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078B1 -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 - Google Patents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078B1
KR940010078B1 KR1019860700798A KR860700798A KR940010078B1 KR 940010078 B1 KR940010078 B1 KR 940010078B1 KR 1019860700798 A KR1019860700798 A KR 1019860700798A KR 860700798 A KR860700798 A KR 860700798A KR 940010078 B1 KR940010078 B1 KR 940010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disinfectant solution
vinyl
solu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016A (ko
Inventor
안토니 그룩 브루노
Original Assignee
안토니 그룩 브루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그룩 브루노 filed Critical 안토니 그룩 브루노
Publication of KR87070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to enhance the sticking of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1Mammary glands, e.g. breasts, udder; Intramammary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76Sprayable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02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halogen atoms, e.g. triclosan, povidone-io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을 사용하는데 적당한 도포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도포구의 작용부를 확대시킨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포구 2 : 저장부
3 : 외부캡 4 : 클립
5 : 내부캡 6 : 패드
7 : 결속링
본 발명은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를 효과적으로 소독하면서도 건조시 잔여항생력을 가지는 피부보호막을 형성하는 소독액과이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은 찰과상이나 좌상과 같은 가벼운 외상에 대한 응급처치는 물론 화상, 피부감염, 또는 수술전후에 일차적인 피부소독제로도 사용되는 동시에, 사용된 폴리머가 막을 형성하므로 피부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은 방해하지 않고 피부 및 상처를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도포구는 의료용, 수술용 및 수의용 도구, 특히 응급처치 및 수술전후에 인간의 피부에 소독액을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소독액은 고지의 항생물질을 물이나 저급알콜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에다 용해시킨 용액을 말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소독액은 치료에 사용된 후에 항생물질이 피부에 침착하게 되어 발적, 소양증, 또는 다른 피부자극을 일으키는등 부작용이 많았으며, 더욱이 알레르기나 과민성피부를 갖게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노출된 상처나 좌상 및 찰과상 특히 화상이나 수술전후에 피부를 소독한 다음에도 사용된 소독액이 잔여 항균력을 갖도록하거나, 소독된 직물로 만들어진 압박 붕대를 사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서, 또는 상기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재감염을 방지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 상업적으로 유용한 몇가지의 소독제가 잔여살균력을 갖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그 효과가 매우 짧은 기간에 불과하였다. 예를들면, 소독액으로 널리사용되는 4차암모늄 화합물의 잔여 항균력은 건강한 정상피부의 pH와 상출액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으며, 또한 땀에 의해서 향균제가 손실되기도 하였다.
한편, 여러 가지 직물로 만들어진 붕대를 사용하게 되면 적용된 신체부위의 활동이 자유롭게 못하지 불편할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벼운 화상이나 좌상 및 찰과상은 물론 수술전후의 피부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처 보호대가 개발되어 상처부위에 깨끗한 플라스틱막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플라스틱 붕대"라고도 불려지는 상기의 플라스틱상처 보호대는 건조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키도록 비등점이 낮은 휘발성 비수성 유기용매 예컨대, 에틸아세테이드, 아세톤, 에틸알코올이나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다 아크릴 또는 메라크릴 공중합체를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한 것으로서, 이는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가능한 감염에 대하여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하는 부착성 막을 형성하여 치료부위를 보호하도록 한것이지만, 이들은 항균작용이 전혀 없기 때문에 먼저 피부를 소독한 후에 사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외에도 상기 액체붕대의 가장 심각한 단점은 노출된 상처, 즉 좌상 및 찰과상에 상기 액체붕대를 사용하게 되면 막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비수성용매 때문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액체붕대는 완전히 건조된 피부에 사용해야 쉽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많은 땀이나 고름, 또는 피와 같은 체액이 묻어 있는 피부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며, 특히 막을 불용성 방수 폴리머로 형성되므로 피부의 모공을 완전히 붕쇄시켜 피부가 정상적으로 생리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막은 피부에서 방출된 체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반투과성으로 개선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분무식 플라스틱 붕대가 소개되고 있는데, 이들은 비누나 물로 세척하면 제거되는 막을 피부에다 형성할 수 있도록 포사약(propellant)자체나 유기용매에다 중합체를 용해시킨 것으로서, 이와 같은 분무식 붕대에 관한 기술은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제527,826호에 소개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에 의하면 이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이 물에 용해되지 않는 중합체로 된 막을 염소처리된 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와 같은 제균제(bacteriostat)와 