치 12 : 마그네틱 로울러
13 : 표면전위 측정장치 14 : 대전전류 측정장치
141 : 발광부 142 : 수광부
본 발명은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사진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복사기, 레이저빔 프린터 및 G4 팩시밀리등과 같은 사무용 기기에서 감광드럼의 표면에 코팅 증착되어 있는 감광체의 박리여부 및 감광능력을 측정(표면전위 및 암감쇠율)하여 기기의 조작판넬상에 나타내도록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레이저빔 프린터 및 G4 팩시밀리등과 같이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사무용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감광체의 상태를 점검하여 표면전위 및 암감쇄율의 상태를 직접 판단하기가 어려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요원이 복사기의 감광드럼을 분해하여 육안으로 식별하였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감광체의 상태를 확인할 경우 불필요한 기능인력의 손실을 가져올뿐만 아니라, 이상유무의 판단이 서비스요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이루어지고 처리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감광체의 상태점검이라 함은, 감광체의 표면에 코팅증착되어 있는 층의 박리여부 및 감광능력의 측정(표면전위 및 암감쇠율)으로 계속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최초 예열시간중 감광드럼이 공회전시 초기 대전량과 감광드럼이 한바퀴 회전한 다음의 대전량의 수치를 기억하였다가, 복사를 위해 스위치가 "온"이 되어 워밍업(Warm UP)될시 마다의 대전량과 한바퀴를 회전시킨 대전량을 검출함에 따른 암감쇠율을 산출에 의해 감광드럼의 감광능력 및 그의 상태를 측정하여 조각판넬상에 표시해줌과 동시에 드럼상에 소정의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방식에 의해 드럼의 상처 유무 및 그 정도 즉, 필름현상을 검출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조작판넬상에 표시해 주므로써, 비교적 그 가격이 고가이고 복사기등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감광드럼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가시적으로 손쉽게 인식하여 다음의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아프터 서비스에 대한 트러블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럼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방법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사기생산시나 감광드럼 교환에 의한 최초 세팅시 암감쇠율에 따르는 기준치 설정과정(가)과; 복사기 사용시의 암감쇄율을 측정하여 감광드럼의 감광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별되거나, 교환시기로 판별되면 전면판넬을 통해 경고 및 드럼교환 요청표시를 수행하는 암감쇠율 측정공정(나)과; 복사시의 대전 전류치를 측정하여 그 값이 소정범위외의 값으로 판별되면 드럼교환 요청 표시를 수행하는 대전전류치 측정과정(다)등 크게 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에서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가)은 복사기를 생산하거나 감광드럼(5) 교환에 의한 최초 감광드럼(5) 세팅시(S1) 표면전위 측정장치(13)와 대전전류치 측정장치(14)를 통해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A)와 대전전류치(B)를 순차적으로 측정하여(S2,S4) 각각의 수치(A,B)를 기억(S3,S5)시킨 다음, 감광드럼(5)을 1회전시키면서(S6) 감광드럼의 표면전위(D)를 측정하여(S7) 그 수치를 기억(S8)시킴과 동시에 드럼 1회전시 시간(E)을 측정한(S9) 연후, 상기 초기 감광드럼의 표면전위 측정값(A)에서 감광드럼 1회전시의 표면전위 측정값(D)을 뺀다음 그 결과값을 드럼 1회전시 시간(E)으로 나누는 기준치(W) 설정단계(S10)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암감쇠율 측정공정(나)은 복사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이 "온"되었을시(S11)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C)를 측정하여(S12) 기억시키고(S13), 이어 상기 초기 감광드럼 표면전위측정값(A)에서 상기에서의 감광드럼 표면전위값(C)을 빼내어 암감쇠치(X)를 산출한(S14) 다음, 그 암감쇠치(X)가 소정의 한계치보다 큰가를 검출하여(S15) 한계치보다 크면 복사기의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감광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등을 구동시키되(S16), 상기에서 암감쇠치(X)가 소정의 한계치 이하이면 드럼을 1회전 시키면서(S17) 표면전위(F)를 