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227Y1 -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 Google Patents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227Y1
KR860002227Y1 KR2019840008817U KR840008817U KR860002227Y1 KR 860002227 Y1 KR860002227 Y1 KR 860002227Y1 KR 2019840008817 U KR2019840008817 U KR 2019840008817U KR 840008817 U KR840008817 U KR 840008817U KR 860002227 Y1 KR860002227 Y1 KR 860002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nand gate
resistor
connection poi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398U (ko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권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권혁조 filed Critical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8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227Y1/ko
Publication of KR860004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1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 H04M1/715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extensions p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4Transis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0Log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대기음악 송출회로의 세부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점(1,2,3,4,5)에서의 타임 챠트.
제3도는 제1도의 주파수 판별회로의 내부 구성도.
본 고안은 하나의 곡선에 다수의 내선 전화기를 연결 사용하는 홈 키폰에 관한 것으로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의 상호 통화시,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을 찾게 될 경우와 한 내선 가입자가 다른 내선 가입자에게 통화로를 전환할 경우에 상대방 착신 가입자에게 대기 하도록 한다. 이때, 대기하는 시간이 길면 상당히 지루한 감을 느끼게 되므로, 상대방 발신 가입자에게 즐거운 멜로디가 흘려 나올수 있도록 고안한 홈키폰의 대기 음악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목적의 전화기가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내부 장치에 기계식의 릴레이를 다수 사용하였으므로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전원의 소모도 많고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전자식으로는 주제어신호로 전압의 변동을 이용하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디지탈 신호를 사용함으로서 주파수를 제어신호로 하는 장치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았다. 즉,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여 주파수를 제어신호로 사용하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대기음악 송출회로도의 세부 회로이다. 먼저 착신 가입자가 내선 전화기의 보류(대기) 버튼을 누르면 보류를 하기 위한 제어신호 주파수 fb가 국선포착(통화)버튼을 누르면 보류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 주파수 fc가 내선 전화기로부터 주파수 판별 회로(1)에 입력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선 전화기로 부터 제어신호 주파수 fb가 콘덴서(C1)를 통해 주파수 판별 회로(1)에 입력되면, 평상시 주파수 판별 회로(1)의 출력단 FB에 나타난 "하이"(High)신호가 제2도의 1에 나타난 파형과 같이 입력된 순간만 "로우(LOW)"로 되어 RS플립플록의 낸드 게이트(G1)입력단 a에 인가된다. 또한 주파수 판별 회로(1)의 출력단 FC에는 "하이"신호가 나타난다. 여기서 낸드 게이트(G2)는 CMOS게이트로서 일반적으로 CMOS게이트는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으므로 입력이 오픈(OPEN)된 상태에서는 CMOS게이트(G2)의 입력(d)이 "하이"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D4)를 역 방향으로 구성한 것은 저항(R4)을 통하여 입력된 전원 전압(+V)이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콘덴서(C2)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CMOS낸드 게이트(G2)의 출력 f가 하이 상태이므로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콘덴서(C2)는 충전되어 있으며 접속점 5는 하이 상태로 되어 다이오드(D3)가 오프되어 있고 또한, Fc가 하이일때는 다이오드(D4)가 오프가 되고 따라서 CMOS낸드 게이트(G2)의 입력(d)은 오픈 상태와 같이 되어 하이로 인식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낸드 게이트(G1)의 출력단 e에는 "하이"신호가 낸드 게이트(G2)의 출력단 f에는 "로우"신호가 각각 나타난다. 낸드 게이트(G1)출력단 e의 "하이"신호는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ON)시키므로 전원(+V)전류는 저항(R1)을 거쳐 계전기(LB)를 동작시켜, 국선의 팁(T), 링(R)단자의 계전기접점(lb1,lb2)가 평상시 점(g,h)에 접속되어 있던 것을 점(i,j)에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팁(T), 링(R)에 연결된 상대방 발신 가입자 회로망은 통화 회로망과 분리되고, 멜로디 회로(2)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동시에 낸드 게이트(G1)출력단 e의 "하이"신호는 저항(R6)을 거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키므로써 전원(+V)전류는 멜로디 회로(2)를 동작시켜 멜로디 신호를 변성기(T1)의 1차 코일에 송출하며, 이 멜로디 신호는 변성기(T1)의 2차 코일에 유도된다. 이때 2차 코일에 유도된 멜로디 신호는 정합용 저항(R7,R8)을 거쳐 팁(T), 링(R)단자를 통해 곡선의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되어 멜로디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제3도는 주파수 판별회로(1)의 내부 구성도로서 2개의 톤디코더 IC(7,8 : 내쇼날 사 LM 567)와 저항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단자에 규정 주파수가 압력될시에만, 출력이 "로우"로 된다. 여기서 저항(R4),(R5)은 각각 풀업(FULL UP)저항으로서 출력단자 FB, FC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만일, 상대방 발신 가입자가 대기하는 도중에 내선의 착신 가입자가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선 전화기의 국선 포착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때 보류(대기)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 주파수(fc)가 내선 전화기로 부터 콘덴서(C1)를 거쳐 주파수 판별회로(1)에 입력될 경우 평상시 주파수 판별회로(1)의 출력단(FC)에 나타난 "하이"신호가 "로우"로되어 플립플롭의 낸드 게이트(G2) 입력단 d에 인가된다. 또한 주파수 판별 회로의 출력단 FB에는 "하이"신호가 나타나며 이 "하이"신호가 낸드 게이트(G1)입력단 a에 인가된다. 따라서 낸드 게이트(G2)의 출력단 f에는 "하이"신호가, 낸드 게이트(G1)의 출력단 e에는 "로우"신호가 나타난다. 낸드 게이트(G1)출력단 e의 "로우"신호는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OFF)되어 계전기(LB)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국선의 팁(T), 링(R)단자에 있는 계전기(LB)의 접점(lb1,lb2)는 보류(대기)시 점(i,j)에 접속되어 있던 것을 떨어지도록 하여 점(g,h)에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낸드 게이트(G1)출력단 e의 "로우"신호는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므로 멜로디 회로(2)의 동작을 차단하여 멜로디 신호의 발생을 막아준다.