4차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수용성 살균제를 포함하는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이를 사용하게되면 수용성 살균제는 즉시 중합막에 빠져나와 피부를 소독하게 되고 통기성 막을 통해서는 충분한 수분이 유통되어 무수매체에 남아있는 제균제가 잔여향균성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또한, 폴리(N-비닐-2-피롤리디논)을 함유한 요오드 복합체의 수성용액으로 된 소독제의 제조방법도 알려져 있으나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에 요오드복합체의 막이 남게되고, 여기서 형성된 막은 부수적인 소독 효과만 나타낼뿐만 아니라 수분에 의해서는 쉽게 제거될만큼 막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상처보호대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좌상이나 찰과상, 화상과 같은 상처부위나 피부감염이나 수술전후의 피부 절개부분에 액체 소독약을 사용하는거나 정액내 영약공급이나 수혈을 하기 위하여 캐눌(Canule)을 삽입시킬 때 또는 피하주사를 실시하기전에 피부의 국소부위를 소독하는데도 액체소독약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와같이 피부를 소독할때는 관습적으로 소독액에 담근 부드러운 다공성 물질로된 스폰지나 약솜으로 문지르거나 부드러운 솔로 칠하게 된다. 특히 수술시에는 미국특허 제3,508,54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정된 핸들의 끝에 약솜을 붙여 사용하거나 핀셋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개방된 용기에 담긴 소독액에다 약솜을 적신후 이를 사용한 다음에 약솜은 바로 버리기 때문에 아직 사용되지 않고 남아있는 많은 부분을 낭비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사용후에 버려진 약솜이나 스폰지들이 요오드 소독액이나 응고된 혈액으로 오염되어 있다면 색깔이 유사하기 때문에 다시 약솜으로 사용하는 실수를 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기술이 미국특허 제3,774,609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고정된 용기에다 스폰지 등의 도포구를 결합시킨 기술로서, 즉 도포구의 전면 말단부를 덮고 있는 도포스폰지는 U형의 클립에 의해 둘러쌓여있고, 상기 U형 클립을 사용하기전에 용기를 관통시키는데 사용되는 한쌍의 핀을 서로반대위치에 설치하고 있어서, 내용물이 도포스폰지로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단한번 사용한 후에는 버려야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바람직스럽지 못하였다.
이와 유사하지만 제사용이 가능한 장치로서 미국특허 제3,482,920호에의 액체도포구는 접속된 고형용기를 개방시켰을 때 내용물이 도포구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캡에 관등장치를 갖는 유지링을 설치하여 만든것이고, 미국특허 제3,179,972호에는 접속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도포구의 끝부분에 미세공 플라스틱 물질로된 피부접촉면을 형성시켜서 된 것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자체 중량에 의해서 용기로 부터 다공성 도포구를 통해 표면부위로 소독액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점도가 낮은 용액만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내용물이 가득차 있을 경우에는 용액이 흘러 넘치거나 피부의 치료부위 밖으로 용액이 퍼져나가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내용물을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하는 경우도 있고, 용기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기압을 일치시켜 소독액이 도포구의 머리부분으로 흘러나오지 않게하여 많은 낭비를 방지하여야 하나 용기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면 도포구로 흘러나오는 방부액이 줄어들게 되므로서 불균일하게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부위를 남길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한량의 휘발성 유기용매, 예컨대 에탄올과 수용성 또는 물에 분산될 수 있는 막 형성 중합체는 함유할 수 있는 수성매질에다 수용성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성인 살균제나 제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해시키거나 분사시킨후, 매질을 증발시켜서, 효과를 나타내는 살균제나 제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대하여 막내에 충분한 수분이 남아 있게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서 형성된 막은 그 자체가 잔여향균력을 가지며, 자체의 수분 때문에 자연적인 생리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은 어떤 살균제나 제균제에 대하여 매우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도 이러한 약제가 포함된 보호대를 여러시간동안 피부에 부착시킨다 하여도 소양감이나 피부 발적과 같은 역반응이 나타나지 않거나 이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열되거나 파열되지 않은 피부, 노출된 상처, 화상이나 좌상 및 찰과상 등에 대한 액체 소독제가 잔여항균력을 가진 신축성 막 형태로 상처부위에다 보호대를 형성시키게 되는 두가지 목적의 소독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목적의 소독액은 소독에 사용된 후에 피부의 정상적인 생리작을 방해하지 않는 신축성 보호대를 제공하되, 이막은 물이나 비누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고, 특히 제균제나 향균제가 피부위에 침착되어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민감한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와 같은 적용부위에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소독액을 도포하기 위하여 간단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살균제와 제균제 또는 이두가지 중의 어느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또는 물에 분산가능한 막 형성 중합체, 그리고 물로서 이루어진 두가지 목적의 소독액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물과 혼합할 수 있으면서 독성이 없는 휘발성 공용매(cosolvant) 예컨대, 에탄올이나 이소트로판올 또는 이들과 유사한 저급알콜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소독액에 있어서, 느리게 건조되는 용매는 다른 모든 소독액에서와 같은 활성성분이 피부의 치료 부위를 완전히 소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피부소독을 하기 위해서는 조성물이 약 30 내지 90초동안 피부에 접촉되어야 하나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서 바람직하기는 30내지 60초 사이에 막이 형성되도록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과 같이 물과 혼합될 수 있는 휘발성 공용매를 적당한 량으로 첨가하여 용매의 건조시간을 조절한다. 그리고 활성성분의 농도는 막이 형성되는 동안 피부를 완전히 소독할 수 있을만큼 충분한 것이 좋다.
