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994B1 -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994B1
KR100227994B1 KR1019970045980A KR19970045980A KR100227994B1 KR 100227994 B1 KR100227994 B1 KR 100227994B1 KR 1019970045980 A KR1019970045980 A KR 1019970045980A KR 19970045980 A KR19970045980 A KR 19970045980A KR 100227994 B1 KR100227994 B1 KR 10022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high pressure
ultra
protrusions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695A (ko
Inventor
박동문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101997004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9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애자의 둘레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발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의 철탑(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1, 22)와 상기 돌출부(21, 22)들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홈(23)으로 구성된 초고압애자(20)의 둘레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초고압애자(2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1, 22)와 다수의 홈(23)에 정합될 수 있도록 내면에 다수의 홈(111, 112)과 다수의 돌출부(113)가 형성된 다수의 고무부재(11)와,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11)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밴드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11)를 상기 초고압애자(20)의 둘레에 결합하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폭이 상기 초고압애자(20)의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본 발명은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전소의 철탑의 상부에 형성된 초고압애자의 둘레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철탑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초고압애자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도는 보이듯이, 전국 각각의 발전소에는 전력을 변전소로 송전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지지절연시키는 초고압애자(20)가 철탑(10)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초고압애자(20)의 상부에는 345kV 및 154kV의 대전류와 고전압이 접속된 대전류 통전부(4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런 대전류 통전부(40)의 하부에는 초고압애자(20)속의 선로의 절연을 돕기 위해 가스나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플랜지(30)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철탑(10)의 길이는 약 400㎝정도이고, 초고압애자(20)의 길이는 약 300㎝정도이다.
이런 크기로 배치된 초고압애자(20)에는 다양한 크기의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가 이런 초고압애자(20)의 둘레를 따라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런 제1돌출부(21)의 돌출길이(1)는 약 5㎝정도이고, 제2돌출부(22)의 돌출길이(1')는 약 6㎝정도이며, 이런 제1·제2돌출부(21, 22)들 간의 간격(a)은 약 4㎝정도이다. 즉, 이런 초고압애자(20)에는 이런 제1·제2돌출부(21, 22)들에 의해 두께가 약 4㎝정도이고 깊이가 약 5∼6㎝정도인 둥그러운 홈(23)이 이런 초고압애자(20)의 둘레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초고압애자(20)의 최대외경, 즉 제2돌출부(22)가 형성된 부위의 외경은 약 32㎝정도이고, 최소외경 즉 둥그러운 홈(23)이 형성된 부위의 외경은 약 22㎝정도이다. 이런 형태로 구성된 초고압애자(20)의 표면에는 내염 콤파운드(도시생략)가 도포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탑(10)에 배치된 초고압애자(20)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내염 콤파운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거나, 또는, 이런 초고압애자(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전류 통전부(40) 및 플랜지(30)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성이 있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50)를 초고압애자(20)의 제1·제2돌출부(21, 22)들에 의해 형성된 홈(23)에 끼워 몸을 의지하고 작업자의 발을 이런 홈(23)에 의지한 체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홈(23)의 크기가 약 4㎝, 깊이가 약 5∼6㎝정도로 작업자의 발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런 홈(23)에 끼워져 있던 내염 콤파운드를 제거한 후에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곳이 매우 미끄러워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런 열락한 작업조건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만족스러운 작업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전류 통전부 및 플랜지의 점검작업은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작업장소가 협소하여 위험을 감수하면서 단독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초고압애자의 둘레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발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철탑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초고압애자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에서 작업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래 기술의 정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제1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초고압애자에서 작업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10 : 철탑
11 : 고무부재 20 : 초고압애자
21, 22, 113 : 돌출부 23, 111, 112 : 홈
30 : 플랜지 40 : 대전류 통전부
50 : 안전벨트 114 : 밴드부
114a : 체결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의 철탑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홈으로 구성된 초고압애자의 둘레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초고압애자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와 다수의 홈에 정합될 수 있도록 내면에 다수의 홈과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의 고무부재와,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를 상기 초고압애자의 둘레에 결합하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폭이 상기 초고압애자의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무부재의 둘레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홈에는 상기 밴드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의 개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제1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에 결합한 상태를 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초고압애자에서 작업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6도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1)은 반원형 형상인 2개의 고무부재(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런 2개이 고무부재(11)를 결합하면 높이가 약 30㎝정도이고 외경이 약 62㎝정도인 중공형의 원형봉 형상을 갖는다. 