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936B1 -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936B1
KR940009936B1 KR1019910008066A KR910008066A KR940009936B1 KR 940009936 B1 KR940009936 B1 KR 940009936B1 KR 1019910008066 A KR1019910008066 A KR 1019910008066A KR 910008066 A KR910008066 A KR 910008066A KR 940009936 B1 KR940009936 B1 KR 94000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acid
sodium cyanide
hydrogen peroxide
excess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500A (ko
Inventor
이재철
최종권
정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91000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936B1/ko
Publication of KR92002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3/3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53/34Separation; Pur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본 발명은 α-시아노 에스테르계 합성 피레스로이드의 제조과정에서 과량으로 사용되는 고가의 유기산을 효과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α-시아노 에스테르계 합성 피레스로이드는 통상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과량의 소듐 시아나이드와 과량의 유기산이나 유기산 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유기산은 매우 고가이므로 반응 완료 후 미반응된 여분의 유기산을 효과적으로 회수한다면 공업적으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반응식 1]
상기식에서 R은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필, (1R, cis)-3-(2,2-디브로모비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필, cis-3-(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페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필, 1-(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필 등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2-324호 의하면 소듐 시아나이드와 4급 아민염 촉매 존재하에서 알데히드와 과량의 유기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α-시아노 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6-2020호에는 소듐 시아나이드 및 여러가지 3급 아민 유도체 촉매하에서 알데히드와 과량의 유기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α-시아노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5-1178호에서도 과량의 소듐 시아나이드와 유기산을 사용하여 α-시아노 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있다.
이와같이 α-시아노 에스테르를 제조함에 있어서 과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산은 매우 고가이어서 반응후 여분의 유기산을 간단히 회수할 수 있다면 공업적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적일 것이나, 이는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어서 전술한 상기 방법들에서는 이 여분의 유기산을 거의 그대로 폐기하는 실정이었다.
즉, α-시아노 에스테르 반응후 남은 유기산은 과량의 소듐 시아나이드와 함께 염기성의 수층에 녹아 있는데, 통상 생각할 수 있듯이 이 수층을 그대로 산성화하여 유기산을 회수하고자 하는 것은, 하기반응식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소듐 시아나이드가 pH 약 9.3 이하에서는 맹독성의 시안화수소로 변하여 치명적으로 유해한 작업환경을 초래하므로 매우 위험하다.
[반응식 2]
따라서, 유기산을 안전하게 회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듐 시아나이드를 분해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때 시아나이드 분해과정에서 유기산이 분해되어서는 안된다.
한편, 소듐 시아나이드는 산화 분해법을 이용하여 분해 제거할 수 있는데 예컨대, NaOC1에 의한 산화분해법, C12에 의한 산화분해법, H2O2에 의한 산화분해법, 오존(O3)에 의한 산화분해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분야에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시아나이드 화합물을 분해 제거한 예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공지의 소듐 시아나이드 분해방법을 본 발명의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다각적으로 연구해 온 결과, NaOCI이나 CI2에 의한 소듐 시아나이드 분해방법은 분해과정에서 유독한 CICN이 생성되어 안전성면에서 불리하고, 오존에 의한 분해법은 고가의 장치설비가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이들 방법은 시아나이드 분해 과정에서 유기산이 분해되거나 기타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어 부적당하나 이에 반하여 H2O2에 의한 산화 분해법은 유기산이나 다른 무기염 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오로지 소듐 시아나이드만을 분해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기타의 문제점도 다른 방법들에 비하여 거의 없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이를 본 발명의 분야에 응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페녹시벤즈알데히드와 과량의 소듐 시아나이드 및 과량의 유기산을 반응시켜 α-시아노 에스테르계 합성 피레스로이드를 합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A) 소듐 시아나이드와 유기산염이 함께 녹아 있는 수층을 과산화수소로 처리하여 소듐 시아나이드를 무독한 물질로 분해하는데 제 1 공정과 이어서, (B) 무기산으로 pH를 산성으로 조정하는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반응된 여분의 유기산을 정량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산화수소(H2O2)에 의하여 소듐 시아나이드를 분해하는 방법은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109,939호와 미합중국 특허 제3,970,554호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본 발명에 응용하였을 때 소듐 시아나이드가 분해되는 과정을 간단히 나타내면 다음 반응식 3과 같다.