더우기, 특수한 목적을 위해 공용매의 양을 부피비로 70%만큼 높여 건조시간을 수초 이내로 줄일수 있는 데, 이러한 농도에서는 에탄올과 같은 부가적인 용매의 살균력 때문에 건조시간이 단축된다고 할지라도 확실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목적의 소독액을 가정 상비약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파열된 피부나 좌상, 찰과상 등에 사용했을 때 에탄올과 같은 공용매의 함량이 너무 높아 생기는 따가운 자극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화상에 사용할 때는 통증을 줄일 수 있도록 국소마취제를 포함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분유지막을 형성하는 중합체가 포함된 상기 소독액의 다른 장점은 피부를 소독한 후에도 잔여항균력이 남아 있으며, 피부와 외부환경에 대하여 동시에 지배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서서히 작용하는 제균제가 사용되어도 피부에 대한 살균이 완료되기전에 막이 형성된다고해도 피부에 대한 소독은 계속되게 된다.
한편, 피부에 대한 소독이 끝난 후에도 피부조직 깊숙이 남아있는 세균상(bacterial flora)은 지방물질에 의해서 저지되어 땀과 함께 표면으로 흘러나온 다음, 막의 활성성분에 의해 파괴되게 된다. 따라서 수술을 실시할 때 수술기구에 의해서 수술장갑이 잘려지거나 구멍이 생기는데 대비하여 외과의사의 손을 소독시킴은 물론, 작은 응급수술시에는 임시적인 수술장갑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눈에 보이지않는 소독장갑"을 제공하는데도 본 발명이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4차 암모늄 화합물등과 같이 살균제나 제균제로 사용된 화합물질에 대하여 과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본 발명의 소독액에 대하여 피부자극을 느끼지 않거나 피부자극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은 막 형성 중합체가 용해되어서 살균제 분자의 주위에 보호클로이드를 형성시키면서 소독되기 때문이며 소독시뿐 아니라 막이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도 살균효과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살균제가 직접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살균제의 분자주위에 형성된 막과 보호클로이드의 또 다른 효과는 유기물질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화성화를 감소시키고 잔여항균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성 중합체의 사용은 분자량이 충분히 큰 중합체를 선택함으로서 소독액이 사용된 후에 불필요하게 흘러넘치지 않도록 그 점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막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소량의 플라스틱제(plasticiser)를 첨가시키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상기 플라스틱제에는 피부가 유성이거나 지방질인 사람과 응급처리시 세척되지 않는 피부에 막이 형성되기 이전에 소독액이 신속하게 고루 퍼지게 하는 노닐페놀 폴리에톡시 축합물과 같은 표면활성 물질이나 폴리에틸렌 글리콜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은 필요에 따라서 보습제(mosturiser)를 함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중합막의 보습성을 증가시키는데 특히 유효하며, 몇몇 보습제는 플라스틱제로써의 역할도 한다. 이때 적당한 보습제로는 예를들면, 글리세롤, 소르비롤,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및 비이온성 리놀린 유도체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살균제 및 제균제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 처리된 하이드록시 디페닐 유도체나 살리실 및 카르바닐리드 등이 있고, 이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1내지 R9은 각각 수소, 할로겐이거나 저급알킬기 저급할로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아릴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또는 아세틸기와 O-아실유도체이고, R1내지 R9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이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X1내지 X10은 각각 수소, 할로겐이거나 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X1내지 X9중의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이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X1내지 Y9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X1내지 Y9중에서 적어도 둘은 할로겐이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Z1내지 Z8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각 페닐환에는 적어도 2개의 할로겐 치환제가 있다.
