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35B1 - 정유량 밸브 - Google Patents

정유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35B1
KR940007035B1 KR1019910700535A KR910700535A KR940007035B1 KR 940007035 B1 KR940007035 B1 KR 940007035B1 KR 1019910700535 A KR1019910700535 A KR 1019910700535A KR 910700535 A KR910700535 A KR 910700535A KR 940007035 B1 KR940007035 B1 KR 94000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ring
opening
cylinde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737A (ko
Inventor
이꾸오 요꼬야마
가쯔히로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까지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미모리 다다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까지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미모리 다다요시 filed Critical 아사히 유까지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K17/30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spring-load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2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associated with one or more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69Biased op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05Plural bia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8038One valve head carries other valv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8046Biased valve with external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fety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정유량 밸브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유량밸브의 종단면도.
제2도는 밸브의 기본 부품을 도시하고 유체의 압력 평형을 설명하는 요부 종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실제 유동시험 결과에 따른 유량특성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정유량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정유량 밸브(constant flow valve)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본 출원인은 이미, 정유량 제어를 목적으로한 자동조절 밸브로서, 정유량 제어 기능, 제어 유량치의 임의 설정기능 및 정지 밸브로서의 개폐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정유량 밸브를 고안하여 출원한 바 있다. 이 출원은 정유량 밸브로서 일본국 공개 실용공보 소 62-9617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공개 실용공보 소 62-96173호에 기술된 "정유량 밸브"는 그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테이퍼진개구를 갖고 있다. 이 개구와 피스톤 밸브의 하단에 끼워진 밸브플러그는 오리피스를 형성하며, 이 오리피스 전후 지짐간에 발생한 압력차는 피스톤밸브 내측에 제공된 압력 도입구 및 스프링 시트에 제공된 압력도입구를 통해, 실린더내의 피스톤에 의해 형성된 제l 및 제2 압력실로 도입되어, 이 압력차를 증폭시키고 압력차에 응답하여 피스톤밸브를 작동시키게하여 일정 유량을 유지하고 있다. 실린더는 개구 축선을 따라 진퇴 가능하여 개구에 대한 밸브 플러그의 초기 작동 위치를 가변시켜 제어된 유량의 선택적 설정을 가능케한다. 실린더의 하단면은 유량을 완전차단하도록 밸브 시트에 대해 가압된 밀봉부를 갖는다.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밸브와는 달리 이 정유량 밸브는 "정유량제어", "제어유량값의 임의설정"그리고 "정지 밸브로서의 역할"등 3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보통 유체가 채워지는 실린더 내측에서, 피스톤 밸브는 유체가 제1입력실부터 제2압력실 및 출구 통로로 흐르도록 자유로이 미끄러질 수 있게하여 "사수(dead water)"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로인하여, 상기 밸브는 화학산업 및 반도체 제조분야에서 큰 이용가치가 있다.
