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20Y1 -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20Y1
KR850000820Y1 KR2019830008367U KR830008367U KR850000820Y1 KR 850000820 Y1 KR850000820 Y1 KR 850000820Y1 KR 2019830008367 U KR2019830008367 U KR 2019830008367U KR 830008367 U KR830008367 U KR 830008367U KR 850000820 Y1 KR850000820 Y1 KR 850000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ial
bridge diode
lin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 하인츠 디터케루트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 하인츠 디터케루트,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8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I, DS : 다이얼 접점 D1, D2, D3: 브리지 다이오드
S1: 온 후크 스위치 RY1, RY2: 단안정계전기
S2: 스위치 20 : 전화기
30 : 스피커 구동회로 a, b, c, d, e, f, G, H, I, J : 접점
본 고안은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수화기를 전화기에 올려 놓은채 온 후크 스위치를 누르면 스피커를 통해서 다이얼 신호를 들으면서 다이얼 할 수 있는 온 후크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와같은 장치가 실장된 별도의 전화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 전화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는 온 후크 다이얼 장치가 전화기 내부에 실장되어 있었으므로 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전화기를 구입하여야 함은 물론,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관계로 가격이 고가일뿐 아니라 장치 또한 매우 복잡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존 전화기에 그대로 온 후크 다이얼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 국선 선로(L1)(L2) 양단에는 각각 다이얼 접점(DI)(DS)을 통하여 브리지 다이오드(D1)의 접점(a)에 선로(L1)를 연결하고, 그 브리지다이오드(D1)의 접점(b)는 온 후크 스위치(S1)을 통하여 선로(L2)와 연결하며, 또한 브리지다이오드(D1)의 접점(C)(D)간에 단안정 계전기(RY1)를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다이얼 접점(DI)에는 브리지다이오드(D2)의 접점(e)을 연결하고 그 브리지다이오드(D2)의 접점(g)(b)간에는 단안정 계전기(RY2)를 연결하며, 또한 그 다이오드(D2)의 접점(e)(f)간에는 단안정계전기 접점(RY)의 접점(가)을 연결하는 한편 다른 접점(나)은, 브리지다이도드(D3), 트랜스(T), 제너다이오드(ZD), 전해콘덴서(C), 가변저항(VR), 증폭기(Amp), 콘덴서(C1) 및 스피카(SP)로 구성된 스피커 구동회로(30)의 브리지다이오드(D3)의 접점(J)과 연결하였으며, 브리지다이오드(D3)의 접점(I)은 선로(L2)에 연결시켰다. 한편, 브리지다이오드(D2)의 접점(f)과 선로(L2)간에는 복귀 스위치(S2)를 연결하는 동시에, 단자 (P)(P')를 통하여 전화기(20)를 접속하여 구성시킨 것이다.
이하,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은 후크 다이얼링 장치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온 후크 다이얼을 하기 위해서 온 후크 스위치(S1)를 누르면 선로(L1)(L2)에 걸린 전압은 다이얼 접점(DI), 브리지다이오드(D1)의 다이오드(3), 단안정 계전기(RY1), 다이오드(6) 그리고 온 후크 스위치(S1)를 통하여 선로(L2)로 전달되어 루우프가 형성되는 동시에 단안정 계전기(RY1)에 전류가 흘러 이와 연동되는 단안정 계전기 접점(RY)이 접점(가)에서 접점(나)로 전환되고, 아울러 선로(L1)(L2)를 통하여 들어오는 발신음의 교류성분 신호는 다이얼 접점(DI), 단안정 계전기 접점(RY)의 접점(나)을 통하여 브리지다이오드(D3)의 다이오드(14), 트랜스(T), 제너다이오드(ZD) 다이오드(16)를 통하여 선로(L2)로 전류 루우프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스(T)에 인가된 교류신호는 가변저항(VR)을 통하여 증폭기(Amp)에 증폭되어 콘덴서(C)를 통하여 스피커(SP)로 발신음을 듣게 된다. 이때 스피커(SP)의 발신음은 가변저항(VR)에 의하여 조정되며, 제너다이오드(ZD)에도 전류가 흘러서 일정한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그후 사용자가 발신음을 확인하고, 다이얼을 돌리게 되면 다이얼 접점(DS)은 온 되면서 다이얼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만큼 다이얼 접점(DI)이 온, 오프하면서 다이얼 펄스를 송출시킨다. 이와같이 다이얼 동작이 끝나면 다이얼 접점(DS)은 복귀되고 선로 신호가 스피커(SP)에 나타나 이 신호를 사용자가 듣고, 상대방과 접속되었는가 또는 통화중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만일, 상대방이 통화중이면 스위치(S2)를 눌러서 루우프 전류를 선로(L1), 다이얼 접점(DI), 브리지다이오드(D2)의 다이오드(9), 단안정 계전기(RY2), 다이오드(12), 스위치(S2)를 통하여 선로(L2)로 흘러 보내게 하는 동시에 단안정 계전기(RY2)에는 전류가 흘러 이아 연동되는 단안정 계전기 접점(RY)이 접점(나)에서 접점(가)으로 복귀되면서, 루우프가 끊어져서 원상태로 선로가 복귀된다.