상기 각 화합물들은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제200,868호, 제209,986호, 제236,460호, 제273,941호, 제278,661호 및 제283,658호, 미국특허 제2,250,840호, 제2,967,885호, 제3,254,121호, 제3,057,920호 및 제3,064,048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살균제 및 제균제로는 예를들면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 디페닐 에테르(트리클로산) : 2, 2'-디하이드록시-3,3',5,5',6,6'-헥사클로로 디페닐메탄 시스템명(헥사클로로펜) : 3.5.4'-트리브로모 살리실 아닐리드(트리브로모살란) : 3,4,4`-트리클로로-또는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르바닐리드(트리클로로카반 및 클로프루카반) : 클로르헥시딘 디굴루코네이트,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벤즈알코니움 클로라이드 및 요오드 담체(icdophors)로 알려진 요오드 착화물 등이 있다.
활성성분의 농도는 숙력된 기술을 가진자들이 추천하는 범위내로 해야하며, 이는 표준 소독용액에서 사용된 농도와 별차이가 없다. 그리고, 혼합된 활성성분이 살균 및 제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충분한 수분을 함유한 막을 제공하는 막형성 중합체로는 예를들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과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을 포함하는 부분염 :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크로톤산, 긴사슬 α-올레핀, 알킬아미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 N-비닐-2-피롤리디논의 공중합체 : 크로톤산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 비닐아세테이트와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미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N-비닐-2-피롤리디논의 삼중합체(terpolymers) : N-비닐-2-피롤리디논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사분된 공중합체(quaternised copolymer) :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익 무수물):그리고 유리 카르보닐기를 가진 중합체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그들 분자내에 유리카르복실기, 특히 수용성염 형태의 유리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막형성 중합체가 좋다. 이들 막은 정상적인 피부의 산성 pH와 접촉하게 되면 곧 원래의 카르복실기로 전환되어 땀 및 외부의 습기에 의해서 잘 녹지않는 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은 물과 비누로 세척하게 되면 쉽게 저거되는데 이는 정상적인 세면비누의 약한 알칼리성에 의해 카르복실기가 그들의 수용성 염으로 충분히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적당한 중합체로는 예를들면, 비니아세테이트와 크로톤산의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와 N-비닐-2-피롤리디논과 비닐아세테이트, 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중합체가 있고,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나 하디드록시메틸세룰로오스, 또는 에틸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포비돈-요오드 또는 포비돈-요오드 공중합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등급을 선정하므로서 피부의 적용부위에 고르게 도포되고 흘러내리지 않는 점성용액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석고붕대와 함께 사용했을때 지금까지 사용된 어떤것보다 내마모성이 강하고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는 소독보호막을 얻을 수 있게된다. N-비닐-2-피롤리디논이 공 단량체(co-mon-omer)일때에는 요오드 담체(carrier)로 작용하는 폴리(N-비닐-2-피롤리디논)성분을 사용하여 바로 공중합체가 요오드로 착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이 pH가 7.0내지 8.0사이에서 (pH가 6.0이하이어서는 안됨) 다른 중합막 형성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나,이들의 이온 특성 때문에 조성물의 일부가 되는 살균제의 선택에 주의한다. 따라서 4차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양이온 물질과 함께 사용할 수는 없다. 이들 중합체를 부분염으로 형성시켜 이들을 더욱 친수성 또는 완전한 수용성이 되도록 하는 물질의 예로는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디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목적의 소독액은 피부에 분무 도는 문지르는 통상적인 방법이나 적당한 도포구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좀더 개선된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소독액을 피부에 도포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바, 이 기구는 상기 소독액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소독액을 도포부위에 전달하는 도포작용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와 도포작용부 사이의 흐름제한 수단 및 소독액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 1 캡과 상기 도포작용부에서 소독액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도포작용부는 액체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도움형의 탄력성 있는 다공성 패드로 둘러쌓여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 도포구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1)는 소독액을 저장해 둘 수 있는 저장부(2)와 외부캡(3), 그리고 도포구를 주머니 등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외부캡(3)에 부착된 클립(4)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저장부(2)는 구멍이 뚫려있는 내부캡(5)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 한편, 상기 내부캡(5)은 탄력성있는 다공성 패드(6)로 덮혀서 결속링(7)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6)는 폴리우레탄 포말이나 곱게 누빈 다층면적물, 또는 흡수성 펠트(felt)와 같은 신축성있는 합성플라스틱물질로 된 것이 좋으며, 이러한 패드(6)는 소독액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적당히 결합된 도움형의 내부캡(5)위에 덮혀있다. 내부캡(5)은 소독액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는바, 적당한 프라스틱 물질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포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스티렌 및 이와 유사한 중합물질등이 있다. 내부캡(5)은 패드(6)가 고루 젖을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은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구멍의 크기는 용액의 점도에 의존하되, 도포구(1)를 거꾸로 세웠을 때 중력에 관계없이 소독액이 패드로 공급될 수 있고 저장부 내부에 최소의 압력에 의해서도 패드(6)를 알맞게 적실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때, 도포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캡(5)과 비슷한 재질로 만들어진 외부캡(3)을 돌리거나 눌러끼워서 닫을 수 있도록하여, 소독액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패드(6)를 젖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도포구가 외부로 부터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표면이 건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저장부(2)는 높은 밀도의 폴리에틸렌이나 프로필렌과 같이 신축성있는 반 고형물질로 만드는 것이 좋으며, 측면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면서 거꾸로 세웠을 때 패드(6)로 소독액이 스며나올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된 도포구(1)에다 소독액을 채우는 바람직한 방법은 신축성있는 주머니(도시되지 않음)를 구멍이 뚫려있는 내부캡(5)에 연결시켜서 사용하며 이러한 경우 반 고형의 저장부(2)는 공기 배출구를 병합할 것이다. 이렇게하여 주머니에서 소독액이 흘러들어오면 저장부(2)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그것이 올라가는 비율과 같은 소독액이 패드(6)로 계속 전달 된다.