[반응식 3]
① NaCN+H2O2→NaOCN+H2O
② NaOCN+2H2O→NaHCO3+NH3
즉, 소듐 시아나이드는 과산화수소에 의하여 소듐시아네이트로 되고 이는 다시 물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무독한 NaHCO3와 암모니아 기체로 분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 회수방법은 α-시아노 에스테르 합성 후 유기산과 소듐 시아나이드가 함께 존재하는 수층을 과산화수소(H2O2)로 처리하여 소듐 시아나이드를 완전히 분해시키고 난 다음 pH를 1-4로 조정하여 유기산을 고체 형태로 분리하고 여과하여 회수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반응 혼합물에서 생성물을 얻은 후에 폐수(H2O층)에 있는 소듐 시아나이드를 정량적으로 무독한 물질로 분해할 수 있으며, 둘째,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합성시 과량으로 들어간 유기산을 정량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셋째, 위와같은 조작은 매우 간단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의 양은 수층의 소듐 시아나이드 1당량에 대하여 1.0∼2.0당량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기로는 1.2∼1.5당량이 적당하고, 반응온도는 20∼70℃, 특히 40∼60가 효과적이다. H2O2투입은 상기량을 한꺼번에 투입하거나, 1∼2시간동안에 걸쳐 일정속도로 투입할 수 있으나, 잔존 소듐 시아나이드 양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1∼1.5시간에 걸쳐 일정속도로 투입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소듐 시아나이드는 분해공정에서 수층의 pH는 10∼13이 가능하나, 안전성 및 분해속도를 고려할 때 pH 10.5∼11.0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의 공정에 의하여 수층의 소듐 시아나이드가 완전히 분해되고 나면 황산, 염산 등과 같은 통상의 무기산을 사용하여 반응액의 pH를 1∼4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간단히 유기산을 회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A) α-시아노-3-페녹시벤질-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사이클로 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3-페녹시벤즈알데히드(19.82g, 100mmol)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27.20g, 130mmol), NaCN(5.90g, 120mmol), 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0.60g, 6mmol), 물(13.70g, 762mmol), 톨루엔(101.21g)을 1ℓ-3구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토실 클로라이드(24.78g, 130mmol), Na2CO3(18.02g, 170mmol)을 순서대로 넣은 다음 실온에서 2시간 교반시켜 반응을 완결시킨다.
물 120g을 반응물에 투입하여 층분리한 다음 유기층에서 α-시아노 에스테르 41.20g(수율 99%, 순도 96%)를 얻고 수층은 유기산을 회수하는데 사용한다.
(B)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카르복실산의 회수
(A)단계에서 얻은 수층에 35% H2O2(4.37g, 4.5mmol)을 1시간동안 투입시키고 40∼50℃ 온도로 1시간 교반시킨 후 수층의 NaCN 농도를 폴라로그라피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식힌 후 20% H2SO4로 pH 약 4까지 조정하면서 유기산을 고체 분말상태로 유리시켜 여과후 건조시키면 6.15g(회수율 98%, 순도 98%)이 회수된다.
[실시예 2∼7]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얻은 수층을 다음 표의 조건으로 2시간동안 처리하고 난 다음 소듐 시아나이드 농도를 측정하고 pH 약 2까지 산성화하여 PA(Permethric acid;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사이클로 프로판카르복실산)를 회수한 후 PA 회수율 및 순도를 확인하였다.
[표 1] 온도, H2O2의 양에 따른 소듐 시아나이드 분해 정도, PA 회수율 및 순도 실험
* N.D : 검출되지 않음
[실시예 8]
(A) α-시아노-3-페녹시벤질 1-(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3-페녹시벤즈알데히드(19.82g, 100mmol), 1-(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산(25.52g, 120mmol), 소듐 시아나이드(5.90g, 120mmol), 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0.60g, 6mmol), 물(13.70g, 762mmol), 톨루엔(198.0g)을 1ℓ-3구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토실 클로라이드(24.78g, 130mmol), Na2CO3(18.02g, 170mmol)을 순서대로 넣은 다음 실온에서 3시간 교반시켜 반응을 완결시킨다.
