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07Y1 -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07Y1
KR940006707Y1 KR2019910011090U KR910011090U KR940006707Y1 KR 940006707 Y1 KR940006707 Y1 KR 940006707Y1 KR 2019910011090 U KR2019910011090 U KR 2019910011090U KR 910011090 U KR910011090 U KR 910011090U KR 940006707 Y1 KR940006707 Y1 KR 940006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pipe
protrusion
water circulation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077U (ko
Inventor
유유순
Original Assignee
유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유순 filed Critical 유유순
Priority to KR2019910011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707Y1/ko
Publication of KR930003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 온돌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인 일부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 온돌장치의 시공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인 삼각보강부재를 채택하여 시공상태를 보인 평면구조도.
제5도는 제2도의 "K"부 단면구조도.
제6도는 본 고안인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2 : 고정블럭
2a, 4a : 구멍 3 : 돌출부
3a : 삽입홈 4 : 걸림블럭
5 : 결합부 5a, 10a : "X"자형돌기
6 : 개방부 7 : 받침돌출부
8 : 열전달부 8a : 접촉면
9 : 판형부재 10 : 지지판넬
11 : 와셔 12 : 고정핀(또는 리베트못)
14 : 삼각보강부재
본 고안은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수지호스 또는 금속재 파이프등) 배관작업시 파이프를 유동방지케 잡아주는 지지판넬과 방바닥면을 형성하게되는 판형부재로 조합되어진 조립식 온수온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위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바닥면에 온돌장치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함과, 열전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온돌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를 시공하는 바닥면에 배관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바닥면의 보온재층 상면에 노출되게 그대로 배관시공하였거나, 또는 배관시공한 다음 철사등으로된 고정 수단을 매기로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를 유동되지 않도록 결속시킨후 그 상면에 시멘트몰타르를 덮어 온돌 방바닥면을 시공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시공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노출된 파이프가 시멘트 몰타르의 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현상이 야기되어 난방수의 순환장애가 초래되었으며, 또 파이프에서 발열되는 열이 바닥면 하부로 전달되어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등 여러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단열재로된 기판표면에 파이프의 배관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종 및 횡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지지판넬을 구비하여 바닥면에 평면으로 깔고 돌기 사이에 열전달 부재에 의해 일부가 감싸지게끔 파이프를 직선 및 곡선으로 배열한 후 그 상면에 판형부재를 부설구비하여서된 온돌장치로 바닥을 시공함으로서 시멘트몰타르를 사용함없이 지지판넬 및 판형부재에 의한 난방시설(온돌장치)를 바닥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로된 기판표면에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1)지지용 "X"자형돌기(10a)가 종 및 횡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블럭(2)이 돌설되며, 4면중 일측 2면에 삽입홈(3a)을 갖는 돌출부(3) 및 걸림블럭(4)이 형성되고, 다른 2면에는 상기 돌출(3)의 삽입홈(3a)에 결합되는 X자형돌기(5a)를 갖는 결합부(5)와, 걸림블럭(4)이 위치되는 개방부(6)가 형성되고, 하면에 받침돌출부(7)가 형성되어진 일정규격의 지지판넬(10)을 구비함과, 상기 지지판넬(10)의 "X"자형돌기(10a)사이에 접촉면(8a)을 갖는 ""형상의 열전달부재(8)를 파이프(1)와 조합배치하고, 그 상부에 판형부재(9)를 부설하되, 상기 판형부재(9)의 벤칭상태 모서리부위(가)를 상기 지지판넬의 고정블럭(2) 상면에 와셔(11) 및 고정핀(또는 리베트 못)(12)으로 고정하면서, 판형부재(9)의 벤딩상태 중심부위 (나) 및 벤딩상태 가장자리중간부위(다)를 각각의 걸림블럭(4)에 와셔(11) 및 고정핀(12)으로 고정하고, 그(판형부재) 상면에는 보온제(하드보드, 돌판, 부직포등)를 깔고 그 위에 소정의 장판부재(또는 카페트등)(13)를 깔아서 시공한다.
여기서, 지지판넬(10)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걸림블럭(4)은 또 다른 지지판넬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개방부(6)에 걸림상태로 지지되며, 지지판넬(10)의 가장자리 중간부위에 형성된 걸림블럭(4)은 지지판넬 설치시, 다른 지지판넬의 가장자리 중간부위에 형성된 개방부(6)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고정블럭(2)과 걸림블럭(4)은 "X"자형돌기(10a)보다 낮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고정핀(12)이 삽입되는 구멍(2a)(4a)이 형성되어진다.