이런 중공형 고무부재(11)의 둘레에는 약 1㎝정도의 깊이를 갖는 3개의 홈(도시생략)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홈에는 2개의 고무부재(11)를 결합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체결부(114a)가 부착되어 있는 밴드부(114)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중공형 고무부재(11)의 내측면의 둘레에는 제1도에 도시된 초고압애자(20)의 제1·제2돌출부(21, 22)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제1·제2홈(111, 112)과, 상기 초고압애자(20)의 홈(23)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113)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런 고무부재(11)의 제1·제2홈(111, 112)과 돌출부(113)가 상기 초고압애자(20)에 형성된 제1·제2돌출부(21, 22)와 홈(23)에 정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홈(112)의 깊이(L)는 약 6㎝정도이고, 상기 제1홈(111)의 깊이(L')는 약 5㎝정도이며, 이런 제1·제2홈(111, 112)들 간의 간격(b)은 약 4㎝정도이다. 이렇게 형성된 고무부재(11)의 최대내경(R), 즉 제2홈(112)이 형성된 부위의 내경은 약 32㎝정도이고, 최소내경(r) 즉 돌출부(113)가 형성된 부위의 내경은 약 22㎝정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1)을 초고압애자(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2개의 고무부재(11)를 사용하여 이런 초고압애자(20)를 감싸게 하면서 고무부재(1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제2홈(111, 112) 및 돌출부(113)와 초고압애자(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제2돌출부(21, 22) 및 홈(23)이 서로 맞물리게 끼워 정합 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고무부재(11)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밴드부(114)의 체결부(114a)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초고압애자(20)의 둘레에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1)이 결합되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판의 폭은 약 15㎝정도가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치된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1)을 사용하여 철탑(10)에 배치되어 있는 초고압애자(20)의 표면에 도포된 내염 콤파운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거나, 또는 이런 초고압애자(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전류 통전부(40) 및 플랜지(30)를 점검할 경우에, 작업자는 안전벨트(50)를 초고압애자(20)의 제1·제2돌출부(21, 22)들에 의해 형성된 홈(23)에 끼워 몸을 의지하고 작업자의 발을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1)에 의지한 체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은 고무부재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초고압애자에 손상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취급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미숙력자라 할지라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초고압애자에 도포된 내염 콤파운드 제거 및 재도포와, 대전류 통전류 및 플래지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전류 통전부 및 플랜지를 점검하기 위해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2명의 작업자의 발을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의지한 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며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발전소의 철탑(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면둘레에 다른 돌출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제2돌출부(21, 22)와 상기 제1, 제2돌출부(21, 22)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홈(23)으로 구성된 초고압애자(20)의 둘레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돌출부(21, 22)와 대응하는 깊이를 각각 갖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환형의 제1, 제2홈(111, 112)과, 상기 홈(23)에 대응하는 돌출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113)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무부재(11)와;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11)에 부착되어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11)가 상기 초고압애자(20)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또는 해체가 가능한 체결부(114a)가 설치된 다수의 밴드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고무부재(11)를 상기 초고압애자(20)의 둘레에 결합하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폭이 사이 초고압애자(20)의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KR1019970045980A 1997-09-05 1997-09-05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KR10022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80A KR100227994B1 (ko) 1997-09-05 1997-09-05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80A KR100227994B1 (ko) 1997-09-05 1997-09-05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95A KR19990024695A (ko) 1999-04-06
KR100227994B1 true KR100227994B1 (ko) 1999-11-01

Family

ID=1952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980A KR100227994B1 (ko) 1997-09-05 1997-09-05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359B1 (ko) 2018-09-18 2019-08-28 (주)원광전기 초고압 ds 및 m.tr 점검용 부싱 승탑사다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722U (ko) * 1992-09-23 1994-04-21 이동구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722U (ko) * 1992-09-23 1994-04-21 이동구 지중 전선관용 방수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359B1 (ko) 2018-09-18 2019-08-28 (주)원광전기 초고압 ds 및 m.tr 점검용 부싱 승탑사다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95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4753A (en) Electrical insulator and conductor cover
US4048779A (en) Turnbuckle connector useable in a method for replacing an existing utility pole without disturbing hardware mounted thereon
MX9300373A (es) Equipo de restauracion para cables de telecomunicaciones.
US4280013A (en) Insulator cover
KR100227994B1 (ko) 초고압애자용 작업발판
US4991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a wooden pole
KR200340615Y1 (ko) 확장형 케이블행거
NO831945L (no) Anordning ved kjettingelementer.
CN216824552U (zh) 一种输电线路登塔轻便型防坠落工具
CN208637898U (zh) 一种可活动范围大的刀闸检修平台
CN210483512U (zh) 一种输电线路用伸缩式爬梯
JP4531999B2 (ja) 安全帯取付装置
GB1587532A (en) Cable securing device
KR200218513Y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N207134698U (zh) 一种塔架用检修平台
CA2125354A1 (en) Guard Device
CN215662554U (zh) 一种油电混动汽车马达水套打码工作台
CN211473980U (zh) 一种电力维修用可调试爬梯
JPH08163729A (ja) 鋼管鉄塔の主柱材取替装置
KR20210100257A (ko) 전신주 안전작업대
KR900002320Y1 (ko) 전주의 발판 작업대
JPH0739291A (ja) 鳥害防止器
CN219058270U (zh) 一种高压套管吊装工具
KR20240027422A (ko) 전신주 이동식 발판
CN217782644U (zh) 检修扶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