상기 신축성 있는 주머니는 폴리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성분은 표준냉각 혼합과정에 의해서 혼합된 것이다. 다음의 모든 실시예에서 pH는 트리타놀아민과 같은 약알카리나, 시트르산이나 락산과 같은 유기산 또는 인산을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실시예 1응급치료용 소독제와 보호대]
N-비닐-2-피롤리디논과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비율 70 : 30)와의 요오드 착물
유용한 요오드10% 5.0g
N-비닐-2-필롤리디논과 비닐아세테아트의 공중합체(비율,30:70) 5.0g
노닐페놀폴리에톡시(14)축합물 0.1g
에탄올 30.0ml
물 100ml가 되도록 공중합체의 요오드착물은 폴리(N-비닐-2-피롤리디논)을 착화하는 표준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2 응급치료용 소독제와 보호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0.05g
크로톤산을 가진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3.00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0.30g
에탄올 40.00ml
2-아미노 메틸프로판올 0.24g
물 100ml가 되도록 용액을 억기 위하여 첨가시킨 충분한 량의 2-아미노메틸프로판올과 폴피에틸렌 글리콜, 그리고 클로로헥시딘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에 중합체를 가하여 이를 용해시켰다. 이제 pH는 6 내지 7이었고, 이렇게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하이드로카본을 포사약으로 사용하여 연무질 분무용으로 포장하기에 적당하다.
[실시예 3 소독액과 보호대]
이 용액은 수술전에 실시하는 일반적인 소독이나 피하주사기, 캐놀 등을 주입시키기전에 행하는 피부의 소독에 적당하다.
10%의 유용한 요오드를 포함하는 포비돈요오드 10.0g
비닐아세테이트와 N-비닐-2-피롤리디논의 공중합체(비율,50:50) 10.0g
폴리비닐피롤리돈K 90 2.0g
노닐페놀폴리에톡시(14)축합물 0.1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0.1g
물 100ml가 되도록
[실시예 4 점성소독액]
이 용액은 외과적 수술이나 상처보호시 펴져나가지 않는 점성 소독액으로 유용하다.
10%의 유용한 요오드를 포함한 포비돈 요오드 10.0g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0g
글리세롤 1.0g
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0.25g
물 100ml가 되도록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의 적당한 점도는 자유롭게 흘러내릴 수 있으면서 충분한 점막을 형성할 수는 액체를 얻을 수 있고 소독하고자 하는 피부의 제한된 부위에만 정확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점도를 가져야 한다.
[실시예 5 분무식 소독붕대]
메틸 하이드록시 에닐 셀룰로오스 2.0g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20%용액 5.0g
에탄올 40.0ml
카르모신(Food Red3)용액용액 1.0%W/V 0.1ml
물 100ml가 되도록 두가지 중합체의 수성용액을 얻어낸 후에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가하였다. 용액은 색깔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서 pH를 6.5내지 7.0으로 조절할 수 있다.
메틸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의 적당한 점도는 자유롭게 흘러 내리면서 충분한 점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액체를 얻을 수 있고 소독하고자 하는 피부의 제한된 부위에만 정확하게 사용될수 있는 점도를 가져야 한다.
[실시예 6 보호막(보이지 않는 장갑)]
이 용액은 야외에서 긴급수술을 할 때나 외과의사가 수술장갑을 착용하기전에 손을 소독하는데 적당하다.