지지판넬(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3)의 삽입홈(3a)에는 지지판넬 설치시 또다른 지지판넬의 가장자리상에 형성된 결합부(5)의 X자형돌기(5a)가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지면서 지지판넬과 지지판넬을 상호 연결하여주며, 돌편(3)과 결합부(5)의 두께는 지지판넬(10)두께의 ½정도이므로 결합상태에서 지지판넬의 두께와 동일하다.(도면 제5도 참조)
또, 온돌장치시공 완료시, 열전달부재(8)의 접촉면(8a)은 판형부재의 하면에, 몸체는 "X"자형돌기(10a)에 각각 접촉된 상태이다.
판형부재(9)는 철판 또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 된것을 채택한다.
고정블럭(2)과 걸림블럭(4)에 고정핀으로 고정되는 판형부재(9)의 모서리부위(가), 중심부위(나) 및 가장자리 중간부위(다)는 각각 벤딩상태이기때문에 시공완료시, 고정핀이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의 삼각보강부재(14)를 여러크기로 제작구비하여 이를 "X"자형돌기(10a)에 선택적으로 대향되게 밀착부설하여 파이프(1)의 크기(직경)에 따라 간격(S)을 가변시킬수 있도록된 것이다.
한편, 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1)를 ""형상으로 제작하여 판형부재(9)와 파이프(1)와의 접촉면을 증대시킬수 있다.
개방부(6)와 걸림블럭(4)을 결합시키면 개방부 및 걸림블럭에 형성된 돌기가 조합되어 완전한 "X"자형 돌기가 구성된다.
미 설명보호 15는 단열재층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바닥면에 보일러용 난방수 순환파이프(1)를 매립하여 온돌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열효과가 양호한 단열효과가 양호한 재질로서 일정규격으로 성형제작된 여러개이 지지판넬(10)을 시공바닥면의 단열재층(15) 상면에 받침돌출부(7)가 밀착되게끔 배열하여(지지판넬 상호간의 연결방식은 후술하겠음) 지지판넬(10)의 표면에 종 및 횡방향으로 일정하게 돌설되어진 "X"자형돌기(10a)(간격(S)을 가짐)사이로 접촉면(8a)을 갖는 ""형상의 열전달부재(8)와 파이프(1)가 결합되게 직선 또는 곡선 배관한후 지지판넬(10)의 "X"자형돌기(10a)(5a)상면에 여러장의 판형부재(9)를 배치고정하고(여기서 판형부재의 고정방식은 뒤에 설명하겠음) 그(판형부재)의 상면에 장판부재(13)나 카페트등을 깔아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일러에서 지지판넬(10) 상면에 지그재그로 배관되어진 파이프(1)를 통해 일정온도를 갖는 난방수를 송출하여 순환시키면 열교환작용에 의해 파이프(1)가 일정온도로 가열되어진다.
이때, 파이프(1)와 X자형돌기(10a)가 열전달부재(8)의 몸체를 통해 밀착되어 있고, 또 X자형돌기(10a)상면, 파이프(1) 및 열전달부재(8)의 접촉면(8a)이 각각 판형부재(9)의 하면에 접촉되어져 있기 때문에 파이프(1)의 열이 판형부재(9)로 열전도되면서 가열하므로 판형부재(9)의 상면에 깔린 보온재와 장판부재(13)가 가열되어 난방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판넬(10) 상호간의 연결상태를 살펴보면 지지판넬(10)의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 걸림블럭(4)이 다른 지지판넬(10)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개방부(6)에 밀착상태로 위치되어 걸림작용되어지고, 동시에 지지판넬(10)의 가장자리 중간부위에 구비된 걸림블럭(10)은 또다른 지지판넬(10)의 가장자리 중간부위에 형성된 개방부(6) 내면에 밀접하게 끼워져 걸림작용하게되며, 또, 지지판넬(10) 가장자리상의 돌출부(3)에 형성된 삽입홈(3a)에 다른 지지판넬의 결합부(5)에 형성된 X자형돌기(5a)가 관통되어 연결되므로 지지판넬(10) 상호간의 배열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진다.
