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347Y1 -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 Google Patents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347Y1
KR940007347Y1 KR92008197U KR920008197U KR940007347Y1 KR 940007347 Y1 KR940007347 Y1 KR 940007347Y1 KR 92008197 U KR92008197 U KR 92008197U KR 920008197 U KR920008197 U KR 920008197U KR 940007347 Y1 KR940007347 Y1 KR 940007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air pump
air
conver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702U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92008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347Y1/ko
Publication of KR930024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요부를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동기 41 : 회전축
5 : 변환수단 51 : 회전판
52 : 편심축 53 : 고정홈
54 : 베어링 55 : 하우징
56 : 연결구 6, 7 : 에어펌프
61, 71 : 로드 63, 73 : 에어펌프
64, 74 : 배기밸브
본 고안은 주로 관상용 수족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포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펌프의 구동을 전동기의 회전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여 왔던 기포발생기는 교류 60hz의 동기에 의하여 코어에 코일을 권선하여 전자석을 만들고 이 전자석의 맞은편에 영구자석을 지지대에 부착하여 영구자석이 전자석에 의하여 진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에어펌프를 구동함으로써, 공기를 흡입·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진동과 이에 따른 소음의 극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진동과 소음이 거의 없도록 된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통상의 정류부와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직류전동기에 있어서, 직류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의 로드에 연결되며 다이어푸램과 흡입밸브 및 배기밸브를 가진 통상의 에어펌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코저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에어펌프부분의 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정류부(2)와 제어부(3)에 의하여 구동되는 직류전동기(4)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직류전동기(4)는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압(1)을 24V의 직류로 변하는 정류부(2)와, 이 정류부(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동기(4)의 고정자의 극성을 전환하여 회전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정류부(2) 및 제어부(3)는 이미 일반적으로 공지되고 있는 통상의 직류전동기의 구동장치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직류전동기(4)의 회전축(41)에는 이 회전축(41)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변환수단(5)은 회전축(41)에 고정설치되어 이 회전축(41)과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판(51)과, 베어링(54) 및 하우징(55), 그리고 상기 하우징(55)과 후술하는 에어펌프(6) (7)를 연결하는 다수의 로드(61) (71)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판(51)의 일측에는 편심축(52)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한 회전축(41)에 회전판(51)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축(52)과 하우징(55)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다수의 베어링(54)은 하우징(55)에 대하여 편심축(5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55)의 외부둘레에는 다수의 연결구(56)가 구비되어 있고, 이 연결구(56)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61) (71)의 일단은 에어펌프(6) (7)의 다이어푸램(62) (72)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한 연결구(56)와 로드(61) (72) 및 에어펌프(6) (7)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다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기(4)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5)이 편심축(52)의 편심회전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편심회전수단은 편심축(5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한 회전축(41) 상에 결합되어 회전축(41)의 회동에 따라 캠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변환수단(5)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어펌프(6) 97)는 로드(61) (71)의 왕복운동에 따라 수축운동을 하는 다이어푸램(62) (72)의 수축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흡입밸브(63) (73) 및 배기밸브(64) (74)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 및 배기밸브(63) (73) (64) (74)는 다이어푸램(62) (72)의 수축운동에 따라 통공(63a) (64a) (73a) (74a)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개폐판(63b) (64b) (73b) (74b)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에어호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본 고안의 작동도인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기(4)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축(41)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41)에 고성설치된 회전판(51) 또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판(5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편심축(52)은 회전축(41)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심축(52)이 회전하여 제3도와 같이 회전축(41)의 회전중심의 하방에 위치하여 되었을 때는 하우징(55)의 