측정하여(S18) 그 수치를 기억시킴과(S19) 동시에 그의 회전시간(t)를 측정하여(S20) 암감쇠율(Y)을 산출 [(감광드럼의 표면전위(C)-감광드럼의 표면전위(F))/감광드럼의 1회전시간(t)]하여(S21) 그 값이 상기에서의 기준치(W)보다 큰가를 비교하여(S22) 기준치(W)보다 크면 복사기의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교환요청을 알리는 단계(S23)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전 전류치 측정과정(다)은 상기에서 암감쇠율(Y)이 기준치(W)이하이면 대전전류치(G)를 측정하여(S24) 그 값을 세팅초기의 대전 전류치(B)에서 빼내는 대전 전류치차(Z)를 산출하여 그 값이 소정범위내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S25) 소정범위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감광드럼(5)의 교환요청을 알리는 단계(S26)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반송벨트(1), 제건판(2) 및 전사 코로나 대전기(3)가 저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감광드럼(5)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블랭크(Blank) 램프(6)가 설치되고, 상기 블랭크 램프(6)에서 반송벨트(1)에 이르는 반시계방향으로는 코로나 대전기(7), 크리너 브레이드(Cleaner Blade:8) 및 분리조(9)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코로나 대전기(7)와 크리너 브레이드(8)사이에 위치되어 감광드럼(5)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제전램프(10)가 설치되며, 상기 블랭크 램프(6)에서 블랭크 램프(6)의 우측 중앙부 사이에는 현상장치(11)와 마그네틱 로울러(12)가 설치된 통상의 전자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램프(6)와 코로나 대전기(7) 사이의 감광드럼(5) 상면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를 측정하는 표면전위 측정장치(13)를 설치하고, 상기 코로나 대전기(7)와 크리너 브레이드(8) 사이에는 발광부(141)와 수광부(142)로 이루어져 감광드럼(5)에 대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대전전류 측정장치(14)를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상기 대전전류 측정장치(14)중 발광부(141)는 상기 블랭크 램프(6)와 같이 감광드럼(5)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하나의 발광램프를 설치하고, 수광부(142)는 소정길이를 갖는 감광드럼(5)의 전체표면에 대해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의 상처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다수개의 수광트랜지스터를 일직선상으로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5)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각 프로세서상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공정에서 특정값을 검출한다.
제 1 도는 전자복사기의 내부전체 개략 단면도로써, 감광체인 드럼(5)이 회전하면서 대전공정, 노광공정, 현상공정, 전사공정, 분리공정, 정착공정 및 제전공정을 한 싸이클에 수행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복사기를 "온"시킨 뒤 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예열시간이라고 하고, 통상적인 복사기에서는 이 예열시간에 각 부위를 점검하여 준비완료 상태를 나타내 주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의 점검항목에 드럼의 상태를 점검하는 공정 및 장치를 부가한 것이다.
복사기내의 마이컴(도시생략됨)에서 예열시간중 감광드럼(5)을 공회전시키면서 드럼의 감광능력 및 상태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우선, 감광드럼(5) 세팅시(즉, 생산시)에 초기 대전시의 대전량의 수치와 한바퀴 회전한 다음의 대전량의 수치를 기억하였다가, 그 다음 복사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을 "온"시킬때 마다 워밍업시 대전량과 한바퀴를 회전시키고 나서의 대전량을 검출하게 된다.
이어서, 마이컴내의 CPU에서는 복사 초기의 대전량에서 한바퀴 회전시킨후의 대전량을 뺀다음 그때 소요된 시간으로 나누어서 나온 수치를 암감쇠율이라 하여 이 수치를 복사기의 전원이 "온"될때 마다 점검 및 비교하여 그 결과를 복사기의 조작판넬상에 나타내 준다.
두 번째로, 감광드럼(5)의 상처유무 및 상처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광부(141)에서 소정의 빛을 감광드럼(5)의 표면에 조사 및 반사시켜 스팩트럼의 분석에 의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가 얇은 층으로 입혀지는 현상도 알아낼수 있고, 그 결과는 상기에서와 같이 복사기의 조작판넬상에 나타내준다.
