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123Y1 -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123Y1
KR940007123Y1 KR2019890015873U KR890015873U KR940007123Y1 KR 940007123 Y1 KR940007123 Y1 KR 940007123Y1 KR 2019890015873 U KR2019890015873 U KR 2019890015873U KR 890015873 U KR890015873 U KR 890015873U KR 940007123 Y1 KR940007123 Y1 KR 940007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base
terminal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191U (ko
Inventor
정경화
이지훈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5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123Y1/ko
Publication of KR910008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4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전화기 호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얼 구동 IC 2 : 송수화부
3 : 반파정류부 HS : 훅스위치
SW1: 뉴콜 및 프레쉬키 Q1-Q5: 트랜지스터
ZD1, ZD2: 제너다이오드 R1-R11: 저항
C1-C4: 콘덴서 CR1: 전류 레귤레이터
본 고안은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시간과 관계없이 전화기 선로를 일정시간 동안 끊었다가 다시 연결하므로서 교환기로부터 특수 서어비스(일명 Flash라함)를 받거나 또는 다시 전화를 걸고가 하는 경우(즉 New Call)에 사용되는 전화기의 호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뉴콜(New Call)기능이라 함은 전화기를 사용할때 통화중이거나 다시 걸 필요가 있을경우 훅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뉴콜 키를 이용하여 전화선로를 일정시간(약2초)동안 끊었다가 다시 연결하는 기능을 말하고, 프레쉬(Flash)기능이란 사설교한기(PABX)와 연결하여 사용할때 특수 서어비스를 받기위해 일정시간(약 600m초)동안 선로를 끊었다 연결하는 기능을 말한다,
종래에 있어서의 전화기 호출 회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리지 다이오드(BD), 훅스위치(HS), 다이오드(D1), 저항(R1-R6), 트랜지스터(Q1-Q3), 다이얼 구동 IC(31), 키입력부(32) 및 송,수화부(33)와를 연결구성 하여서된 것으로, 그의 동작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전화기의 핸드셋을 들어 훅스위치(HS)가 온상태가 되면 다이얼 구동 IC(31)에 전원(VDD)이 공급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Q3)가 온이되므로 다이얼 구동 IC(31)의 훅센싱 단자(HS)에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펄스 출력단자(PO)가 '하이'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2, Q1)가 각각 온이되어 다이얼 및 통화기능을 수행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화기를 사용하던중 프레쉬 키를 누르면 다이얼 구동 IC(31)의 펄스 출력단자(PO)가 일정시간 동안 '로우'상태로 유지되므로 정해진 시간동안 선로가 끊겼다가 다시 연결된다.
그러나 다이얼 구동 IC중 프레쉬 기능이 내장된 것은 일반 다이얼 구동 IC보다 그 가격이 매우 고가이고 IC내부에 세트된 프레쉬 또는 뉴콜 설정시간(New Call Time)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교환기의 기종에 따라 프레쉬 또는 뉴콜 설정시간을 조정해야하는데 이를 조정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브리지 다이오드와 다이얼 구동 IC사이에 뉴콜 및 프레쉬키와 다수개의 선형 소자 및 전류 레귤레이터등을 부가시켜 교환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프레쉬기능 및 뉴콜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한 전화기의 호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브리지 다이오드(BD)와 훅스위치(HS), 다이얼 구동 IC(1) 및 송, 수화부(2)와를 연결 구성하여서된 전화기 호출 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에 연결된 상기 훅스위치(HS)의 일측단자는 병렬의 저항(R1)과 콘덴서(C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뉴콜 및 프레쉬키(SW1)의 일측단자에 공접함과 동시에 전류 레귤레이터(CR1)와 저항(R7)을 통해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전류 레귤레이터(CR1)와 저항(R7)의 접속점은 제너다이오드(ZD2)와 콘덴서(C3)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다이얼 구동 IC(1)의 전원단자(VDD)에 연결하며, 뉴콜 및 프레쉬 키(SW1)의 타측단자는 저항(R2)을 통해 접지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과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접지하며, 분배저항(R5,R6)을 통해 접지된 저항(R3)과 제너다이오드(ZD1)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2)로 구성된 반파정류부(3) 및 저항(R4)을 통해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접하되, 분배저항(R5,R6)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저항(R10)을 통해 다이얼 구동 IC(1)의 펄스출력단자(PO)에 베이스가 연결된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연결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여기서 미설명부호 R8, R11은 저항, C4는 콘덴서, L1,L2는 전화선로 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회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전화기의 핸드셀을 들게되면 훅스위치(HS)가 온되므로 다이얼 구동 IC(1)에는 전류 레귤레이티(CR1)와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한 전원전압(VDD)이 공급된다.
