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128Y1 -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 Google Patents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128Y1
KR900002128Y1 KR2019860016733U KR860016733U KR900002128Y1 KR 900002128 Y1 KR900002128 Y1 KR 900002128Y1 KR 2019860016733 U KR2019860016733 U KR 2019860016733U KR 860016733 U KR860016733 U KR 860016733U KR 900002128 Y1 KR900002128 Y1 KR 900002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one
transistor
signa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894U (ko
Inventor
최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6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128Y1/ko
Publication of KR880008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각부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보드 2 :톤 다이어리
5 : 출력회로 6 : 제어회로
7 : 레벨 선택 회로 Q1, Q2: 트랜지스터
R1~R8: 저항 C1, C2: 콘덴서
SP : 스피커 S1:스위치
본 고안은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Beeperless Remote control)기능이 내장된 응답기기(Answering Machine)에 있어서,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도 DTMF방식 전화기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었던 비퍼레스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톤(Tone)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는 다이얼리(Dialer)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한 응답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응답기기는 전화가 걸려오면 미리 녹음시켜 놓았던 부재중 안내 메세지를 상대방에게 송출시킨 후 상대방의 통화내용을 녹음시키도록 하는 기기이며 이러한 응답기기에 내장되는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이란 외부에서 응답기기에 전화를 걸어 미리 약정된 톤(Tone)신호를 인가시킴으로써 부재중안내 송출메시지의 내용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녹음된 수신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인 것이다.
이같이 외부에서 송출메세지의 내용을 변경시키거나 수신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비피레스 미모트 콘트롤 기능은 DTMF방식의 톤(Tone)신호를 이용하여 그 기능이 제어되게 되므로 DTMF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만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이 가능하고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지역에서는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사용하고 싶어도 톤 방식이 아닌 펄스 방식전화기 사용 지역에 있다면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지역에서도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하여 DTMP톤과 똑같은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한 것으로써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 전화를 걸어 응답기기와 연결시킨후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톤 신호를 펄스방식 전화기의 송화기에 인가시켜 주어 응답기기의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도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DTMF톤 신호를 출력시키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트릭스형의 키보드(1)가 연결된 톤 다이얼러(2)의 톤 출력단자(TO)에는 저항(R1)과 콘덴서(C1) 및 가변저항(VR1)을 연결하고 가변저항(VR1)의 가변 탭 단자에는 저항(R2)과 콘덴서(2)를 통한 후 트랜지스커(Q1)의 베이스가 연결되게 출력회로(5)를 구성하고 이때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저항(R3)과 콘덴서(C3)를 통하여 베이스측과 연결함과 동시에 압전 스피커(SP) 및 저항(R4)을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밧데리(BATT)에 톤 다이얼리(2)의 전원단자(VDD)를 연결하는 동시에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압전 스피커(SP)를 연결 구성한다.
또다른 톤 다이얼리(2)의 뮤우트 단자(M)에는 충방전용 콘덴서(C4)와 다이오드(D1) 및 저항(R5)(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연결되게 제어회로(6)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는 저항(R7)을 통하여 베이스를 연결함과 동시에 스위치(S1)를 연결구성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를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서 레벨 선택용 스위치(S1)의 일측은 접지시키고 스위치(S1)와 타측은 저항(R8)을 통하여 접지되도록 레벨 선택회로(7)를 구성한다.