후자에서 설명한 필름현상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수광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수광부(142)를 설치하여 원래의 OPC층에서의 반사광과 필름화가 되어 감광드럼 표면에 입혀졌을때의 반사광을 비교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복사기를 생산하거나 감광드럼(5)을 교환한 다음, 최초로 감광드럼(5)을 세팅시킬때(S1),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상기 블랭크 램프(6)와 코로나 대전기(7) 사이에서 감광드럼(5)에 밀착되게 설치된 표면전위 측정장치(13)와, 상기 코로나 대전기(7)와 크리너 브레이드(8)사이에 설치된 대전전류 측정장치(14)에서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A)와 대전전류치(B)를 순차적으로 측정하여(S2,S4) 각각의 수치(A,B)를 마이컴내에 기억(S3,S5)시키게 된다.
이어 노광, 현상, 전사 및 제전공정을 진행시키면서 감광드럼(5)이 1회전될시(S6) 그 점에서의 표면전위(D)와 감광드럼이 1회전되는데 걸린 시간(E)을 측정(S7-S9)하여 기억시키게 된다.
이러한 측정들은 복사기가 워밍업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동작이 완료되면 복사준비 램프가 점등된다.
이후, 상기 측정값을 통해 암감쇠율의 기준치(W)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초기 감광드럼 표면전위 측정값(A)에서 감광드럼 1회전시의 표면전위 측정값(D)을 뺀다음 그 결과값에서 드럼 1회전시의 시간(E)으로 나누어 주므로서 설정(S10)된다.
또한, 복사기를 계속해서 사용함에 따른 감광드럼(5)의 감도저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복사기의 전원이 "온"되었을 경우(S11), 그때의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C)를 측정하여(S12) 마이컴에 기억시킨(S13)다음, 상기 초기 감광드럼 표면전위 측정값(A)에서 상기 감광드럼 표면전위값(C)을 빼내므로서 암감쇠치(X)가 산출(S14) 된다.
이후, 상기 암감쇠치(X)가 마이컴내에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한게치보다 큰가를 검출하여(S15) 한계치보다 클 경우, 즉 감광드럼(5)의 표면 감광층중 최초의 시작점이 장시간 사용하므로서 노화되었을 경우 복사기의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감광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등을 구동시켜 주므로서(S16), 사용자가 상기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감광능력 저하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암감쇠치(X)가 소정의 한계치 이하이면, 즉, 아직 감광드럼(5)의 시작점 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드럼을 1회전 시키면서(S17) 표면전위(F)를 다시 측정하여(S18) 그 수치를 기억시킴과(S19) 동시에 드럼의 1회전 시간(T)을 측정하여(S20) 암감쇠율(Y)을 산출하게(S21)되는데, 이때의 암감쇠율(Y)은 복사 초기의 감광드럼 표면전위(C)에서 1회전될시 측정한 감광드럼의 표면전위(F)를 뺀 전위차를 감광드럼이 1회전하는데 걸린시간(t)으로 나누어 주므로서 산출된다.
이어, 상기에서 산출한 암감쇠율(Y)이 상기에서의 기준치(W)보다 큰가를 비교하여(S22) 암감쇠율(Y)이 기준치(W)보다 클경우에는 감광드럼(5)을 장시간 사용하여 감광능력의 저하로 교환할 시기이므로 복사기의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교환요청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서(S23) 서비스맨이 아닌 사용자라 할지라도 상기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교환시기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감광드럼(5)의 표면에 토너가 얇은막으로 입혀지는 소위 필름현상과 드럼표면의 상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빛을 주사하는 발광부(141)와, 드럼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142)를 설치하고, 마이컴내에는 상기 수광부(142)에서 검출된 빛의 스팩트럼을 판독/판별하기 위한 판독부를 개제하여 주므로서 상기 판독부에서 드럼의 필름현상 및 상처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즉, 드럼이 완전한 상태에서의 스팩트럼 분포와 드럼의 소정표면에 상처가 났거나, 필름현상이 일어난 드럼의 스팩트럼 분포는 분명히 틀리기 때문에 그에 따른 대전전류는 다르다.