클로르헥시딘 아세테이트 0.5g
비닐아세테이트와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크로톤산의 삼중합체 6.0g
에탄올 70ml
물 100ml가 되도록 제조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먼저 이 용액에다 손을 완전히 적신다음 수술장갑을 착용하기 전에는 용매를 증발시켜야하며, 특히 수술장갑이 없는 비상시에는 상기 과정을 2번 실시한다.
[실시예 7 소독보호대]
이 용액은 가변운 피부감염에 대한 소독액으로 적당하다
트리클로로페녹시디페닐에테르 0.2g
N-비닐-2-피롤리디논과 비닐아세테이트(비율,20 : 80)의 공중합체 8.0g
노니오닉 라놀린 유도체 70.0ml
물 100ml가 되도록
트리클로로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는 공중합체를 혼합하기전에 에탄올에 용해시킨다. 물은 마지막단계에 가한다.
[실시예 8 동물용 피부소독제와 보호대]
Antarox VRO 20 5.0g
Antarox CO 880 3.0g
Tylopur NH 1000 2.0g
물 100ml가 되도록 Antarox생성물을 Tylopur의 용액에 가하고 pH를 4.5로 조정하였다. Antarox VRO 20과 Antarox CO 880은 GAF Corp USA에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고 Tylopur MH는 Hoechst AG. W. Germany에서 제조된 유용한 에틸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9 유방염예방을 위한 막형성 유두침액]
Antarox VRO 20 2.0g
Antarox CO 880 1.5g
Tylopur MH 100 2.0g
글리세롤 7.0g
물 100ml가 되도록 이용액은 상기 실시예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인산으로 pH4가 되도록 조절한다.

Claims (11)

  1. 클로로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세틸트리메틸 암모늄브로마이트, 벤즈알코니움 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헥사클로로펜, 트리클로카르반, 클로플루카르반, 요오드 담체이거나 이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살균제와 제균제 또는 이들 둘중의 어느 하나 ;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또는 물에 분산될 수 있는 막형성 중합체 및 물로 이루어져 있되 피부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게 되면 수용성 막을 형성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소독액은 물과 혼합될 수 있고, 비독성이면서 휘발성인 적어도 하나의 공요매를 함유하여서 된 소독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독액은 적어도 하나의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여서 된 것인 소독액.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독액은 적어도 하나의 보습제를 함유하여서 된 것인 소독액
  5. 제 4 항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롤, 소르비톨,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비이온성라놀린 유도체중에서 선택되어진 소독액.
  6.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와 그의 알칼리 금속염 및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을 포함하는 부분염 ; 비닐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크로톤산, 긴사슬 α-올레핀, 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 N-비닐-2-피롤리디논의 공중합체 ; 크로톤산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 비닐아세테이트와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N-비닐-2-피롤리디논의 삼중합체 ; N-비닐-2-피롤리디논과 디메틸 아민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사분된 공중합체 ; 폴리(메틸 비닐에테르-말레산 무수물) ; 그리고 카르보닐 그룹을 가진 중합체를 사용하여 된 소독액.
  7. 제 1 항에 있어서, 살균제는 요오드 담체인 소독액
  8.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그 성분으로서 N-비닐-2-피롤리디논을 가지며, 살균제는 그과 함께 착화요오드에 의해서 형성되어진 소독액.
  9. 소독액을 저장해둘수 있는 저장부(2)와 도포부위에다 소독액을 전달하는 도포작용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도포작용부 사이의 소독액 흐름 제한수단 및 상기 소독액을 채울 수 있도록 저장부에 결합시킨 제 1 캡 수단(5)과 상기 도포작용부에서 소독액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캡 수단(3)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포작용부는 상기 소독액흐름 제한 수단으로 만족될 수 있는 도움형 캡(5)에 의해 부착시킨 신축성 다공물질(6)로 이루어진 것인 도포구(1).
  10. 제 3 항에 있어서, 소독액은 적어도 하나의 보습제를 함유하여서 된 것인 소독액.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롤, 소르비톨,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비이온성 라놀린 유도체중에서 선택되어진 소독액.