즉 본 고안은 키보드(1)의 키 누름에 따라 톤 신호와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키는 톤 다이얼리(2)와, 상기 톤 다이얼리(2)의 톤 신호를 제한하고 가변시킨 후 이를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출력회로(5)와, 상기 출력회로(5)의 톤 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압전스피커(SP)와, 상기 톤 다이얼러(2)의 뮤우트 신호롤 충방전되어 상기 출력회로(5)의 톤 신호 출력을 일정기간만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회로(6)와, 상기 압전스피커(SP)의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레벨 선택회로(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펄스방식 전화기를 사용하여 응답기기에 전화를 걸어 상호 연결시킨후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키보드(1)의 키중 하나라도 누르면 제 2 도의 (A)에서와 같은 입력 파형이 톤 다이얼러(2)에 인가되어 지며 톤 다이얼러(2)의 톤 출력단자(TO)와 뮤우트 단자(M)에는 키보드(1)의 키가 눌려진 후 일정시간(TO)이 지나면 각각 제 2 도의 (B)와 (C)같은 톤신호 및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톤 다이얼러(2)의 톤 출력단자(TO)에서 출력되는 제 2 도의 (B)에서와 같은 톤 신호는 출력 전압 다운용 저항(R1)과 커플링용 콘덴서(C1) 및 출력 조정용 가변저항(VR1)을 통한 후 너무 큰 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직접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입력 제한용 저항(R2)과 커플링 콘덴서(C2)를 통하여 제 2 도의 (D)에서와 같은 신호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제 2 도의 (D)와 같은 제한된 톤 신호는 트랜지스터(Q1)에서 증폭된 후 압전스피커(SP)에 인가되므로써 압전 스피커(SP)에서는 톤 신호가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연결된 저항(R4)은 부하저항이고 저항(R3)은 베이스 바이어스용 저항이며 콘덴서(C3)는 네가티브 궤환용 콘덴서이다.
한편 톤 다이얼러(2)에서는 제 2 도의 (B)에서와 같은 톤 신호와 뮤우트 단자(M)로 제 2 도의 (C)와 같은 하이레벨의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러한 뮤우트 신호는 시정수 조정용 저항(R5)과 시정수조정용 콘덴서(C4)를 통하여 충전이 되는데 저항(R5)에 인가되는 제 2 도의 (E)와 같은 충전 전압은 신호 전압 제어용 저항(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저항(R5)에 걸리는 전압은 제 2 도의 (E)에서와 같이 점점 감소하게 되므로 일정시간(Ton)이 지나면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어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므로써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Q2)는 제 2 도의 (F)에서와 같이 키보드(1)의 키를 눌러 톤 다이얼러(2)의 뮤우트 단자(M)로 제 2 도의 (C)에서와 같이 하이레벨이 출력된 후 일정기간(Ton)만 '턴온'되게 되며 트랜지스터(Q1)는 상기 트랜지스터(Q2)의 '턴온'기간에 '턴온'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Q2)가 제 2 도의 (F)에서와 같이 온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연결된 압전스피커(SP)에는 제 2 도의 (G)에서와 같은 톤 신호가 출력되게 되며 사용자가 키를 계속 누르고 있더라도 압전스피커(SP)에서 출력되는 톤 신호는 제 2 도의 (G)에서와 같이 일정기간(Ton)에만 출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키를 계속 누르고 있더라도 일정시간(Ton)만큼만 톤 신호가 나오게 되어 밧데리(BATT)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때 저항(R7)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바이어스용 저항이며 스위치(S1)는 압전스피커(SP)의 출력 레벨 선택 스위치로써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환시키면 출력이 최대가되고 반대쪽으로 절환시키면 저항(R8)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직접 연결되는 결과가 되어 그 만큼 출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전스피커(SP)에서의 톤 신호가 '오프'된 후 사용자가 키를 '오프'시키면 톤 다이얼러(2)의 톤 출력단자(TO)로는 출력이 나오지 않게 되고 뮤우트 단자(M)가 로우레벨로 떨어지게 되는데 뮤우트 단자(M)에서 로우 레벨이 출력되면 콘덴서(C4)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제 2 도의 (E)에서와 같이 급속하게 방전하게 되므로 최초의 상태가 된다.
