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018Y1 -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018Y1
KR850002018Y1 KR2019830007099U KR830007099U KR850002018Y1 KR 850002018 Y1 KR850002018 Y1 KR 850002018Y1 KR 2019830007099 U KR2019830007099 U KR 2019830007099U KR 830007099 U KR830007099 U KR 830007099U KR 850002018 Y1 KR850002018 Y1 KR 850002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se set
circuit
re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255U (ko
Inventor
전헌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7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018Y1/ko
Publication of KR850002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제1도는 본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무선전화기의 외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핸드셋트 B : 베이스셋트
1 : 핸드셋트(1)의 충전회로 2 : 베이스 셋트(2)의 구동회로
3 : 톤 디보딩 및 표시회로 4 : 교환기
P : 전원회로 BSI : 벨 신호 입력회로
LED1 : 충전표시등 NE567 : 톤 디코더
LED2 : 사용상태 표시등 RY1 : 릴레이
NB : 충전용 밧데리 a, b, c : 릴레이(RY1)의 접점
TL : 전화선
본 고안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여러대의 무선 전화기(코드레스 전화기)에 발생할 수 있는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근거리에서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끼리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이스 셋트 에 배선되어 있는 일반적인 선택스위치를 사용 또는 비사용 상태로 절환하므로써 타인의 핸드 셋트로부터 도래하는 벨 신호를 차단하여 왔으나, 이러한 선택스위치는 납땜이 불안정할때 고장발생율이 높고, 사용시 인위적으로 일일이 절환동작을 실시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베이스 셋트에 배선되어 있는 상호간섭 방지용 선택스위치를 트랜지스터에 의한 스위칭 회로로 대치하므로써, 전체회로를 간단하게 하고 작업공정을 간소화하며 기기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된 무선전화기의 상호간섭 방지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겅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핸드 셋트(A) 내의 충전회로부(1)와 베이스셋트(B) 내의 구동회로부(2)에 각각 전원단자()()를 연결하고, 베이스셋트(B)의 전원단자()()에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저항(R1)(R2)을 연결하고 저항(R1) 양단에 병렬로 충전 표시등(LED1)을 연결하며 벨신호 입력회로(BSI)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 측에는 콘덴서(C1) 및 통상적인 톤 디코더(NE567), 릴레이(RY1), 다이오드(D1), 저항(R3)에 직열로 연결한 사용 상태 표시등(LED2)으로 구성되는 톤 디코딩 및 표시회로 (3)를 각각 연결한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 4는 교환기, P는 전원회로, a, b, c는 릴레이(RY1)의 접점, NB는 충전용 밧데리, TL은 전화선, ③, ⑧은 톤 디코더(NE567)의 입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핸드 셋트(A)와 베이스 셋트(B)로 구성되는데, 이중 베이스 셋트(B)에는 AC전원과 전화선(TL)이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핸드 셋트(A)를 베이스 셋트(B)에서 분리시켜서 베이스 셋트(B)로 부터 무선전화기 전파관리법에서 정해진 거리 이내의 장소에서 전화를 걸고자 하는 번호를 다이얼링하게 되면 다이얼링 신호는 무선으로 베이스셋트(B)의 벨 신호 입력회로(BSI)에 입력된다.
벨 신호 입력회로(BSI)는 수신된 다이얼링 신호를 톤 디코더(NE567)에 인가하여 일반적인 유선전화의 다이얼링 펄스로 바꾸고, 다이얼링 펄스 변환신호는 유선의 전화선(TL)을 통해서 전화국이나 사설교환국의 교환기(4)에 전달되므로써 상대방과의 전화교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라인의 무선전화기의 핸드 셋트가 무선통달거리내에 있고, 타인 역시 다른곳에 전화를 거는 상태라면 이로 인해서 본의 아니게 본 베이스 셋트(B)가 동작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는 폐단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전에는 일반적인 선택스위치를 온-오프시켜서 상기한상호 간섭현상의 폐단을 방지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트랜지스터(TR1)(TR2) 및 기타 회로소자를 사용하여 수동적인절환조작없이도 회로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본인이 사용하지 않을때 타인의 다이얼링신호에 의하여 본인의 무선전화기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였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본 고안은 핸드 셋트(A)의 충전회로부(1)와 베이스 셋트(B)의 구동회로부(2)로 구분되며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외관은 제2도에서와 같이 베이스 셋트(B)와 핸드셋트(A)가 분리자재한 형태로 되어 있다.