그러나, 이런형태의 밸브는 유체가 제1압력실로부터 제2압력실 그리고 출구 통로로 누설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두가지 단점을 갖는다. 즉, (1) 제어된 유량의 일부가 출구 통로로 누설되어버려 미소유량의 제어가 곤란하여, 제어 유량값의 범위가 제한을 받고, 이 밸브 및 다른 공지의 밸브의 범위가 현재는 4 : 1 내지 8 : 1이며, (2) 라인 다량의 먼지를 함유하는 경우, 제1압력실로부터 제2압력실로의 유체의 누설로인해 피스톤의 미끄럼부가 먼지에 의해 마모되어 고장이 자주 일어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목적은 "정유량 제어", "제어 유량값의 임의설정", 및 "정지 밸브로서의 역할"등 3가지 기능을 가지면서 제어된 유량의 범위가 확강되고 먼지같은 외부물질에 의해 고장이 일어나지 않는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서 통로가 만곡된 입구통로와 출구 통로를 가지며, 입구통로의 축선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갖고 배치된 축선을 가지며 상기 양 통로 사이에 위치되여 입구 통로에 연통되도록 배치된 중공실을 갖는 정지 밸브형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내에 설치되고 출구 통로와 중공실을 연통하는 개구, 밸브 본체에 장착된 뚜껑, 뚜껑에 지지된 개구의 축선에 거의 일치하는 축선을 가지며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한 스핀들, 스피들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중공실내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면이 개구의 밸브시트에 맞닿는 것이 가능한 실린더, 실린더내에 헐겁게 끼워져 개구와 거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밸브축, 밸브축의 선단부와 개구와의 사이에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게 장착된 밸브 플러그, 및 실린더내에 설치되고 밸브 플러그를 개구로부터 이간시키게 가세하고 유체 압력의 변동에 따른 신축작용의 실질적 개시시기가 상호 시간차를 갖고 행해지게 설치된 스프링 정수가 다른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그 내주면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하고, 상기 밸브축은 중실(中實)로 한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유량밸브의 재료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할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개구가 내부에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해서 테이퍼진 곡면 형상을 이루는 개구를 가진 테이퍼 유동 파이프를 밀봉 밸브 시트를 거쳐서 격벽 및 중공실의 저부에 위치하는 밸브 본체의 내벽에 나사결합(螺合)으로 접착하므로서 형성된다.
밸브 플러그는 절두원추형이다.
제1 및 제 2스프링은 병렬 배치되며, 스프링 정수는 제1스프링이 제2스프링 보다 작으며, 자유길이는 제 1스프링이 제 2스프링 보다 크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스프링은 직렬로 배치되며, 스프링 정수는 제1스프링이 제2스프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최상의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및 제3도를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제l실시예는 입구통로(2)의 축선에 대해 중공실(4)의 축선이 상류측으로 경사되어 있는 Y형의 정유량 밸브이다. 또, 중공실(4)의 축선은 입구통로(2)의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5)는 밸브 본체로서, 내부에 설치된 격벽(1)에 의해 통로가 만곡된 입구통로(2)와 출구 통로(3) 및 이 입구통로(2)와 출구통로(3)사이에 위치하는 중공실(4)을 갖고 있다.
(8)은 테어피진 유동파이프이며, 그 상부 외주면에 밀봉 밸브시트(6)가 끼워맞춰져 있고 유동 파이프(8)의 내부에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해서 테이퍼진 곡면 형상을 하는 개구(7)를 형상하고, 개구(7)의 축선이 중공실(4)의 축선과 거의 일치하게 하여 중공실(4)과 출구통로(3)를 연통하도록 격벽(1) 및 중공실(4)의 저부에 위치하는 밸브 본체(5)의 내벽에 상기 밸브 시트(6)를 끼워넣도록 나사체결되어 있다. 또한 본실시예에서, 개구(7)는 유동 파이프(8)의 내부에 설치되어 밸브 본체(5)내에 나사 체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나, 중공실(4)의 저부에 위치하는 밸브 본체(5)의 내벽 및 격벽(1)에 직접 설치하여도 좋다.
