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40Y1 -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40Y1
KR920001540Y1 KR2019890010244U KR890010244U KR920001540Y1 KR 920001540 Y1 KR920001540 Y1 KR 920001540Y1 KR 2019890010244 U KR2019890010244 U KR 2019890010244U KR 890010244 U KR890010244 U KR 890010244U KR 920001540 Y1 KR920001540 Y1 KR 920001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lephone
switch
ca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567U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박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일 filed Critical 박영일
Priority to KR2019890010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540Y1/ko
Publication of KR910003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0Telephone line hold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 2 도는 제 1 도의 개략적 상세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이용되는 모니터의 상세회로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이용되는 다이얼 발신부의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1R1~T20~R20: 전화회선 11~30 : 동작램프
33 : 톤링거용 집적회로 41~60 : 전화회선 시험용 스위치
61, 62 : 외부접속 스위치 63, 64 : 모니터 스위치
65, 66 : 통화스위치 67, 68 : 보류스위치
75 : 증폭회로 77, 78 : 브릿지 다이오드
87 : 다이얼회로
본 고안은 전화기의 전용회선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전화국선을 연결하여 통화, 모니터, 보류, 발신 등 PCM(Pulse Code Modulation) 전화기의 시험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전용회선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CM 전화기기의 전용회선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는 그의 크기가 대형이며,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그의 크기가 소형이면서 이동이 자유로운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전화회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회선결선부와, 상기의 다수의 회선의 선택상태를 검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신호검출회로와,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접속부와, 선택된 국선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한 모니터회로와, 소정의 다이얼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얼 발신회로와,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회로와, 걸려온 전화를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회로 및 소정의 국선을 선택하여 상기의 회로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인바, 참조번호 1은 다수의 전화회선(T1R1~T20~R20)을 접속시킬 수 있는 회선결선부로서, 이것은 회선의 접속, 분리가 용이하도록 케이블 콘넥터로 구성되는 바 T1T1, R1,~T2R2…T20R20이 두가닥씩 전화회선에 접속된다.
회선결선부(1)에 전화회선(T1R1또는 T20R20)이 연결된다면 이러한 상태는 신호검출회로(2)에서 감지된다.
그리고, 스위치부(3)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회로(4), 걸려온 전화를 보류시키는 보류회로(5), 회로결선부(1)에서 선택된 국선의 상태를 모니터하는 모니터회로(6), 소정의 다이얼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얼 발신회로(7) 및 외부기기를 연결시키는 외부접속부(8)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개략적 상세회로도를 도시한 것인바, 각각의 전화회선(T1R1~T20~R20)의 상태는 각각의 발광다이오드(11~30)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바이어스 저항(31)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32)에 인가된 뒤 톤링거용 IC(33)에 입력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스피터(34)를 구동하여 청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톤링거용 IC(33)는 저항(35)과 콘덴서(36)에 의한 소정의 발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도시한 스위치부(3)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위치(41~68)로 구성되는 바, 여기에서 스위치(41~60)는 각각의 국선(T1R1~T20~R20)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스위치(61,62)는 콘넥터(69,70)에 외부기기를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 온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63,64)는 스위치(41~60)에 의해 선택된 전화회선을 모니터하기 위한 모니터 스위치이다. 이들 모니터 스위치(63,64)가 동작할 경우, 모니터용신호는 커플링콘덴서(71~74)를 경유하며 증폭회로(75)에 의해 증폭된뒤 스피커(65)를 통해 출력된다.
스위치(65,66)는 스위치(41~60)에 의해 선택된 전화회선을 통해 가입자와 통화하기 위한 통화스위치로서, 스위치(65,66)가 온될 경우 전화회선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브릿지 다이오드(77,78)를 경유하여 통화코일(79,80)에 의해 시험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바, 여기에서 시험자의 송수화기는 잭(81,8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너다이오드(83,94)는 통화음성을 통화범위 내에서 송수화기를 작동케함으로써 음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발신시에는 통화스위치(65,66)와 선택스위치(85,86)의 동작에 의한 다이얼회로(87)가 연결되어 키이패드(88)에 의한 전화번호의 입력시 소정의 발진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걸려온 전화를 보류시킬 경우 통화 보류스위치(67,68)를 온시키면 저항(89,90)으로 루프를 형성시킴으로써 보류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 2 도중 미설명부호 91은 전자식(MFC) 또는 기계식 (DP) 선택버튼이고, 92는 전원스위치이며, 93은 전원공급용 밧테리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시험하기전에 제 2 도에 도시한 회로에서 시험자는 잭(81 또는 82)에 시험용 송, 수화기를 연결한뒤, 전원스위치(92)를 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험자가 전화회선(T1R1)을 시험하고자 할경우, 선택위치(41)를 누른다. 이때 전화회선이 통화중일 경우, 발광다이오드(11)가 점등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32)가 턴온되어 톤링거용 IC(33)에는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바, 이때 톤링거용 IC(33)는 그의 출력단(out)을 통해 저항(35)과 콘덴서(36)에 의한 소정의 발진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76)를 구동시킨다.
