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381Y1 -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381Y1
KR940007381Y1 KR92005974U KR920005974U KR940007381Y1 KR 940007381 Y1 KR940007381 Y1 KR 940007381Y1 KR 92005974 U KR92005974 U KR 92005974U KR 920005974 U KR920005974 U KR 920005974U KR 940007381 Y1 KR940007381 Y1 KR 940007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nalog
signal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241U (ko
Inventor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5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381Y1/ko
Publication of KR930024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181Suppression of switching-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제1도는 종래 전자악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출력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잡음제거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
제5도는 제3도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잡음제거부 2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3 : 저역필터부 4 : 증폭부
본 고안은 전자악기의 잡음신호 제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원장치에서 출력되는 정상상태의 디지탈음신호가 과도상태의 불안정한 상태로 아날로그변환부에서 변활될때 발생되는 글리치(Glitch)를 제거하도록 한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음원장치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음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와,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의 아날로그신호에서 글리치잡음을 제거하는 글리치제거부(11)와, 상기 글리치제거부(11)를 통해 잡음이 제거된 아날로그신호를 저역필터링 하는 저역필터부(12)와, 상기 저역필터부(12)에서 저역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14)로 출력하는 증폭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은 먼저 음원 장치로 부터 제2도의 (a)와 같은 디지탈음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는 입력된 디지탈음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글리치제거부(11)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로 부터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는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일정한 과도상태를 거친후 정상상태로 복귀되는데, 이때 과도상태의 불안정한 상태에서 아날로그의 글리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특히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0)의 아날로그신호가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변화하는 제로크로싱(Zero Crossing)상태에서 가장크게 나타난다. 일례로써, 음원장치에서 출력된 디지탈음신호가 제2도의 (a)에서 같이 정상상태로 입력되다가 과도상태의 불안정상태로 변환되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를 통해 변환된 아날로그신호에는 제2도의 (b)와 같이 글리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아날로그신호가 0, 1, 1, …1, (-)에서 1, 0, 0, …0, (0)으로 변환될때 가장큰 글리치가 발생되어 글리치제거부(11)에 입력된다. 이에따라 상기한 글리치제거부(11)는 아날로그스위치와 적분기를 이용한 트랙/홀드회로를 이용하여 제2도의 (b)와 같은 글리치를 제거하게 된다. 즉,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의 아날로그신호가 제2도의 (b)와 같은 과도상태로 입력될때에는 글리치제거부(11)는 제2도의 (c)와 같이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인 하이신호에 의해서 이전의 값을 유지하여 제2도의 (d)와 같이 글리치가 제거된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로 부터 새로운 아날로그신호가 입력되면 제2도의 (c)와 같이 제어신호(CN)인 로우신호에 의해서 아날로그신호를 추종하여 글리치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글리치제거부(11)에서 제거된 아날로그신호는 저역필터부(12)를 통해 저역필터링되고 그 필터링된 신호는 증폭부(13)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14)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에서 글리치제거부를 구성하려면 외부의 아날로그회로가 많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과도상태의 아날로그신호 및 정상상태의 아날로그신호를 정확하게 유지 및 추종하는 글리치제거부의 트랙/홀드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원장치에서 출력되는 정상상태의 디지탈음신호가 과도상태의 불안정한 상태로 아날로그변환부에서 변환될때에 발생되는 제로크로싱 글리치(Glitch)를 디지탈음신호에 쉬프트레벨값을 가산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음원장치에서 입력되는 디지탈음신호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일정한 쉬프트레벨값을 가산하여 출력하고 그 가산된 디지탈음신호를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로 출력하는 잡음제거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음원장치에서 입력되는 디지탈음신호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일정레벨의 쉬프트값을 가산기(1a)로 가산하여 출력하고 그 가산기(1a)로 부터 가산되어 출력되는 디지탈음신호를 래치(1b)로 순차 래치하여 제로크로싱 글리치를 제거출력하는 잡음제거부(1)와, 상기 잡음제거부(1)를 통해 잡음제거된 디지탈음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저역필터링 하는 저역필터부(3)와, 상기 저역필터부(3)에서 저역필터링된 아날로그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5)로 