(17)은 뚜껑이며, 그 상단 중앙부에 개구(17a)를 갖춘 실린더 형상이며, 그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된 나사를 밸브본체(5)의 중공실(4)의 상부에 설치한 내부 나사부에 나사 체결됨으로서 밸브 본체(5)에 고정된다. 뚜껑(17)의 개구(17a)에는 개구(7)의 축선에 그 축선을 거의 일치시킨 스핀들(9) 및, 이 스핀들(9)에 나사체결된 슬리브(24)가 제공되어 있다. (10)은 실린더로서, 스핀들(9)의 하단부에 일체성형되어 내부에 내부 중공실(10a)을 갖고 있다.이 실린더(10)는 개구(7)의 축선에 그 축선을 거의 일치시켜 그 하부 및 밀봉 하단면(10b)이 밸브본체(5)의 중공실(4)내에, 또는 그 상방부분이 뚜껑(17)내에, 각각 진퇴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10)의 외주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마주해서 한쌍의 안내 홈(18, 19)이 설치되고, 뚜껑(17)의 내측 하단면에 고정된 돌기(20, 21)와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실린더(10)는 상하운동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12)는 밸브축이며, 상단부에는 피스톤 형상의 칼라(12a)를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절두원추형 밸브 플러그(13)가 접착 고정되고, 실린더(10)내의 중공실(10a)내를 진퇴 운동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밸브 플러그(13)는, 개구(7)와 거의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개구(7)와의 사이에 오리피스(1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플러그(13)의 형상은 절두원추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판형상의 것이라도, 역 원뿔대형상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의 형상은 그중의 가장 적합한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4, 15)는 각각 제1 및 제2스프링으로서, 스프링 정수는 제1 <제2로 되도록, 또한 자유 길이는 제1제2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제1스프링(14)은 상기 밸브축(12)의 축부(12b)를 그 내부에 삽입하고 있으며, 그 상단부는 상기 피스톤형칼라(12a)의 하면에 설치된 스프링 시팅 홈(12c ; spring seating groove)에 끼워넣어져 있으며, 그 하단면은 후술하는 스프링 시트(16)에 맞대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스프링은 그 내부에 제1스프링(14)이 삽입되어 있으며, 고 상단면과 하단면은 정유량 밸브의 설치 각도에 의해 상단면이 상기 밸브축(12)의 칼라(12a) 하단면에 혹은, 하단면이 스프링 시트(16)에 맞대이도록 상기 실린더 중공실(10a)내에 자유로운 상태로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축(12)의 축부(12b), 제1스프링(14), 제2스프링(15) 및 실린더(10)의 내주면은 각각 가급적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상기 스프링은 금속제가 사용되지만 내식성이 요구되는 경우, 금속제 스프링에 불소수지등을 완전 피복시킨 피복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6)은 내부에 원형의 개구를 구비하는 링형상의 스프링 시트로서, 상기 개구에 밸브축(12)이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지고, 또한 실린더(10)내 중공실(10a)로의 유체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압력도 입구(16a)를 구비하여 실린더(10)내에 걸어 맞추어져, 정지링(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3)은 슬리브(24)에 고정되어 있는 핸들이며, 슬리브(24)를 거쳐거 스핀들(9)과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1도에 있어서는, 핸들(23)을 회전시키면 그것에 의해 스핀들(9) 및 실린더(10)가 상하 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작동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유체를 유통시키면, 입구통로(2)를 통과해서 중공실(4)에 달한 유체는 개구(7)와 밸브 플러그(13)로 형성되는 오리피스(11)를 통과하여 출구통로(3)로 유출된다. 유체가 오리피스(11)를 통과하면, 그 상류측과 하류측에 압력차(△P)가 발생한다. 제2도에서, P1은 오리피스(11)의 상류측의 압력이고, P2는 하류측의 압력이다. 도면에서, 31 내지 37 및 31' 내지 37'까지의 번호는 밸브축(12) 및 밸브 플러그(13)의 수압부를 도시하고 있다. P1은 압력 도입구(16a)에서 실린더(10)내에 도입되어 밸브축(12)의 표면 전체에 작용하나, 31과 31', 32와 32', 34와 34' 및 35와 35'는 각각 상면, 하면에서 P1이 작용하므로 압력은 상쇄된다. 한편, 36과 36', 33과 33' 및 37과 37'에는 상면에 P1, 아래면에 P2가 작용하고 있다. 36, 33 및 37의 투영면적의 총화를 A라 하면, A=36'+33′+37'로 되는 것은 명확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압력차(△P=P1P2)는 밸브축(12) 및 밸브 플러그(13) 표면에 있어서 면적 A에만 작용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도에 있어서, 밸브축(12) 및 밸브 플러그(13)는 A×△P[kgf]의 하중을 받아서 개구(7)의 축선방향으로 작동한다. 이 압력차(△P) 및 그 변동이 비교적 근소한 경우에는 밸브축(12)은 제1스프링(14)만을 압축부가 하면서 개구(7) 방향으로, 또한 역으로 제1스프링(14)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부가되면서 개구(7)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작동하나, 상기 압력차(△P) 및 그 변동이 비교적 커지는 경우에는 밸브축(12)은 어느 일정구간 제1스프링(14)을 압축 부가하면서 작동한 다음에는 주로 제2스프링(15)에서의 강력한 탄성 반발력을 받으면서 개구(7)방향으로, 혹은 그것과 역의 작용으로 개구(7)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압력차(△P)의 변동에 따른 밸브축(12) 및 그것에 연동하는 밸브 플러그(13)의 작동에 따라 개구(7)와 밸브 플러그(13)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리피스(11)는 확대 또는 축소된다.