무선전화기의 사용이 종료되어 베이스 셋트(B)위에 핸드셋트(A)가 올려놓여지면 제1도의 베이스 셋트(B) 구동회로부(2)의 전원단자()()에는 핸드 셋트(A) 충전회로부(1)의 전원단자()()가 접속되면서 구동 회로부(2)의 B+전압은 저항(R1)(R2)을 통해서 핸드셋트(A)의 충전회로(1)에 공급되고, 한편으로는 충전이점등(LED1)에도 B+전압이 공급되므로 충전표시등(LED1)이 점등되어 충전 상태가 외부에 표시되다.
여기에서 충전과 충전표시동작은 전원단자()()의 접속으로 인해 구동회로부(2)의 B+전원이 충전회로부(1)의 충전용 밧데리(NB)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부(2)의 접지점에 인가되기 때문이다.
베이스 셋트(B)의 구동회로부(2)에 있는 전원단자 B+를 통하여 핸드셋트(A)에 내장된 충전용 밧데리(NB)에 전류가 흘러서 충전이 개시됨에 따라 이와 동시에 충전전류에 의해서 트랜지스터(TR1)(TR2)가 동작하게되는데, 저항(R1)(R2)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은 전압강하에 의해 B+전원 전압보다 훨씬 작은 전압이 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턴온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TR1)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양()의 바이어스가 형성되어 트랜지스터(TR2) 역시 턴-온 상태가 된다.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되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는 수십오옴의 작은 저항값이 되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가 접지레벨로 됨에 따라 콘덴서(C1)의 충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톤 디코더(NE567)의 입력단자(3)가 거의 접지상태로 되므로 타인의 핸드 셋트로부터 불필요하게 유입되는 다이얼링 신호는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에미터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입력단자(③)가 로우레벨인 경우에 톤 디코더(NE567)는 출력단자(⑧)로 하이레벨의 신호를 송출하도록된 일반적인 톤 디코더이기 때문에 베이스셋트(B)의 전화펄스 송신용으로 쓰이는 릴레이(RY1)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통달거리 내에서 사용중에 있는 라인의 핸드 셋트로부터의 다이얼링 신호 또는 키이 신호(KEY BUTTON SIGNAL)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어, 타인의 무선전화기에 의해 본 베이스 셋트가 동작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무선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핸드 셋트(A)를 베이스 셋트(B)로 부터 집어올려서 무선통달 거리내에서 있는 임의의 장소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핸드 셋트(A)의 충전회로부(1)에 충전전류가 흐르지 않게되고 베이스 셋트(B)의 구동회로부(2)에 있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이 접지점을 잃게되므로 트랜지스터(TR1)에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로부터 트랜지스터(TR2)에도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는 무한대의 저항치가 되어 트랜지스터(TR2)역시 오프상태로 되는 한편, 충전표시등(LED1)도 소등되며, 무선전화기의 모든회로는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가 개방상태로 됨에 따라 벨신호입력회로(BSI)의 출력이 콘덴서(C1)를 통하여 톤디코더(NE567)로 입력될 수 있는 정상 사용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사용자가 핸드 셋트(A)의 스위치를 토크(TALK)로 전환시키고 다이얼링을 하거나 키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 신호는 베이스 셋트(B)로 송신된다. 베이스 셋트(B)의 벨신호 입력회로(BSI)는 다이얼링 신호를 수신하여 톤 디코더(N567)의 ③번 단자에 하이레벨로 입력시키고, 톤 디코더(NE567)의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 하여 로우레벨로 출력시켜 이를 릴레이(RY1) 및 사용상태 표시등(LED2)에 인가한다. 릴레이(RY1)에서는 디코딩된 신호에 따라 접점(b)(c)의 접속상태를 절환하므로써 전화선(TL)에 일반적인 펄스 신호를 전달하며, 사용상태 표시등(LED2)은 디코딩된 신호에 의해서 점등되어 무선전화기가 사용중에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발생되는 일반적인 펄스신호는 전화선(TL)을 통해서 전화국 또는 사설교환국의 교환기(4)에 인가되어 통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호출하는 신호로써 사용된다. 만일, 핸드 셋트(A)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일2주파수를 사용하는 라인이 본 베이스 셋트(B)에 다이얼링 신호를 보내게되면 이때에도 사용상태 표시등(LED2)이 점등되는데, 라인의 전화사용을 금지하기 위해서는 돌고 있는 핸드 셋트(A)를 베이스 셋트(B)에 올려놓아야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본 무선전화기의 작동은 중지된다.