한편, 판형부재(9)의 벤딩상태 모서리부위(가)와 벤딩상태 중심부위(나) 및 벤딩상태 가장자리중간부위(다)가 지지판넬(10)의 중앙에 돌출된 고정블럭(2)과 가장자리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블럭(4)의 상면에 위치되어진 상태에서 와셔(11) 및 고정핀(또는 리베트못)(12)으로 고정하여줌으로서 시공상태가 견고하고 안전하며,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정핀(12)의 머리부와 판형부재(9)가 평면상태를 이루므로 장판부재(13)를 깔았을때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넬(10)과 판형부재(9)를 이용하여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1)를 매립, 방바닥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배관후, 시멘트 몰타르로 시공하여 온돌장치를 시공하던 불편한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1) 및 열전달부재(8)가 지지판넬(10)의 "X"자형돌기(10a)사이에서 고정되므로 시공시, 파이프(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온돌장치의 시설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달부재(8)의 열전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당한 크기의 삼각보강부재(14)를 지지판넬(10)의 "X"자형돌기(10a)각각에 대향되게 밀착시켜, 간격(S)(파이프배관위치)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지지판넬(10)을 이용하여 간격(S)보다 작은크기를 갖는 파이프(1)를 전용의 지지판넬제작 없이 배관시공할 수 있다.
또, 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난방수 순환용 파이프 구조로 ""형상으로된 파이프(1)를 채택할 경우 상기 파이프(1)의 평면이 판형부재(9)에 접촉되므로 즉, 접촉면적을 증대시킬수 있어 열전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등 여러장점이 있다.

Claims (3)

  1. 시공된 바닥면에 난방수순환용파이프(1)의 배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된 지지판넬(10)을 상호 연결되게 조립시공한 후 상기 지지판넬(10)상에 열전도부재(8)와 파이프(1)를 조합배치하고 그 상면에 판형부재(9)와 장판부재(13)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서된 조립식온수온돌장치에 있어서, 단열재로된 몸체표면에 난방수순환용 파이프(1)를 지지할 수 있게 X자형돌기(10a)가 종 및 횡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블럭(2)이 돌출형성되며, 4면중 일측 2면에는 X자형 삽입홈(3a)을 갖는 돌출부(3) 및 걸림블럭(4)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삽입홈(3a)에 결합되는 X자형돌기(5a)를 갖는 결합부(5)와 걸림블럭(4)이 위치되는 개방부(6)가 형성되어 몸체상호간을 견고하게 연결조립시공토록하고 하면에는 받침돌출부(7)가 형성되어진 지지판넬(10)을 갖춘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수온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판넬(10)의 X자형돌기(10a)에 난방수순환파이프(1)의 크기에 따라 삼각보강부재(14)를 대향되게 부설하여 간격(S)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수온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난방수순환파이프(1)를 ""형상으로 제작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수온돌장치.
KR2019910011090U 1991-07-16 1991-07-16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KR940006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090U KR940006707Y1 (ko) 1991-07-16 1991-07-16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090U KR940006707Y1 (ko) 1991-07-16 1991-07-16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077U KR930003077U (ko) 1993-02-26
KR940006707Y1 true KR940006707Y1 (ko) 1994-09-28

Family

ID=1931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090U KR940006707Y1 (ko) 1991-07-16 1991-07-16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077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940006707Y1 (ko)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102655899B1 (ko) 마감용 바닥판 고정형 히팅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JPH0528403Y2 (ko)
JPH058405Y2 (ko)
JP3132654U (ja) 1坪前後の浴室の洗い場における、継ぎ目のない可撓性のある連続した一本の温水パイプを使っ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ための曲線部の温水マット形状及び該曲線部の温水マットと直線部の温水マットの2種類の温水マットの組み合わせ。
JP3046800B2 (ja) 床暖房装置
JPS6142005Y2 (ko)
KR200445966Y1 (ko) 난방용 바닥재
JPH0742006Y2 (ja) 床暖房用パネル
JPH0643350Y2 (ja) 床暖房構造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JP2547294Y2 (ja) 熱源機側との接続部に配置される床暖房用パネル
JP3012353U (ja) 床暖房装置
JPH0460315A (ja) 家屋埋込型発熱装置
JPH09210381A (ja) 床暖房パネル
KR20000001417U (ko) 난방 배관용 플레이트
KR970007218Y1 (ko) 파이프보호관과 열전도판을 갖는 온수난방 시스템
JPH0641046Y2 (ja) 床暖房部材
JPH0718558B2 (ja) 木質系温水式床暖房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614815U (ja) 床暖房装置
JPS5818572Y2 (ja) 組立式床暖房装置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