물 120g을 반응물에 투입하여 층분리한 다음 유기층에서 α-시아노 에스테르 41.57g(수율 99%, 순도 92%)을 얻고 수층은 과량의 유기산을 회수하는데 사용한다.
(B) 1-(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산의 회수
(A)단계에서 얻은 수층에 35% H2O2(4.37g, 4.5mmol)을 1시간동안 투입시키고 40∼50℃ 온도로 1시간 교반시킨 후 수층의 소듐 시아나이드 농도를 폴라로그라피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식힌 후 20% H2SO4로 pH 약 1까지 조정하면서 유기산을 고체분말 상태로 유리시켜 여과후 건조시키면 4.17g(회수율 98%, 순도 97%)이 회수된다.

Claims (6)

  1. 3-페녹시벤즈알데히드와 과량의 소듐 시아나이드 및 과량의 유기산을 반응시켜 α-시아노 에스테르계 합성 피레스로이드를 합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소듐 시아나이드와 유기산이 함유된 수층을 과산화수소로 처리하여 소듐 시아나이드를 산화 분해시키고 pH를 산성으로 조정하여 미반응 유기산을 분리 회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 분해 공정을 pH 10∼13, 온도 20∼70℃에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pH는 10.5∼11.0이고 온도는 4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의 사용량은 소듐 시아나이드 1당량에 대하여 1.0∼2.0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의 사용량이 소듐 시아나이드 1당량에 대하여 1.2∼1.5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 회수 공정의 pH가 1∼4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08066A 1991-05-17 1991-05-17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KR94000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066A KR940009936B1 (ko) 1991-05-17 1991-05-17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066A KR940009936B1 (ko) 1991-05-17 1991-05-17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500A KR920021500A (ko) 1992-12-18
KR940009936B1 true KR940009936B1 (ko) 1994-10-19

Family

ID=1931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066A KR940009936B1 (ko) 1991-05-17 1991-05-17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7147A1 (de) * 2000-11-17 2002-05-22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thokohlensäuree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7147A1 (de) * 2000-11-17 2002-05-22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thokohlensäure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500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36403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dehyden oder n-acyl-alpha-aminosaeuren
DE2753829C2 (ko)
KR940009936B1 (ko) 합성 피레스로이드 제조시 유기산 회수방법
US4683089A (en) Cyclopropa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KR910004176B1 (ko) 카벤다짐 제조시 부산물의 생성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EP0098995A1 (en) Adduct of mutually stabilizing menadione and thiamine
JP2985604B2 (ja) 包接化合物
US4233242A (en) Process for producing ketazine by reacting a ketone with ammonia and a peroxide
US4504666A (en) High yield preparation of aromatic amine oxides
WO2005077863A1 (de) VERFAHREN ZUR CC-BINDUNGSKNÜPFUNG ZWISCHEN ELEKTROPHILEN SUBSTRATEN UND π-NUCLEOPHILEN IN NEUTRALEN BIS BASISCHEN WÄSSRIGEN ODER ALKOHOLISCHEN LÖSUNGSMITTELN OHNE DEN EINSATZ EINER LEWIS- ODER PROTONENSÄURE
US4935519A (en) N-fluoropyridinium pyridine heptafluorodiborate
EP0545208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tertiärer Aminoxide
DE2057702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rbonsäureamiden
DD202427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halogenalkylamiden
US3821220A (en) Reducing hydrogen cyanide levels in the formation of cyanoalkylamino substituted triazines
US3737454A (en) Racemization of optically active ammonium n-acetyl-alpha-aminophenylacetate
US4199527A (en) Removal of ketene impurities in the preparation of alpha-cyano-aryloxybenzyl alcohols
DE1296142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ª‡-Aminobenzylpenicillin
DE2414802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etazinen
EP0271161B1 (en) Process for purifying oxalic acid diamide
EP065854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m Isobuttersäureamid
EP1509493A2 (de) Desodorierung von kationischen ammoniumacetonitrilderivaten
EP0551632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ogenanthranilsäuren
DE273794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methyl-2-(4-halogenphenyl)-butyronitril
EP0065356B1 (en) A method for purification of cyclopentenol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