이와 달리, 타인이 본 무선전화기로 통화하는 내용을 중간에서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핸드 셋트(A)를 들고서 스위치를 토크(TALK)에 위치시키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 셋트(A)의 비사용시 톤디코더(NE567)의 입력단자(③)을 접지시키므로써 라인의 핸드 셋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선택스위치와 비교하여 볼때, 전체회로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원가와 작업공정을 감소시키고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핸드 셋트(A)의 충전회로부(1)와 베이스 셋트(B)의 구동회로부(2)에 각각 전원단자()()를 연결하고, 베이스셋트(B)의 전원단자()()에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저항(R1)(R2)을 연결하고 저항(R1) 양단에 병렬로 충전 표시등(LED1)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벨신호 입력회로(BSI)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측에는 콘덴서(C1) 및 통상적인 톤 디코더(NE567), 릴레이(RY1), 다이오드(D1), 저항(R3)에 직열 연결한 사용상태 표시등(LED2)으로 구성되는 톤 디코딩 및 표시회로(3)를 각각 연결하여서 된 무선전화기의 상호 간섭방지회로.
KR2019830007099U 1983-08-12 1983-08-12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KR850002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099U KR850002018Y1 (ko) 1983-08-12 1983-08-12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099U KR850002018Y1 (ko) 1983-08-12 1983-08-12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55U KR850002255U (ko) 1985-04-22
KR850002018Y1 true KR850002018Y1 (ko) 1985-09-17

Family

ID=7015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099U KR850002018Y1 (ko) 1983-08-12 1983-08-12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0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55U (ko) 198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029A (en)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WO1989006463A1 (en) Multi-use telephone extension control circuit and device
KR940003841B1 (ko) 전화기
US5014302A (en) Telephone
US4060700A (en) Two-party telephone system
US4167655A (en) Push button to rotary dial converter systems
KR850002018Y1 (ko) 무선 전화기의 상호 간섭 방지회로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JPS5772452A (en) Telephone set with speaker receiving function
US5317634A (en) Telephone subset arrangement
KR890002561Y1 (ko) 헨드세트를 내려놓아도 전화가 오는 회로
US4002857A (en) Telephone circuit to eliminate use of a hold button
JPH0326712Y2 (ko)
KR870001638B1 (ko) 전화기의 후크 프레시(Hook Flash)회로
JPS6366109B2 (ko)
KR890000181Y1 (ko) 전화기회로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850002664Y1 (ko) 외부전원 공급장치가 필요없는 온 후크 다이얼막 전화장치
JPS6312608Y2 (ko)
KR880002762Y1 (ko) 4선공통 10회로 인터폰
KR0121612Y1 (ko) 원터치형 후크 스위치를 구비한 전화기
SU1429334A1 (ru) Телефонный аппарат с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м звонком
KR860002227Y1 (ko)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KR900003420Y1 (ko) 다용도 정비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