따라서, 상기에서 암감쇠율(Y)과 기준치(W)를 상호 비교한 결과 암감쇠율(Y)이 기준치(W)이하이어서 감광드럼(5)의 감광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판별되면, 비록 전위차에 의한 판별로는 양호한 것으로 판별되었으나, 감광드럼(5)의 코팅층 일부가 벗겨졌을수도 있으므로 이를 알아내기 위해 발광부(141)와 수광부(142)로 구성된 대전전류 측정장치(14)를 통해 감광드럼(5)의 대전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다시말해, 복사를 수행하면서 상기 감광드럼(5)이 1회전할때마다의 대전 전류치(G)를 측정하여(S24) 그 값을 세팅초기의 대전 전류치(B)에서 빼내는 대전 전류치차(Z)를 마이컴내에서 산출한 다음, 그 대전 전류치차(Z)가 소정의 허용범위내에 포함되는 지를 비교하게(S25) 된다.
그 결과 상기에서 산출된 대전 전류치차(Z)가 소정범위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감광드럼(5)의 코팅층 일부가 벗겨진 상태이므로 마이컴은 이 결과를 자체의 자기진단 기능부에 전달함과 동시에 전면판넬에 감광드럼(5)을 교환할 시기임을 알리게 되어(S26) 사용자 또는 서비스맨이 드럼에 상처가 생겼거나 필름현상이 발생되었음을 손쉽게 인식하고 드럼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암감쇠율(Y)이 기준치(W)이하이면서 대전 전류치차(Z)가 소정범위내에 포함되면 감광드럼(5)이 양호한 상태이므로 상기와같은 경고표시 및 교환요청 표시를 할 필요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대전전류 측정장치(14)를 구성하는 발광부(141)는 상기 블랭크 램프(6)와 같이 감광드럼(5)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발광램프로 설치하므로서 감광드럼(5)의 전체에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수광부(142)는 다수개의 수광트랜지스터를 일직선상으로 설치하므로서 소정길이를 갖는 감광드럼(5)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의 상처유무를 전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초 예열시간에 초기 대전량과 감광드럼이 한바퀴 회전한 다음의 대전량의 수치를 기억하여 기준치를 설정하고, 복사를 위해 전원스위치가 "온"이 되어 워밍업(Warm Up)될 때 마다의 대전량과 한바퀴를 회전시킨 대전량을 검출함에 따른 암감쇠율을 산출하여 그 결과값으로 감광드럼의 감광능력 및 그의 상태를 측정하여 조작판넬상에 표시해줌과 동시에 드럼상에 소정의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방식을 통해 드럼의 상처 유무 및 필름현상을 검출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조작판넬상에 표시해주므로써, 비교적 그 가격이 고가이고 복사기등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감광드럼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가식적으로 손쉽게 인식하여 다음의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아프터 서비스에 대한 트러블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럼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자기진단기능에 의해 각종정보를 판별하여 전면판넬에 표시해주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복사기에 있어서, 복사기 생산시나 감광드럼 교환에 의한 최초 세팅시 암감쇠율에 따르는 기준치 설정과정과; 복사기 사용시의 암감쇄율을 측정하여 감광드럼의 감광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별되거나, 교환시기로 판별되면 전면 패널을 통해 경고 및 드럼교환 요청표시를 수행하는 암감쇠율 측정공정과; 복사시의 대전 전류치를 측정하여 그 값이 소정범위외의 값으로 판별되면 드럼교환 요청표시를 수행하는 대전 전류치 측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설정과정은, 복사기를 생산하거나 감광드럼 교환에 의한 최초 감광드럼 세팅시 표면전위 측정장치(13)와 대전전류치 측정장치(14)를 통해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A)와 대전전류치(B)를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수치(A,B)를 기억시킨 다음, 감광드럼을 1회전시키면서 감광드럼의 표면전위(D)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드럼 1회전시의 시간(E)을 측정한 연후, 상기 초기 감광드럼 표면전위 측정값(A)에서 감광드럼 1회전시의 표면전위 측정값(D)을 뺀다음 그 결과값을 드럼 1회전시의 시간(E)으로 나누는 기준치(W) 설정단계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감쇠율 측정공정은, 복사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이 "온"되었을시 감광드럼(5)의 표면전위(C)를 측정하여 기억시키고, 이어 상기 초기 감광드럼 표면전위 측정값(A)에서 상기에서의 감광드럼 표면전위값(C)을 빼내어 암감쇠치(X)를 산출한 다음, 그 암감쇠치(X)가 소정의 한계치보다 큰가를 검출하여 한계치보다 크면 복사기의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감광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등을 구동시키되, 상기에서 암감쇠치(X)가 소정의 한계치 이하이면 드럼을 1회전 시키면서 표면전위(F)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그의 횐전시간(t)을 측정하여 암감쇠율(Y)을 산출 [(감광드럼의 표면전위(C)-감광드럼의 표면전위(F))/감광드럼의 1회전시간(t)]하고, 이어 그 값이 상기에서의 기준치(W)보다 큰가를 비교하여 기준치(W)보다 크면 복사기의 전면판넬을 통해 감광드럼(5)의 교환요청을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느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전류치 측정과정은, 상기에서 암감쇠율(Y)이 기준치(W)이하이면 대전전류치(G)를 측정하여 그 값을 세팅초기의 대전 전류치(B)에서 빼내는 대전 전류치차(Z)를 산출한 다음, 그 값이 소정범위내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소정범위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감광드럼(5)의 교환요청을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5. 