KR1019860700798A 1985-03-13 1986-03-13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 KR940010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G967985 1985-03-13
AUPG9679 1985-03-13
PCT/AU1986/000068 WO1986005391A1 (en) 1985-03-13 1986-03-13 Antiseptic fluids
CA000522230A CA1290250C (en) 1985-03-13 1986-11-05 Antiseptic flu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016A KR870700016A (ko) 1987-02-28
KR940010078B1 true KR940010078B1 (ko) 1994-10-21

Family

ID=2564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798A KR940010078B1 (ko) 1985-03-13 1986-03-13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215072A4 (ko)
JP (1) JP2559225B2 (ko)
KR (1) KR940010078B1 (ko)
AU (1) AU586243B2 (ko)
CA (1) CA1290250C (ko)
DK (1) DK542486D0 (ko)
FI (1) FI864514A (ko)
NO (1) NO864519D0 (ko)
WO (1) WO1986005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4220A (en) * 1987-01-30 1990-01-16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antiplaque oral composition
EP0289900A1 (en) * 1987-04-30 1988-11-09 Abbott Laboratories Topical antibacterial compositions
US5082656A (en) * 1987-04-30 1992-01-21 Abbott Laboratories Topical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enetration enchancers
US5061485A (en) * 1987-05-12 1991-10-29 Ecolab Inc. Disinfectant polymeric coatings for hard surfaces
AU605254B2 (en) * 1987-05-12 1991-01-10 Ecolab Inc. Improved disinfectant polymeric coatings for hard surfaces
DE68923407T2 (de) * 1988-04-23 1997-02-27 Smith & Nephew Chirugische Handschuhe.
US5261421A (en) * 1988-04-23 1993-11-16 Smith & Nephew Plc Gloves, their manufacture and use
US5180605A (en) * 1988-04-23 1993-01-19 Smith & Nephew P.1.C. Gloves, their manufacture and use
US4950475A (en) * 1988-07-19 1990-08-21 Imaginative Research Associates, Inc. Novel film-forming gel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humectants and emollients
JP3148215B2 (ja) * 1988-08-24 2001-03-19 アンセル・パーリ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抗菌製品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US4978527A (en) * 1989-04-10 1990-1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forming emulsion containing iodine and methods of use
US5459879A (en) * 1989-05-22 1995-10-2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rotective coverings
US5483697A (en) * 1989-05-22 1996-01-1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Multilayer protective coverings with a sealing solution
CA2072319C (en) * 1991-06-28 2005-11-22 Shih-Ruey T. Chen Ampholyte terpolymers providing superior conditioning properties in skin and nail care products
US6113893A (en) * 1993-07-28 2000-09-05 Pfizer Inc. Psoriasis treatment
CA2168249C (en) * 1993-07-28 2001-02-27 Debbie L. Burnett Psoriasis treatment
US6730294B1 (en) 1995-04-24 2004-05-04 Novapharm Research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of forming a water soluble biocidal film on a solid surface
AUPN262595A0 (en) * 1995-04-24 1995-05-18 Novapharm Research (Australia) Pty Limited Biocidal surface films
US6579516B1 (en) 1995-06-13 2003-06-17 Zahra Mansouri Methods of delivering materials into the skin, and compositions used therein
US6096324A (en) * 1995-06-13 2000-08-01 Laboratory Skin Care Methods of delivering materials into the skin, and compositions used therein
US5660823A (en) * 1995-10-11 1997-08-26 Isp Investments Inc. Fast drying, film forming iodine release solution
GB9522314D0 (en) * 1995-11-01 1996-01-03 Bristol Myers Squibb Co Water soluble films
CN1063610C (zh) * 1996-02-06 2001-03-28 天津市医药工业技术研究所 广谱性杀菌制剂
WO1997049383A1 (en) * 1996-06-24 1997-12-31 Bio-Safe Enterprises, Inc. Antibacterial composition
US5908631A (en) * 1997-02-27 1999-06-01 L'oreal S.A. Monohydric alcohol-free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solubilized ethylcellulose
EP1094706A1 (en) * 1998-07-09 2001-05-02 Rhodia Chimie Process for the biocidal treatment of surfaces
US6238575B1 (en) * 1998-07-29 2001-05-29 Microban Products Company Antimicrobial treatment of enclosed systems hav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fluid flow
US7566740B2 (en) * 1998-10-06 2009-07-28 Bml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mucositis
NL1012260C2 (nl) * 1999-06-08 2000-12-11 Johannes Petrus Adri Hoogkamer 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ontsmetten van tandenborstels.
US7147873B2 (en) 2002-01-16 2006-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septic compositions and methods
US6838078B2 (en) 2002-01-16 2005-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7005031B2 (en) 2002-01-16 2006-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aving quaternary ammonium functionality, articles, and methods
US20060216267A1 (en) 2002-08-20 2006-09-28 Kovacs Stephen G Hydrophobic elastomeric polymer chemistry device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onychomycosis and urushiol-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U2002322916C1 (en) 2002-08-20 2008-04-17 Alda Pharmaceuticals Corp. A wide spectrum disinfectant
CA2533950C (en) 2005-01-28 2013-10-22 B. Braun Medical Ag Virucidal disinfectant
WO2007070650A2 (en) 2005-12-14 2007-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adhesive films
MX2009004246A (es) 2006-10-27 2009-05-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ciones antimicrobianas.