연결구(56)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61)는 에어펌프(5)의 다이어푸램(62)를 당겨서 팽창시키게 되며, 이때 다이어푸램(62)이 팽창되는 흡입력으로 인하여 흡입밸브(63)의 개폐판(63b)이 열리면서 통공(63a)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한편, 배기밸브(64)와 개폐판(64b)은 닫혀서 통공(64a)을 차단하므로 에어펌프(6)는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55)의 연결구(56)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71)는 에어펌프(7)의 다이어푸램(72)을 밀어서 수축시키게 되며, 이때 다이어푸램(72)이 수축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흡입밸브(73)의 개폐판(73b)은 통공(73a)을 차단하는 한편, 배기밸브(74)의 개폐판(74b)은 통공(74a)을 열어서 에어펌프(7)에 압축된 공기를 에어호오스(8)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편심축(52)이 회전하여 제4도와 같이 회전축(41)의 회전중심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는 하우징(55)의 연결구(56)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61)는 에어펌프(6)의 다이어푸램(62)를 밀어서 수축시키게 되며, 이때 다이어푸램(62)이 수축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흡입밸브(63)의 개폐판(63b)이 닫히면서 통공(63a)을 차단하는 한편, 배기밸브(64)의 개폐판(64b)은 열리면서 에어펌프(6)에 압축된 공기를 통공(64a)을 통하여 에어호오스(8)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55)의 연결구(56)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71)는 에어펌프(7)의 다이어푸램(72)를 당겨서 팽창시키게 되며, 이때 다이어푸램(72)이 팽창되는 흡입력으로 인하여 흡입밸브(73)의 개폐판(73b)은 통공(73a)을 열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한편, 배기밸브(74)의 개폐판(74b)은 통공(74a)을 닫아서 에어펌프(7)에 공기를 압축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에어펌프(6) (7)는 계속하여 에어호오스(8)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에어펌프(6) (7)를 직류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에 의하여 구동함으로써 진동과 소음이 거의 없는 기포발생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정류부와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직류전동기에 있어서, 직류전동기(4)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5)과, 상기 변환수단의 로드(61) (71)에 연결되며 다이어푸램과 흡입밸브 및 배기밸브를 가진 통상의 에어펌프(6) (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직류전동기(4)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5)은 일측에는 편심축(5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53)에 의하여 회전축(41)에 고정설치되는 회전판(51)과, 상기 편심축(52)과 하우징(55)의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55)에 대하여 편심축(5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베어링(54)과, 상기 베어링(54)에 결합되며 외부둘레에 다수의 연결구(56)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55)과, 상기 하우징(55)의 연결구(56)와 에어펌프(6) (7) 사이에 연결되어 에어펌프(6) (7)를 구동시키는 다수의 로드(61) (7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5)이 캠(cam)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55) 외부둘레의 연결구(56)와 로드(61) (71) 및 에어펌프(6) (7)가 1개 이상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KR92008197U 1992-05-14 1992-05-14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KR940007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197U KR940007347Y1 (ko) 1992-05-14 1992-05-14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197U KR940007347Y1 (ko) 1992-05-14 1992-05-14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702U KR930024702U (ko) 1993-12-16
KR940007347Y1 true KR940007347Y1 (ko) 1994-10-19

Family

ID=1933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197U KR940007347Y1 (ko) 1992-05-14 1992-05-14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3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00B1 (ko) * 2013-07-30 2014-12-08 김상규 기포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00B1 (ko) * 2013-07-30 2014-12-08 김상규 기포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702U (ko) 199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722B1 (en) Sucker rod actuating device
JP3599832B2 (ja) 可搬型コンプレッサ装置
WO1997023728A1 (fr) Moteur a piston electromagnetique
KR20170092117A (ko) 메디컬 펌프
CN108011540A (zh) 一种驻波型步进超声波电机
KR101214489B1 (ko)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940007347Y1 (ko) 직류전동기에 의한 기포발생기
CN101836354B (zh) 往复式压缩机
CN107786134A (zh) 电机驱动装置、电机组件及负载驱动装置
CA2246504A1 (en) Downhole flow stimulation in a natural gas well
JP4476112B2 (ja) 圧縮機の駆動装置
JPH08254193A (ja) 容積式真空ポンプ
CN2211671Y (zh) 动芯式直线振动电机
JP2004278363A (ja) 定電流形同期電動機式ピストンポンプ
JPH0712076A (ja) 圧縮機
CN218041108U (zh) 一种直流微型5g基站无刷电机结构
ATE226456T1 (de) Antrieb für pumpelemente, insbesondere für herzunterstützungsvorrichtungen
JPH05252710A (ja) 直流逆回転モーター
KR101918067B1 (ko) 레시프로 압축기
CN106089715A (zh) 超声波变频空调压缩机
KR0120060Y1 (ko) 자기 반발식의 2단압축기
JPH0893316A (ja) 引戸クローザ用制動装置
KR10058871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466109Y1 (ko) 브러시리스 직류 회전 압축기
KR19980065275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