감광드럼(5) 저부에 반송벨트(1), 제전판(2) 및 전사 코로나 대전기(3)가 설치되고, 상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블랭크 램프(6)가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5)의 좌,우측측에는 코로나 대전기(7), 크리너 브레이드(8), 분리조(9), 제전램프(10), 현상장치(1) 및 마그네틱 로울러(12)가 설치된 통상의 전자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램프(6)와 코로나 대전기(7) 사이의 감광드럼(5) 상면에는 감광드럼(5)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는 표면전위 측정장치(13)를 설치하고, 상기 코로나 대전기(7)와 크리너 브레이드(8)사이에는 감광드럼(5)에 대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대전전류 측정장치(14)를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복사기의 감광능력/상태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류 측정장치(14)은, 상기 감광드럼(5)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하나의 발광램프를 설치하여서된 발광부(14)와, 다수개의 수광트랜지스터를 일직선상으로 설치하여서된 수광부(142)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장치.
KR1019920012614A 1992-06-30 1992-07-15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94001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614A KR940010607B1 (ko) 1992-06-30 1992-07-15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1904 1992-06-30
KR1019920012614A KR940010607B1 (ko) 1992-06-30 1992-07-15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1904 Division 1992-06-30 1992-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673A KR940002673A (ko) 1994-02-17
KR940010607B1 true KR940010607B1 (ko) 1994-10-24

Family

ID=6743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614A KR940010607B1 (ko) 1992-06-30 1992-07-15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63A1 (en) * 2018-01-23 2019-08-01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iagnosis consumable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39B1 (ko) * 2002-02-06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체의 막두께 변화를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량보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63A1 (en) * 2018-01-23 2019-08-01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iagnosis consumable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673A (ko)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1828A (en) Copying apparatus having a consumable part
GB203384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0461656B1 (en) Apparatus for forming image pictures
JP4907040B2 (ja) オンラインの画質評価を有する画像形成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940010607B1 (ko) 전자복사기의 감광드럼 감광능력/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US561068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ailure diagnosing function
JPH05165295A (ja) 画像形成装置
JP3319881B2 (ja) 画像形成装置
JP3265486B2 (ja) 画像形成装置の紙巻付き検知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0347545A (ja) 画像形成装置
JP3563790B2 (ja) 画像形成装置
EP0616270A2 (en) Charger control in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US103310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detect toner quality
JP2859665B2 (ja) 画像形成装置
JPS63133166A (ja) 寿命検知機能付感光体ユニツト
JPH06194903A (ja) 画像形成装置
JPS6385763A (ja) 画像形成装置の寿命表示装置
JPS6052862A (ja) ユニツト構造体の装着不良検知装置
JPH0418577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20555A (ja) 感光体の静電容量等測定装置及び方法
JPH10161368A (ja) 画像形成装置
KR970003823Y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용지 급지 카세트
JPH06202407A (ja) 画像形成装置
JP298135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622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