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451Y1 -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 Google Patents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451Y1
KR940006451Y1 KR92018139U KR920018139U KR940006451Y1 KR 940006451 Y1 KR940006451 Y1 KR 940006451Y1 KR 92018139 U KR92018139 U KR 92018139U KR 920018139 U KR920018139 U KR 920018139U KR 940006451 Y1 KR940006451 Y1 KR 940006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conduit
fastening band
waterproof cap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722U (ko
Inventor
이동구
Original Assignee
이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구 filed Critical 이동구
Priority to KR92018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451Y1/ko
Publication of KR940008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방수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반단면도.
제6a도는 체결밴드를 나타낸 정면도.
제6b도는 체결밴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중 전선관 2, 2' : 탄성 방수캡
3 : 나사부 5, 6 : 체결구
7 : 체결밴드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전선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성이 뛰어난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구는, 연결하고자하는 전선관의 외경보다 큰내경을 갖는 나사연결관을 이용하여 지중 전선관의 일측에 나사연결관을 완전히 끼운 후, 다른 전선관을 맞대어 놓고, 나사 연결관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두 전선관의 접합부에 나사연결관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나사연결관의 양 끝을 방수테이프로 감아서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여 왔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나사 연결관을 이용하여 전선관을 연결하는 것은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즉, 전선관을 지중에 매립하기 위하여는 땅을 넓게 파야만이 그 안에서 사람이 방수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구와 지중전선관을 봉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요즘과 같이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소폭으로 땅을 파는 경우에는 작업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전선관의 연결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결된 지중전선관을 밀폐하기 위하여 나사연결관의 양끝을 방수테이프로 감아줄때, 그 작업의 불편함과 더불어 과다한 테이프의 소비로 인하여 시공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시공시간 또한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테이프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연결구의 양끝을 막아 놓았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地壓)에 의한 연결부의 변형으로 테이프접착부가 탈락되므로서, 전선관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합선이나 단선의 원인이 되고, 결국 매립된 지중전선관을 다시 파헤쳐 재시공해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이고 비능률적인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전선관의 연결접합부에 방수캡을 끼우고, 체결밴드로서 간단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선형 지중 전선관(1)의 외경나사부와 끼워맞춤되는 내경나사부(3)가 형성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써 탄성방수캡(2)을 형성한 후, 이 탄성방수캡(2)을 연결하고자 하는 두 지중전선관(1)(1')이 접합하는 관말구에 끼워서, 두 탄성방수캡(2)(2')의 선단(4)(4')이 서로 대향되게 밀착시키고, 양측 탄성방수캡(2)(2')의 외주면을 에워쌓도록 체결구(5)(6)가 형성된 박판상의 합성수지제 체결밴드(7)로 긴밀하게 체결하여 양측전선관(1)(1')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8은 걸림돌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탄성방수캡(2)을 지중전선관(1)의 접합부에 끼워맞춤함으로 인하여 1차적으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두개의 탄성방수캡(2)(2')을 대향 밀착시킨후, 체결밴드(7)로서 긴밀하게 체결고정시키는 것이므로 체결밴드(7)와 탄성방수캡(2) 및 지중전선관(1)(1')이 서로 밀착되어 2차적인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체결밴드(7)의 내측에 돌출된 걸림돌기(8)가 탄성방수캡(2)에 맞물려서 체결상태의 이완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방수캡(2)의 선단(4)과 외주연에 반원형의 돌기(9)(9')를 일체로 형성해주면,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체결밴드(7)가 돌기(9)를 가압하면서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며, 선단(4)의 돌기(9') 역시 탄성방수 캡(2)(2')이 서로 압착되어 탄성방수캡(2)(2')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6a, 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방수캡(2)을 체결하는 체결밴드(7)의 말단부에 소폭의 탄성막(7')을 부착하여 줌으로써 체결밴드(7)가 겹치면서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지중전선관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을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연결구와 지중전선관 사이의 틈을 막아주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필요로 하지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는등의 유용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지중 전선관(1)의 외경나사부에 끼워지는 내경나사부(3)가 형성된 탄성방수캡(2)(2')을 전선관(1)(1')의 접합관말구에 끼우고, 서로 대향되게 밀착시킨 탄성방수캡(2)(2')의 외주면을 에워쌓도록 체결구(5)(6)가 형성된 박판상의 체결밴드(7)로 긴밀하에 체결하여 양측전선관(1)(1')을 연결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전선관용 방수연결구.
KR92018139U 1992-09-23 1992-09-23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KR940006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139U KR940006451Y1 (ko) 1992-09-23 1992-09-23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139U KR940006451Y1 (ko) 1992-09-23 1992-09-23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722U KR940008722U (ko) 1994-04-21
KR940006451Y1 true KR940006451Y1 (ko) 1994-09-24

Family

ID=1934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139U KR940006451Y1 (ko) 1992-09-23 1992-09-23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4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994B1 (ko) * 1997-09-05 1999-11-01 김형국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722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755A (en) Armored cable connector
KR930006017B1 (ko) 가요성 비금속도관 및 가요성 비금속튜브용 방수콘넥터
EP0218116A3 (en) Plastic screw fitting for entry and extension, sealing and strain relief of cables, ducts or hoses
KR940006451Y1 (ko)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KR200365477Y1 (ko) 수밀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배관 연결구
KR950007609Y1 (ko) 지중전선관용 방수연결장치
KR960006573Y1 (ko) 지중전선관용 방수연결구
JP3337991B2 (ja) 波付き管用継手
KR200175033Y1 (ko) 호스 연결장치
JPH07233889A (ja) 継 手
KR0177851B1 (ko) 파형관의 관이음구
JP2001208251A (ja) 螺旋波形管用パッキンとその取付け構造
JPS6141085B2 (ko)
CN219917730U (zh) 一种防水型线缆接头
JPS6192113A (ja) 地中配線に使用される合成樹脂製の波付電線管の防水継手構造
JP3083517U (ja) 防水型の波形管固定コネクタ
JP2541236Y2 (ja) 可撓管用接続装置
KR960014742A (ko)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용 접속구 및 그 접속구를 착설한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
JP3032190B1 (ja) 管継ぎ手
KR900009954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
JPH0336785Y2 (ko)
KR950010024Y1 (ko) 나선형 전선관의 이음장치
KR100203287B1 (ko) 케이블 연결장치
KR970006869Y1 (ko) 배수관 연결 접속구
JPH02103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