어떠한 원인으로, 밸브 본체(5)에 유통되어 있는 유체의 상류측 압력이 증대하거나 또는 하류측 압력이 감소하여 유량이 증대한 경우, 상기 압력차(△P)는 커지게 된다. 그에 따라 밸브플러그(13)는 상기 작용에 의해 오리피스(11)를 자동축소하므로 유량은 동시에 감소하여 예정된 유량으로 제어된다. 역으로, 어떤 원인으로 유체의 상류축 압력이 감소하거나 또는 하류측압력이 증대하여 유량이 감소한 경우 상기 압력차(△P)는 작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밸브 플러그(13)는 상기 작용에 의해 오리피스(11)를 자동적으로 확대하므로, 유량은 동시에 증대하여 예정된 유량으로 제어된다. 이와같은 각부의 작용에 의해 밸브본체(5)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가 변동하여도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이와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1스프링(14)의 스프링 정수는 제2스프링(15)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가급적 작아야 된다. 개구(7)는 광범위한 유량 설정이 가능하고, 밸브 플러그(13)가 어느 위치에서 작동을 시작하더라도 임의의 정유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핸들(23)을 닫는 방향으로 돌려서 스핀들(9) 및 실린더(10)를 개구(7)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면 그에 따라서 밸브 플러그(13)도 이동한다. 개구(7)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오리피스(11)는 그것에 따라 축소된다. 이 위치에서 밸브 플러그(13)가 작동하면, 오리피스(11)는 상대적으로 축소된 범위내에서 변화하여 유체를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즉, 밸브의 초기 작동위치가 유체를 상대적으로 적은유량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변화한다. 역으로, 핸들(23)을 여는 방향으로 돌려서 스핀들(9) 및 실린더(10)를 개구(7)에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면 상기와 역의 작용으로 오리피스(11)는 확대된다.
이 위치에서 밸브 플러그(13)가 작동하면, 오리피스(11)는 상대적으로 확대된 범위내에서 변화하여 유체를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즉, 밸브의 초기 작동 위치가 유체를 상대적으로 큰 유량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변화한다. 이와 같이, 스핀들(9) 및 실린더(10)의 이동은 제어 유량값을 대소임의로 변환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스핀들(9) 및 실린더(10)를 개구(7)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린더(10)의 하단면(10b)이 개구(7)의 밸브 시트(6)에 대향 가압시키도록 하면, 중공실(4)과 출구 통로(3)와의 사이가 완전 폐쇄되므로 유체의 흐름은 정지되고 밸브는 완전한 폐지상태로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스프링(40)과 제2스프링(41)이 이동 스프링 시트(42)를 거쳐서 직렬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스프링(40)은 그 상단부가 밸브축(12)의 스프링 시팅 홈(12c)에 끼워넣어져 그 하단부가 이동 스프링 시트(42)의 상면에 맞대이도록 설치되고, 제2스프링(41)은 그 상단부가 이동 스프링 시트(42)의 하면에 맞대여 그 하단부가 스프링 시트(16)에 