US8771725B2 (en) 2007-10-12 2014-07-08 Chesson Laboratory Associates, Inc. Poly(urea-urethane) compositions useful as topical medica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20237452A1 (en) 2011-03-14 2012-09-20 Combino Pharm, S.L. Antiseptic Solution of Di(4-Chloro-Phenyldiguanido) Compound And Process Therefor
US20150126944A1 (en) * 2013-11-07 2015-05-07 Chlorhexidine Optimal Products For Skin LLC System for applying a small quantity of antiseptic
BR112021010118B1 (pt) * 2018-12-06 2023-12-19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ções para cuidados pessoais e uso das mesmas
CN112274690B (zh) * 2020-09-15 2022-10-04 深圳市华中生物药械有限公司 一种液体敷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52612A (fr) * 1955-09-19 1961-02-03 Gen Aniline & Film Corp Complexes iodés de copolymères de n-vinyl-pyrrolidones et de composés vinyliques exempts d'azote
FR1587321A (ko) * 1965-09-09 1970-03-20
DE1617282A1 (de) * 1965-11-30 1975-02-06 Astra Pharma Prod Vorrichtung zur lokalanaesthetisierung durch oertliche aufbring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vorrichtung
AT323333B (de) * 1973-02-15 1975-07-10 Hurka Wilhelm Mit wirkstoffen getränkter träger
AU527826B2 (en) * 1977-10-28 1983-03-24 Vitapharm Pharmaceutical Proprietary Limited Antimicrobial film dressing
JPS55167217A (en) * 1979-06-14 1980-12-26 Nobuo Mochida Preparation of local bactericide and anti-infective
US4439584A (en) * 1980-11-12 1984-03-27 Tyndale Plains-Hunter, Ltd. Gas and ion permeable membranes formed of polyurethane diacrylate compositions
DE3045915A1 (de) * 1980-12-05 1982-07-08 Bayer Ag, 5090 Leverkusen Antimykotische mittel mit hoher wirkstoff-freisetzung in form von elastischen fluessig-pflastern
US4406884A (en) * 1981-06-23 1983-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antimicrobial composition
CA1205745A (en) * 1982-07-02 1986-06-10 John D. Dell Film-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microbial agent and method
CA1239747A (en) * 1982-09-30 1988-07-26 Eugene S. Barabas Pliable films of polymeric halogen complexes
GB2134781B (en) * 1983-02-15 1986-02-12 Diomed Dev Lt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tasis leg ulcers
US4584192A (en) * 1984-06-04 1986-04-22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Film-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microbial agent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5072A1 (en) 1987-03-25
EP0215072A4 (en) 1990-01-08
DK542486A (da) 1986-11-13
AU5660686A (en) 1986-10-13
JP2559225B2 (ja) 1996-12-04
DK542486D0 (da) 1986-11-13
CA1290250C (en) 1991-10-08
WO1986005391A1 (en) 1986-09-25
KR870700016A (ko) 1987-02-28
JPS62502309A (ja) 1987-09-10
NO864519L (no) 1986-11-12
FI864514A0 (fi) 1986-11-06
NO864519D0 (no) 1986-11-12
AU586243B2 (en) 1989-07-06
FI864514A (fi) 198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078B1 (ko) 소독액과 그의 도포구
EP2086315B1 (en) Color change surgical prep solution
US10172813B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fections
US5744150A (en) Softened antimicrobial sponge material with color change ind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US6488665B1 (en) Antimicrobial alcohol gel pre-operative skin-preparation delivery system
Rodeheaver et al. Wound cleansing, wound irrigation, wound disinfection
JP5734848B2 (ja) 抗菌性組成物及び使用方法
US8343525B2 (en) Chlorhexidine acetate antiseptic cleaning agent
JP2988658B2 (ja) 非水性皮膚軟化剤入りヨードフォア製剤
TWI417046B (zh) 使用於病人手術準備中的方法及組成物
WO2001001994A1 (en) Water resistant film-forming antimicrobial skin-preparation
WO2010080652A1 (en) Chlorhexidine acetate antiseptic cleaning agent
JPH02299662A (ja) 抗微生物性製品および組成物
Sebben Sterile technique and the prevention of wound infection in office surgery—part II
Boothe Antiseptics and disinfectants
JPS63109865A (ja) 薬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プルランフイルム製剤
KR19980072739A (ko) 치과용 치근관 페이퍼 포인트 및 그것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