이때 콘덴서(C4)의 방전 시간은 아주 짧기 때문에 또 다른 키를 곧 누르더라도 오동작없이 정상적인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키보드(1)의 키를 누르면 톤 다이얼러(2)의 톤 출력단자(TO)와 뮤우트단자(M)로 제 2 도의 (B)(C)에서와 같은 톤 신호 및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톤 신호는 출력회로(5)를 통한 후 압전스피커(SP)로 출력되게 되나 뮤우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회로(6)의 트랜지스커(Q2)가 일정기간(Ton)만 '턴온'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압전스피커(SP)로 출력되는 톤신호는 제 2 도의 (G)에서와 같이 일정기간만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키를 '오프'시키면 콘덴서(C4)의 전하가 급속히 방전하여 최초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키를 누르면 일정기간(Ton)톤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시키게 되고 압전스피커(SP)로 출력되는 톤 신호는 퍼스 방식 전화기의 송화기를 통하여 응답기기에 인가되게 되므로 응답기기는 톤 신호에 따라 송출메세지를 변경시키는 동작을 하거나 또는 수신된 메세지를 알려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펄스 방식 전화기로 응답기기에 전화를 걸어 연결시킨 후 키보드(1)의 키를 눌러 압전스피커(SP)로 출력되는 톤 신호를 송화기에 입력시킴으로써 응답기기를 콘트롤 할 수 있는 것으로 펄스 방식 전화기를 이용하여서도 비러페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키보드(1)의 키를 눌러 압전스피커(SP)로 눌러 키에 해당하는 톤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도 응답기기의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순히 비러레스 리모트 콘트롤러 뿐만 아니라 핸디 타입(Handy Type) DTMF 다이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갖춘 응답기기를 DTMF 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이 아닌 펄스 방식 전화기 사용 지역에서도 비퍼레스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일정 시간만 압전스피커가 동작하므로 밧데리 절약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키보드(1)의 키누름에 따라 톤 신호와 뮤우트 신호를 출력시키는 톤 다이얼러(2)와, 상기 톤 다이얼러(2)의 톤 신호를 제한하고 가변저항(VR1)으로 가변시킨 후 트랜지스터(Q1)로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출력회로(5)와, 상기 톤 다이얼러(2)의 뮤우트 신호를 충방전시킨 전압으로 트랜지스터(Q2)의 구동을 제어하여 출력회로(5)의 톤신호 출력을 일정기간만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회로(6)와, 상기 출력회로(5)의 톤신호 출력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압전스피커(SP)와, 상기 압전스피커(SP)의 출력레벨을 스위치(S1) 선택으로 제어하는 레벨 선택회로(7)로 구성된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KR2019860016733U 1986-10-31 1986-10-31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KR900002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733U KR900002128Y1 (ko) 1986-10-31 1986-10-31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733U KR900002128Y1 (ko) 1986-10-31 1986-10-31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94U KR880008894U (ko) 1988-06-30
KR900002128Y1 true KR900002128Y1 (ko) 1990-03-15

Family

ID=1925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733U KR900002128Y1 (ko) 1986-10-31 1986-10-31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1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94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9634A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US5596626A (en) Cordless telephone set with a battery and a battery charger and having a power supply line setting unit for establishing a power supply line for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or the battery charger
US4756021A (en) Telephone set
US3979563A (en) Communication systems of key telephone systems
CA1110373A (en) Hands-free answer arrangement on intercom for key telephone system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KR900002128Y1 (ko)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JPH0238039B2 (ko)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US4309573A (en) Loudspeaking substation circuit
US4508938A (en) Push-button dial for a telephone
US5442695A (en) Ringer circuit
JPS644160A (en) Facsimile equipment
KR19990020539U (ko) 자동 재다이얼 장치
KR900005154B1 (ko) 다기능 전화기에 있어서 에러번호 리다이얼 방법
KR920004615Y1 (ko) 다기능 인터폰
JP2610976B2 (ja) Dtmfダイヤラ
KR900005155B1 (ko) 스피커폰의 자동응답 방법
KR930000809Y1 (ko) 티브이시청 동시 전화 다이알링 예약 및 통화기능 시스템
JP2708787B2 (ja) 回線閉結用スイッチ回路
JPS5923663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KR960007512Y1 (ko)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KR950003319B1 (ko) 전화기의 자동 대기 해제 회로
KR920001540Y1 (ko)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KR0125317Y1 (ko) 통화로 자동연결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