출력하는 증폭부(4)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작용, 효과를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원장치로 부터 디지탈음신호가 입력되면 잡음제거부(1)의 가산기(1a)는 입력된 디지탈음신호를 외부에서 입력되는 일정레벨의 쉬프트값(SF)과 합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가산기(1a)에서 합산되어 출력된 디지탈음신호는 잡음제거부(1)의 래치(1b)에 순차적으로 래치되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에 입력되고,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는 잡음제거부(1)에서 쉬프트되어 입력되는 디지탈음신호를 제5도의 (b)와 같이 제로크로싱 글리치가 제거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만약 잡음제거부(1)의 가산기(1a)에 입력되는 쉬프트레벨값이 크면 클수록 제5도의 (c)와 같이 제로크로싱은 줄어드나 쉬프트레벨값을 크게하면 큰신호들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에서 클리핑(Clipping)되어 파형이 왜곡된다. 일예로써, 잡음제거부(1)의 가산기(1a)에 입력되는 디지탈음신호가 16비트이고 쉬프트레벨값(SF)이 +max/2(0,1,0,0,0,0,0,0,0,0,0,0,0,0,0,0,)일때 제5도의 (c)에서와 같이 +max/2보다 큰신호는 클리핑되어버린다. 그러나 쉬프트레벨값(SF)을 +max/128(0,0,0,0,0,0,0,1,0,0,0,0,0,0,0,0)정도소하면 크기가 +mzx*127/128안에 들어가는 신호들은 클리핑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쉬프트레벨값(SF)을 +mzx/128정도로 설정하여 잡음제거부(1)에 입력하면 그 쉬프트레벨값(SF)과 디지탈음신호가 전술한 바와같이 가산기(1a)에서 가산되고 래치(1a)에서 순차적으로 래치된 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화부(2)를 통해 제5도의 (b)와 같이 제로크로싱 글리치가 제거되어 출력된다.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를 통한 아날로그신호는 저역필터부(3)를 통해 저역필터링됨과 아울러 증폭부(4)를 통해 소정레벨로 증폭되어 스피커(5)로 출력된다. 여기서 제5도의 (a)는 잡음제거부(1)를 통하지 않은 일반적인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의 출력 아날로그신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음원장치에서 출력되는 정상상태의 디지탈음신호가 과도상태의 불안정한 출력으로 아날로그변환부에서 변환될때에 발생되는 제로크로싱 클리치(Glitch)를 잡음제거부의 가산기에서 디지탈음신호에 쉬프트레벨값을 가산하고 래치를 통해 래치시켜 부가되는 아날로그회로를 삭제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전자악기의 음원장치에 내장하여 디지탈화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원장치에서 입력되는 디지탈음신호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일정레벨의 쉬프트값을 가산기(1a)로 가산하여 출력하고 그 가산기(1a)로 부터 가산되어 출력되는 디지탈음신호를 래치(1b)로 순차 래치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6)를 통해 제로크로싱 글리치를 제거출력하는 잡음제거부(1)를 포함하여 된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KR92005974U 1992-04-11 1992-04-11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KR940007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974U KR940007381Y1 (ko) 1992-04-11 1992-04-11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974U KR940007381Y1 (ko) 1992-04-11 1992-04-11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41U KR930024241U (ko) 1993-11-27
KR940007381Y1 true KR940007381Y1 (ko) 1994-10-19

Family

ID=193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974U KR940007381Y1 (ko) 1992-04-11 1992-04-11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3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41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8163A (en)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circuit with dither and overflow prevention
US6268814B1 (en) Carrier-dependent dithering for analog-to-digital conversion
KR100893885B1 (ko) 다중-비트 시그마-델타 변조기용의 디더링 및 다중-한계값생성 기능을 갖는 정전용량이 작고, 킥백 잡음이 낮은다중-레벨 양자화기 입력단
JP2801644B2 (ja) ディザ回路
DE60001148D1 (de) Schaltung zur rausch- und fehlerkompensation der ausgangsstufe eines digitalen verstärkers
US5012242A (en) Input data processor for D/A converter utilizing dithering
US20030031245A1 (en) Modulator for digital amplifier
KR100497702B1 (ko) 디지털데이터변환장치
KR910006755B1 (ko) 디지탈 볼륨의 열화방지회로
KR940007381Y1 (ko) 전자악기의 잡음제거 시스템
US5343197A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KR100419984B1 (ko) 디지털신호뮤트방법과디지털신호뮤트방법을이용하는디지털신호처리장치와디지털신호기록장치
KR940003920Y1 (ko) 디지탈 음향 장치의 글리치(Glitch) 잡음 방지 장치
JPS60197016A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装置
JP3103908B2 (ja)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
RU2320077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ловым каналом усилителя мощности класса d
JPS58147232A (ja) デイジタル・オ−デイオデイスクプレ−ヤ
JP2993457B2 (ja) オーバサンプル型daコンバータ
JPH0446016B2 (ko)
JPH06276099A (ja) D/a変換装置
JPS6345056Y2 (ko)
KR940017799A (ko) 캠코더의 오디오 잡음 제거회로
JP2585734B2 (ja) 雑音抑圧回路
JP3070809B2 (ja) ファンクション・ジェネレータ
JPH06284008A (ja) Ad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