따라서 국선의 발신가입자는 멜로디를 들을 수 없게 되고 통화 가능상태의 통화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보류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멜로디가 계속 흘러 나오게 되는데 만일, 내선의 착신 가입자가 내선 전화기의 핸드셀을 내려 놓은 채로 다른 업무, 혹은 망각으로 인해 오랜시간 동안 통화를 하지 않을 경우 즉, 멜로디음에 의하여 국선을 장시간 점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보류가 해제되어 멜로디가 국선의 발신 가입자에게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상태에서는 낸드 게이트(G2)의 출력단 f에는 "하이"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 "하이"신호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2)를 통해 콘덴서(C2)를 충전시킨다. 즉, 콘덴서(C2)는 "하이"전압으로 충전되어 있다가 상기에서와 같이 제어신호 주파수 fb가 들어오면 낸드 게이트(G2)의 출력단 f는 "로우"로 되어 콘덴서(C2)의 충전 전압은 방전저항(R3)을 통하여 방전하기 시작한다. 콘덴서(C2)의 방전에 따라 낸드 게이트(G2)의 입력단 d의 전위는 제2도에 굵은 점선으로 도시한 파형과 같이 서서히 감소하게 되며 일정시간(T초)후에 낸드 게이트(G2)의 입력단의 전위가 "로우"로 되어 낸드 게이트(G2)의 출력단 f는 다시 "하이"로 되고 낸드 게이트(G1)의 출력단 e는 "로우"로 된다. 이때의 시간(T초)은 콘덴서(C2), 저항(R3)에 의해 결정된 시정수에 따른다. 낸드 게이트(G1)의 출력단 e가 "로우"로 되면, 제어신호 주파수 fc가 입력되었을 때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보류상태가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대기시에 국선의 발신 가입자에게 즐거운 멜로디를 들려줌으로서 지루한 감을 덜어주고, 일정한 보류(대기)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멜로디가 끊어져서 국선을 장시간 점유하는 것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지의 주파수 판별회로(1)의 출력단(FB)은 R-S플립플롭의 낸드 게이트(G1) 입력단 a에 연결하고, 접속점(6)과 출력단(FB)사이에 저항(R5)을 연결하고, 출력단(FC)과 낸드 게이트(G2)입력단 d사이에 다이오드(D4)를 연결하고, 접속점(6)과 출력단(FC)사이에 저항(R4)을 연결하고, 낸드 게이트(G1)의 출력단 접속점(3)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저항(R2)을 연결하고, 접속점(3)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 저항(R6)을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멜로디 회로(2)를 연결하고, 멜로디 회로에 변성기(T1)를 연결하여, 변성기의 2차 코일에 저항(R7,R8)을 연결하고, 낸드 게이트(G2)의 출력단 접속점(4)와 접속점(5)사이에 병렬로 저항(R3)과 다이오드(D2)를 연결하고, 접속점(5)과 낸드 게이트(G2) 입력단 d사이에 다이오드(D3)를 연결하여 구성한 홈키폰의 대기 음악 송출회로.
KR2019840008817U 1984-09-07 1984-09-07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KR860002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817U KR860002227Y1 (ko) 1984-09-07 1984-09-07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817U KR860002227Y1 (ko) 1984-09-07 1984-09-07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398U KR860004398U (ko) 1986-05-01
KR860002227Y1 true KR860002227Y1 (ko) 1986-09-13

Family

ID=7016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817U KR860002227Y1 (ko) 1984-09-07 1984-09-07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2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398U (ko) 198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3844A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system
US4899372A (en) Multi use telephone extension control circuit and device providing lockout for privacy
US4538029A (en)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US4538028A (en)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US4588861A (en) Telephone intercom system
US4756021A (en) Telephone set
USRE31643E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system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KR860002227Y1 (ko)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JPH0131745B2 (ko)
US4550226A (en) Subscriber's telephone circuit arranged to present constant impedance to a telephone line
US4313037A (en) Telephone station set with improved flash signalling
JPH0238039B2 (ko)
US4010332A (en) Link circuit for intercom unit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JPS60178758A (ja) 電話機
CA1144671A (en) Central office interface circuit
JPS62200852A (ja) ボタン電話装置の停電電話機
CA1160777A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system
CA1209292A (en) Subscriber's telephone circuit
JPS5758452A (en) Button telephone device
SU1061289A2 (ru) Абон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квазиэлектронной АТС малой емкости
KR810000765Y1 (ko) 전화기의 푸시버튼식 다이얼 장치
KR890002561Y1 (ko) 헨드세트를 내려놓아도 전화가 오는 회로
US484156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telephone station with earth connection to the central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