맞대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동 스프링 시트(42)는 중앙에 개구를 갖고 이 개구에 밸브축(12)의 축부(12b)가 접촉하지 않도록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10)의 내주면에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상기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는, 밸브축(12), 밸브 플러그(13), 제1스프링(40), 제2스프링(41) 및 이동 스프링 시트(42)의 관게에 대해서만을 설명하고 그밖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있어서, 밸브축(12) 및 밸브 플러그(13)가 상기 압력차(△P)의 변동에 의해 A×△P[kgf]의 하중을 받아서 개구(7)방향으로 이동할때, 이 △P 및 그 변동이 비교적 근소한때는 어느 일정 구간 주로 제1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혹은 역으로 주로 제1스프링(40)에서 부가되면서 이동하나, 이 △P 및 그 변동이 큰 때는 밸브축의 칼라(12a)가 이동스프링 시트(42)의 통형상 돌출부(42a)에 맞대인후는 주로 제2스프링(41)을 압축 부가하면서 혹은 역으로 주로 제2스프링(41)에서 부가되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밸브 플러그(13)는 압력차 △P의 대소의 변동에 의해 작동하고 밸브 플러그(13)와 개구(7)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리피스(11)을 확대 또는 축소하므로 배관 압력의 변동에 기인하는 유량의 증감을 자동적으로 동시에 설정값으로 제어한다. 이와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1스프링(40)은 제2스프링(41)보다도 가급적 스프링 정수의 적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한 구조를 하는 구경 25A의 정유량 밸브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실제 유량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의 유량 특성을 제4도에 도시한다.
[조건]
유체 ; ∼물
온도 ; ∼25℃
밸브의 유량 설정범위 ; 11/분 내지 301/분
밸브전후의 압력차 ; 0 내지 1.0kgf/cm2
스프링 정수
제 1 스프링 ; 0.35kgf/mm
제 2 스프링 ; 0.91kgf/mm
이상의 조건으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정밀도 ; 각 설정값의 ±4 내지 ±6% 이내
제어압력차 범위 ; (0.1 내지 0.18) 내지 1.0kgf/cm2
압력손실 ; 0.1 내지 0.18kgf/cm2
범위능력 ; 30 : 1(종래 밸브는 4 : 1 내지 8 : 1)
제4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정유량 밸브는 대유량에서 미소 유량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제어되고(범위능력 30 : 1), 제어 정밀도도 각 설정값이 ±4 내지 ±6% 이내로 양호했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미소 유량에서 대유량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걸쳐서 유량제어가 행해진다. 즉 종래 밸브의 범위능력이 4 : 1 내지 8 : 1이였던 것에 대해 본 발명의 정유량 밸브에서는 30 : 1로 대폭 확대된다.
(2), 유체는 밸브와 개구로 형성되는 오리피스의 확대·축소의 작용만에 의해 제어되므로 종래 밸브와 비교해서 배관내의 먼지·이물등에 의한 작동불량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한 유량 제어가 가능하다.