따라서 다이얼 구동 IC(1)의 펄스 출력단자(PO)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Q5, Q4)가 온되어 송,수화부(2)에도 전원전압(VDD)이 인가되므로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즉, 상대방과 통화를 하던중 다른쪽으로 전화를 돌리고자 프레쉬를 하거나 상대방이 통화중이어서 다시 선로를 끊었다가 연결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뉴콜 및 프레쉬키(SW1)를 눌러주므로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인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제너다이오드(ZD1)에 제너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다이오드(D1)를 통한 전압이 콘덴서(C2)에 충전되기 시작한다.
또한 분배저항(R5,R6)의 분배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어 전화기의 선로를 계속 점유하게 되어 훅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눌렀던 뉴콜 및 프레쉬 키(SW1)를 놓게되면 트랜지스터(Q1,Q2)가 오프되므로 콘덴서(C2)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저항(R4)을 통해 방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3)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5,Q4)는 저항(R4)과 콘덴서(C2)에 의한 시정수 만큼 오프되므로 선로가 끊기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 콘덴서(C2)에 충전된 전하가 모두 방전되면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Q4,Q5)가 온되어 원래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즉, 뉴콜 및 프레쉬 키(SWl)를 누르는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시간 동안(R4,C2)동안 선로가 끊었다가 다시 연결되므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송수화부(2)의 MFI(Multi Frequency Input)단자는 다이얼 구동 IC(1)에서 출력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론을 받아들이는 입력단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회로에 의하면 종래에는 다이얼 구동 IC에서 제공하는 프레쉬 타임만큼 전화기의 선로를 끊었다가 연결하는 것이어서 그 시간을 조절할수가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콘덴서(C2)와 저항(R4)값을 적절히 조절하여 각종 교환기의 기종에 알맞게 프레쉬 시간을 손쉽게 조절할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특히 프레쉬 기능이 내장된 고가의 전용 다이얼 구동 IC를 사용하지 않고도 선형소자를 이용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브리지 다이오드(BD)와 훅스의치(HS), 다이얼 구동 IC(1) 및 송, 수화부(2)와를 연결 구성하여서된 전화기 호출 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Q4)의 에미터에 연결된 상기 훅스위치(HS)의 일측단자는 병렬의 저항(R1)과 콘덴서(C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뉴콜 및 프레쉬키(SW1)의 일측단자에 공접함과 동시에 전류 레귤레이터(CR1)와 저항(R7)을 통해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티(Q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전류 레귤레이터(CR1)와 저항(R7)의 접속점은 제너다이오드(ZD2)와 콘덴서(C3)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다이얼 구동 IC(1)의 전원단자(VDD)에 연결하며, 뉴콜 및 프레쉬 키(SWl)의 타측단자는 저항(R2)을 통해 접지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과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접지하며, 분배저항(R5, R6)을 통해 접지된 저항(R3)과 제너다이오드(ZD1)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Q2)로 구성된 반파정류부(3) 및 저항(R4)을 통해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접하되, 분배저항(R5,R6)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저항(R10)을 통해 다이얼 구동 IC(1)의 펄스출력단자(PO)에 베이스가 연결된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연결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KR2019890015873U 1989-10-31 1989-10-31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KR940007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873U KR940007123Y1 (ko) 1989-10-31 1989-10-31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873U KR940007123Y1 (ko) 1989-10-31 1989-10-31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191U KR910008191U (ko) 1991-05-31
KR940007123Y1 true KR940007123Y1 (ko) 1994-10-13

Family

ID=1929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873U KR940007123Y1 (ko) 1989-10-31 1989-10-31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1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191U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267A (en) Telephone line interface and dialer circuitry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3662118A (en) Circuitry means to enable the automatic dialling of telephone numbers without lifting the handset
KR940007123Y1 (ko) 전화기의 호출(Call)회로
JPS61224548A (ja) 電話機
US5086456A (en) Dial unit detachably mounted on public telephone for equal access
JPH0666827B2 (ja) 電話機インタフェイス
US4167655A (en) Push button to rotary dial converter systems
US4901345A (en) Telephone set usable as an acoustic coupler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US5155764A (en) Telephone set with on-hook line seizure
US6345096B1 (en) Central office line interfacing circuit
WO1988008234A1 (en) Telephone subset circuit arrangement
US5317634A (en) Telephone subset arrangement
KR880002762Y1 (ko) 4선공통 10회로 인터폰
US5157720A (en) Dialler chip mode signal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KR850002018Y1 (ko)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US4582958A (en) Secretary telephone system
KR900002128Y1 (ko)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KR810000765Y1 (ko) 전화기의 푸시버튼식 다이얼 장치
KR890000181Y1 (ko) 전화기회로
KR890003187B1 (ko)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US5400398A (en) Electronic telephone set with low power hook switch
KR840001253B1 (ko) 전화기의 신호장치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