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180B1 -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180B1
KR940007180B1 KR1019910016503A KR910016503A KR940007180B1 KR 940007180 B1 KR940007180 B1 KR 940007180B1 KR 1019910016503 A KR1019910016503 A KR 1019910016503A KR 910016503 A KR910016503 A KR 910016503A KR 940007180 B1 KR940007180 B1 KR 940007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indoor unit
ozone
oxyge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90A (ko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180B1/ko
Publication of KR93000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보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를 보인 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를 보인 단면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2 : 흡입구
3 : 배출구 4 : 열교환기
5,10 : 송풍팬 6 : 환기구
7 : 오존발생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콘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오존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륵 함과 동시에 실내·외공기를 자동으로 환기시켜 주도륵 하고, 또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키도륵 한 것이다.
종래에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공기청정수만을 갖추어 실내기를 통과하여 열교환되는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륵 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즉, 실내기의 선단에 착탈이 가능한 공기청정필터를 구비하여, 실내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이의 공기청청필터로 통과시키므로써 정화하는 방법과, 또한, 집진수단을 구비하여서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록 하는 방법등이 대체적으로 알려져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실내기에 구비되는 공기청정수단을 단순히 실내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을 여과시켜 주는 정도에 불과하므로써 공기청정효율이 좋지못한 문제점이 있음과 더불어 장시간 사용시 현격한 효율저하가 유발되어 수시로 교체하여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전면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기를 실내에 설치시 실내의 조명, 벽면의 색상등과 조화시킬 수 없어 호환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고, 그리고, 실내기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열교환기를 직접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상에 오존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실내기로 흡입되는 모든 흡입공기를 오존발생기측으로 통과되게 하므로써 실내공기의 청정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실내·외공기를 자동으로 환기시키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만을 구비한 실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실내기의 실내공기흡입구를 상부에 설치하므로서 실내공기의 순환을 효율적으로 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기의 전면부분을 실내구조와 맞추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륵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실내에 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상·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구비하므로서 실내공기의 순환을 원활히 하도록 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내기 전면을 실내구조와 맞추어 활용가능트록 하고, 또한, 실내기 내부의 열교환기 후면에 오존발생기를 구비하므로서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토록 함과 동시에 공기를 깨끗히 정화하도록 하며, 그리고, 이의 오존발생기에 실내·외를 연결하는 환기통로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으로,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를 보인 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은 실내기의 본체이다.
이의 본체(1)는 실내의 벽면(A)에 체결되고 상·하부측에 각각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입구(2) 및 배출구(3)와, 또한, 상기 실내기(1) 내부에 구비되고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 및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5)과, 그리고, 벽면(A)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환기구(6)를 가지면서 열교환기(4)의 후면상에 구비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상에는 실내산소의 농도를 실내산소농도 감지센서(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존발생기(7)는 전면상단에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9)과, 하단에 송풍팬(10)에 의해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다시 열교환기(4)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11)이 구비되고, 이의 내부에는 지그재그통로를 갖도록 두개의 격판(12)(12a)이 엇갈리게 구비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는 활성탄으로 구비되는 촉매부재(13) 및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재(14)가 구비된다.
또한, 이의 상부에는 전자개페밸브(15)에 의해 개폐되고 내부에 실외산소농도센서(16)를 갖는 환기구(6)가 구비되어 벽면(A)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통상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가동됨에 마라 송풍팬(5)에 의해실내공기가 흡입구(2)를 통하여 흡입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고, 다시 오존발생기(7)를 통과한 후 배출구(3)를 통하여 실내로 순환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즉,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공기는 오존발생기(7)의 송풍팬(5)에 의해 오존발생기(7)의 흡입공(9)을 통하여 내부로 흡입된 후, 오존발생부재(14)와 촉매부재(13)를 거쳐 배출공(11)을 통하여 배출되어지고, 이의 공기는 다시 열교환기(4)를 통과하여 재차 열교환된 후 배출구(3)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오존발생부재(14)에는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므로서 이 오존발생영역에 의해 살균 및 악취등이 제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존자체는 그 량에 따라 사람에 유독한 해를 끼칠 수가 있으므로 이의 오존은 촉매부재(13)를 통과하는 동안 오존에서 다시 산소로 변환됨과 동시에 공기중의 이물질등이 여과되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이같이 작동되는 중에 실내와 실외의 산소농도를 실내·외산소 감지센서(8)(16)가 감지하여 그 비교량에 따라, 즉 실내가 실외보다 절대적으로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제어장치에 의해 환기구(6)내에 구비되는 전자개폐밸브(15)가 개방되므로써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환기구(6)를 통해 오존발생기(7)내로 직접 유입되어 실내를 환기시키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4)의 하부 절곡되게 구성하므로써 오존발생기(7)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교환면적을 중대시켜 열교환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이에 따라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존발생기(7)의 배출공(11) 및 송풍팬(10)의 구성을 상기와 같은 조건에 맛추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또한,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존발생기(7)에 부설되는 환기구(6)를 벽면(A)을 통하여 직접 실외로 연결할 수가 없을 경우에는 별도의 관체를 연결하여 다른곳으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오존발생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실내공기의 강력한 살균효과 및 악취를 제거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실내공기의 청정효율이 향상되는 것이고, 또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므로써 열교환성능도 향상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실내·외의 산소농도에 따라 실외공기를 실내로 순환되게 하므로써 실내에는 충분한 산소가 유지되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실내기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하는 흡입구 및 배출구와, 그리고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마련되어 오존을 발생시켜 공기를 청정하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송풍팬에 의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흡입공 및 배출공,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지그재그 통로를 갖도록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두개의 격판과, 상기 격판에 구비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재와 청정작용을 맞친 오존을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구비되는 촉매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청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흡입구상에는 실내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실내산소농도 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오존발생기에는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를 환기하기 위하여 환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환기구내에는 실외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실외 산소농도 감지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환기구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들의 비교값에 따라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전자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파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KR1019910016503A 1991-09-20 1991-09-20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KR940007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503A KR940007180B1 (ko) 1991-09-20 1991-09-20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503A KR940007180B1 (ko) 1991-09-20 1991-09-20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90A KR930006390A (ko) 1993-04-21
KR940007180B1 true KR940007180B1 (ko) 1994-08-08

Family

ID=1932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503A KR940007180B1 (ko) 1991-09-20 1991-09-20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1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79B1 (ko) * 2007-06-01 2008-03-14 장건우 학교시설의 공기질 측정 및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79B1 (ko) * 2007-06-01 2008-03-14 장건우 학교시설의 공기질 측정 및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90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256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JP4985735B2 (ja) 空気清浄機
CN108194987A (zh) 柜式空调室内机
CN108194986A (zh) 挂式空调室内机
CN108224588A (zh) 用于窗式空调器的净化模块和窗式空调器
JP4457774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JPH0889566A (ja) 換気機能付空気清浄機
JP4599906B2 (ja) 空気清浄機システム
KR20000056577A (ko) 살균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
JP2016211846A (ja) 空気調和機
JP4883155B2 (ja) 空気清浄機
KR940007180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실내기
KR20030087872A (ko) 창문형 환기장치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CN208418980U (zh) 挂式空调室内机
JP415579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H07120041A (ja) 空気調和装置
KR100698516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0321113B1 (ko) 공기청정기
JPH08312977A (ja) 空気調和装置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40097613A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WO2006001368A1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
KR102432316B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창문형 에어컨장치
JP2004156797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