(3), (1)·(2)의 새로운 장점에 부가해서, 정유량 제어, 제어유량값의 임의설정, 정지밸브로서의 3대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특히, 밸브 축에는 종래예와 같은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밸브축의 칼라부와 실린더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일이없고 그 때문에 유체내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밸브축과 실린더와의 접동부에 몰려두는 일이 없어지고 밸브 플러그의 작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산업상의 이용]
본 발명은 양호하게는 상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석유, 액체 화학제등과 같은 유체의 전달을 위한 수송배관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설치된 격벽(1)에 의해서 통로가 만곡된 입구통로(2)와 출구 통로(3)를 가지며, 입구통로(2)의 축선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갖고 배치된 축선을 가지며 상기 양 통로 사이에 위치되여 입구 통로(2)에 연통되도록 배치된 중공실(4)을 갖는 정지 밸브형 밸브 본체(5), 상기 밸브 본체(5)내에 설치되고 출구 통로(3)와 상기 중공실(4)을 연통하는 개구(7), 밸브 본체(5)에 장착된 뚜껑(17), 뚜껑(17)에 지지된 개구(7)의 축선에 거의 일치하는 축선을 가지며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한 스핀들(9), 스핀들(9)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중공실(4)내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면이 개구(7)의 밸브시트(6)에 맞닿는 것이 가능한 실린더(10), 그 실린더(10)내에 헐겁게 끼워져 개구(7)와 거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밸브축(12), 밸브축(12)의 선단부와 개구(7)와의 사이에 오리피스(11)를 형성할 수 있게 장착된 밸브 플러그(13), 및 실린더(10)내에 설치되고 밸브 플러그(13)를 개구(7)로부터 이간시키게 가세하고 유체 압력의 변동에 따른 신축작용의 실질적 개시시기가 상호 시간차를 갖고 행해지게 설치된 스프링 정수가 다른 복수의 스프링(14, 15)을 구비한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구(7)를 그 내주면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하고, 상기 밸브축(12)은 중실(中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량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개구(7)가 내부에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해서 테이퍼진 곡면 형상을 이루는 개구를 가진 테이퍼 유동 파이프(8)를 밀봉 밸브 시트(6)를 거쳐서 격벽(1) 및 중공실(4)의 저부에 위치하는 밸브 본체(5)의 내벽에 나사결합(螺合)으로 접착하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러그(13)가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 15)은, 제1스프링(14)과 제2스프링(15)이 병렬 설치되며, 스프링 정수는 제1스프링(14)이 제2스프링(15) 보다 작고, 자유 길이는 제1스프링이 제2스프링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 15)은, 제1스프링(14)과 제2스프링(15)이 직렬 설치되며, 스프링 정수는 제1스프링(14)이 제2스프링(15)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 밸브.
KR1019910700535A 1989-09-30 1990-09-28 정유량 밸브 KR940007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3762 1989-09-30
JP1-253762 1989-09-30
JP1253762A JP2515407B2 (ja) 1989-09-30 1989-09-30 定流量弁
PCT/JP1990/001259 WO1991005194A1 (en) 1989-09-30 1990-09-28 Constant flow rate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737A KR920701737A (ko) 1992-08-12
KR940007035B1 true KR940007035B1 (ko) 1994-08-03

Family

ID=1725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535A KR940007035B1 (ko) 1989-09-30 1990-09-28 정유량 밸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74332A (ko)
EP (1) EP0452496B1 (ko)
JP (1) JP2515407B2 (ko)
KR (1) KR940007035B1 (ko)
CA (1) CA2042056C (ko)
DE (1) DE69031618T2 (ko)
ES (1) ES2108015T3 (ko)
HK (1) HK1004342A1 (ko)
WO (1) WO1991005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65804B1 (es) * 1992-02-27 1997-04-16 Fagor S Coop Mejoras introducidas en calentadores instantaneos de agua a gas.