그런후, 외부기기스위치(61)를 누를 경우에는 제 3 자와의 통화가 가능하며, 모니터스위치(53)를 누를 경우에는 스위치(41)를 통과한 전화신호(T1R1)는 커플링 콘덴서(71,72)를 경유하여 증폭기(75)에 입력된다.
제 3 도는 모니터회로(6)의 상세도인 바, 제 2 도의 커플링 콘덴서(71,72)를 통화한 전화신호는 트랜스포머(100)의 1차측코일(LPA)에 각각 인가된뒤 그의 2차측코일(LPA)에서 전압이 유기되어 증폭용 IC(101A)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76)를 통해 모니터용으로 출력된다.
한편, 통화스위치(65)를 누를 경우, 스위치(41)를 통과한 전화신호(T1R1)는 브릿지다이오드(77)에 의해 정류된 뒤 정전압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일정전압으로 유지된 뒤 통화코일(79)을 통해 잭(81)에 꽂혀 있는 시험자의 송수화기에 연결되어 시험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류스위치(67)를 누르게 되면 저항(89)에 의한 페루프가 형성되므로 스위치(41)를 통과한 전화신호(T1R1)는 보류될 수 있다.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다이얼발신회로(7)의 상세회로도인바, 다이얼집적회로(110)은 수정진동자(111)의 고유주파수(약 3.57MHZ) 발생으로 구동되어 기계식(DP), 전자식(MFC) 모드스위치(91)를 MFC로 할 경우 그의 톤출력(T/O)이 트랜지스터(112)의 베이스에 입력된 뒤 출력단자(P1,P2)를 통해 스위치(85)에 인가되도록 하는바, 다이얼 발신시에 시험자가 스위치(85)를 접점에 위치시키면, 키이패드(88)에서 누르는 숫자에 해당하는 고유복합신호가 스위치(85)를 통해 시험자의 송,수화기에 전달됨과 동시에 브릿지 다이오드(77)를 통해 스위치(65)와 스위치(41)를 경유하여 가입자에게 전달될 수가 있다.
한편 모드스위치(91)를 기계식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다이얼 집적회로(110)의 다이얼 펄스단자(D/P)에서 발생된 신호는 트랜지스터(113)과 (114)를 거쳐 트랜지스터(115)를 온/오프시킴으로써 키이패드(88)에서 누르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속펄스를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77)에 송출하게 되어 상태편 전화기를 호출할 수가 있게 된다.
그밖의 전화선로(T2R2~T20~R20)의 시험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PCM전화기기에 있어서 회선접속이 용이하며, 어느 장소에서나 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통화, 보류, 모니터 발신다이얼 및 외부기기의 연결이 매우 용이한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전화회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회선결선부와, 상기 다수의 회선의 선택상태를 검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신호검출회로와,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접속부와, 선택된 국선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한 모니터 회로와, 소정의 다이얼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얼 발신회로와, 상기의 다이얼 발신신호의 발생시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회로와, 걸려온 전화를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회로 및 소정의 국선을 선택하여 상기의 회로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KR2019890010244U 1989-07-13 1989-07-13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KR920001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244U KR920001540Y1 (ko) 1989-07-13 1989-07-13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244U KR920001540Y1 (ko) 1989-07-13 1989-07-13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567U KR910003567U (ko) 1991-02-27
KR920001540Y1 true KR920001540Y1 (ko) 1992-03-05

Family

ID=1928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244U KR920001540Y1 (ko) 1989-07-13 1989-07-13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5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567U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2602A (en) Telephone set with transducer/ringer
KR920001540Y1 (ko)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KR880004673A (ko) 코드레스전화장치
US5206898A (en) Transmission control unit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KR950010378Y1 (ko) 키폰 전화기의 외부 경보장치 접속회로
KR890003187B1 (ko)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960010574Y1 (ko) 음소거 기능을 가진 전화기회로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960001113B1 (ko) 유선전화기의 훅크스위치 회로
KR940005529B1 (ko) 브란치 전화회선의 분기회로
JPH036056Y2 (ko)
KR920004373B1 (ko) 자동차용 전화기
KR840002905Y1 (ko) Tv에 내장한 리모콘 전화통화 장치
KR980013183A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KR910003492B1 (ko) 자동 복구 회로
KR900011242Y1 (ko) 전화기가 내장된 오디오의 전원 공급회로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KR920009335B1 (ko) 전화기용 발신처 표시장치
KR850000820Y1 (ko)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KR800000736Y1 (ko)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증폭장치
KR890004366Y1 (ko)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