한편, 상대방이 링 신호를 듣고 응답을 하면 사용자는 전화기(20)의 송수화기를 든다. 이때, 송수화기를 돌면 루우프 전류는 선로(L1), 다이얼 접점(DI), 브리지다이오드(D2)의 다이오드(9), 단안정 계전기(RY2), 다이오드(12), 전화기(20)을 통하여 선로(L2)로 전류가 흘러서 단안정 계전기 접점(RY)은 접점(나)에서 접점(가)로 복귀되어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국선선로와 전화기 사이에 간단히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온 후크 다이얼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온 후크 다이얼 장치를 내장한 별도의 전화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온 후크 다이얼링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전화기 선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그대로 사용하여 모든 장치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없으며, 종래의 장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장치 또한 간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실용성이 높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송수화기를 전화기에 올려 놓은채 온 후크 스위치를 누르면 스피커를 통하여 다이얼 신호를 들으면서 다이얼할 수 있는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에 있어서, 전화기 국선 선로(L1)(L2)에 다이얼 접점(DI)(DS)을 통하여 브리지다이오드(D1)의 접점(a)(b)을 연결하되, 접점(b)과 선로(L2) 사이에는 온 후크 스위치(S1)를 접속하고 또한 브리지다이오드(D1)의 접점(c)(d)간에는 단안정 계전기(RY1)를 접속시키는 한편, 다이얼 접점(DI)에는 브리지다이오드(D2)의 접점(e)을 연결하고, 그 브리지다이오드(D2)의 접점(g)(h)간에는 단안정 계전기(RY2)을 연결하며, 또한 접점(e)(f)간에는 단안정 계전기 접점(RY)의 접점(가)를 연결시키되, 다른 접점(나)는 스피커 구동회로(30)의 브리지다이오드(D3)의 접점(J)에 연결시키고, 브리지다이오드(D3)의 점접(I)는 선로(L2)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브리지다이오드(D2)의 점접(f)와 선로 (L2)간에는 복귀 스위치 접점(S2)을 접속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 후크 다이얼 장치.
KR2019830008367U 1983-09-28 1983-09-28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KR850000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367U KR850000820Y1 (ko) 1983-09-28 1983-09-28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367U KR850000820Y1 (ko) 1983-09-28 1983-09-28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820Y1 true KR850000820Y1 (ko) 1985-05-04

Family

ID=1923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367U KR850000820Y1 (ko) 1983-09-28 1983-09-28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8861A (en) Telephone intercom system
US4408102A (en) Two-wire exchange telephone system
KR850000820Y1 (ko)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JPS60178758A (ja) 電話機
JP2738481B2 (ja) ナースコール装置
KR850002664Y1 (ko) 외부전원 공급장치가 필요없는 온 후크 다이얼막 전화장치
KR890000181Y1 (ko) 전화기회로
KR800000736Y1 (ko)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증폭장치
JPS5991790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20001540Y1 (ko)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KR850002017Y1 (ko) 비데오 전화기의 자기 점검장치
KR840002905Y1 (ko) Tv에 내장한 리모콘 전화통화 장치
KR820002405Y1 (ko) 다목적 전화기의 스피커 활용을 최대로 한 회로
JP2530254Y2 (ja) 電話機の表示回路
JPH0733479Y2 (ja) ピンク電話機切換装置
KR960003214A (ko) 브렌치 접속된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응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62142444A (ja) 電話機
JPS5850546U (ja) メロデイ電話機
JPH0230635B2 (ko)
JPH0327160U (ko)
JPH0444787U (ko)
JPS6256706B2 (ko)
JPS6077561A (ja) 受話拡声付き電話機
JPS551790A (en) Automatic response unit for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JPS61172468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