AT403948B (de) * 1994-07-29 1998-06-25 Hoerbiger Ventilwerke Ag Ansaugregelventil für rotationsverdichter
US6183224B1 (en) 1995-01-09 2001-02-06 Campbell Hausfeld/Scott Fetzer Company Airless paint sprayer intake dampener
US5609300A (en) * 1995-01-09 1997-03-11 Campbell Hausfeld/Scott Fetzer Company Airless paint sprayer outlet check valve
US5639219A (en) * 1995-01-09 1997-06-17 Campbell Hausfeld/Scott Fetzer Co. Airless paint sprayer intake dampener and inlet valve spring
AUPO301796A0 (en) 1996-10-16 1996-11-07 Resmed Limited A vent valve apparatus
US5887619A (en) * 1996-12-10 1999-03-30 Keary; John Robert Dry disconnect coupling assembly
CN1083957C (zh) * 1999-09-30 2002-05-01 沈锝桓 反馈调节压差式水压机流量的控制阀
CN1107184C (zh) * 1999-10-08 2003-04-30 沈锝桓 反馈调节压差式水压机流量的控制阀
CN1108474C (zh) * 1999-10-08 2003-05-14 沈锝桓 反馈调节压差式水压机流量的控制阀
GB2370096A (en) * 2000-12-18 2002-06-19 Fluid Controls U K Ltd Constant flow control valve
KR200235719Y1 (ko) * 2001-03-29 2001-10-10 이종균 맥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DE502006007641D1 (de) * 2005-05-09 2010-09-23 Rico Sicherheitstechnik Ag Explosionsschutzventil
US20080271794A1 (en) * 2007-05-01 2008-11-06 Louis Leemhuis Automated mechanical constant flow valve for air ducts
EP2874843B1 (en) * 2013-08-05 2018-11-14 Eaton Corporation Fuel tank check valve
US10859178B2 (en) 2018-05-25 2020-12-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Bleed valves
US10975969B2 (en) * 2018-09-28 2021-04-1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hree-position poppet valve
KR102011125B1 (ko) * 2018-12-31 2019-08-14 최경숙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KR102011124B1 (ko) * 2018-12-31 2019-08-14 최경숙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밸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9402A (en) * 1954-07-30 1960-03-22 Dole Valve Co Adjustable flow control
US2956583A (en) * 1956-10-15 1960-10-18 Dole Valve Co Fluid control with liquid backing
US3106226A (en) * 1960-11-16 1963-10-08 James F Machen Flow control valve
US4257452A (en) * 1975-07-31 1981-03-24 R. W. Lyall & Co., Inc. Biased open direct response valve with damping means
JPS5790470A (en) * 1980-11-26 1982-06-05 Sotokazu Rikuta Constant flow valve
JPS5835056U (ja) * 1981-08-31 1983-03-07 株式会社京浜精機製作所 定流量弁
JPS60241581A (ja) * 1984-05-16 1985-11-30 Sotokazu Rikuta 定流量弁
JPH0339644Y2 (ko) * 1985-12-06 1991-08-21
US4791956A (en) * 1987-09-28 1988-12-20 Asahi Yukizai Kogyo Co., Ltd. Constant flow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2496A4 (en) 1992-12-16
JP2515407B2 (ja) 1996-07-10
US5174332A (en) 1992-12-29
EP0452496B1 (en) 1997-10-22
WO1991005194A1 (en) 1991-04-18
JPH03117788A (ja) 1991-05-20
DE69031618D1 (de) 1997-11-27
EP0452496A1 (en) 1991-10-23
CA2042056A1 (en) 1991-03-31
CA2042056C (en) 1994-07-19
KR920701737A (ko) 1992-08-12
DE69031618T2 (de) 1998-03-19
HK1004342A1 (en) 1998-11-20
US5174332B1 (ko) 1994-03-01
ES2108015T3 (es) 199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035B1 (ko) 정유량 밸브
US8763989B2 (en) Three-way poppet valve with internal check feature
EP0698759B1 (en) Excess flow valve
US4026322A (en) Reciprocating pump check valve assembly
US3215163A (en) Two-position, four-way pilot operated valve
US4791956A (en) Constant flow valve
US3099999A (en) Check valve
US3464439A (en) Flow control valve
CN1325828C (zh) 滚动膜片控制阀
CN110005932B (zh) 具有改进活塞的润滑剂喷射器
US4292990A (en) High pressure unloader valve
US5267585A (en) Elastomeric flow control valve
CN110030484A (zh) 润滑剂喷射器
US4997159A (en) Logic valve
US5904177A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US5232013A (en) Check valve with poppet damping mechanism
US4385640A (en) Hydraulic unloader
US4638831A (en) Valve arrangement for unloading liquid flow at a non-return valve
FI79395B (fi) Tryckreduceringsventil.
JPS5923193A (ja) インジエクタ
US4438778A (en) Maximum pressure selector device
RU2243439C2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JP2009014153A (ja) 定流量弁
US3709254A (en) Valve assembly for water fountains and the like
JPH03396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