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346Y1 - 반도체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346Y1
KR940006346Y1 KR2019910019667U KR910019667U KR940006346Y1 KR 940006346 Y1 KR940006346 Y1 KR 940006346Y1 KR 2019910019667 U KR2019910019667 U KR 2019910019667U KR 910019667 U KR910019667 U KR 910019667U KR 940006346 Y1 KR940006346 Y1 KR 940006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assembly
semiconductor
chip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109U (ko
Inventor
고준수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9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346Y1/ko
Publication of KR930012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조립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조립장치 구성도.
제2a도 내지 제2b도는 제1도에 따른 반도체 조립장치 공정 순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반도체 조립장치 구성도.
제4a도 내지 제4h도는 제3도에 따른 반도체 조립장치 공정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2 : 알루미늄 패드
3 : 비활성층 4 : Cr/Cu/Au층
5 : 솔더범프 6, 8 : Cr층
7 : Cu층 9 : 기판
10 : Au범프 11 : 전도층
12 : 핀 13 : 부도체 페이스트
14 : PCB 기판 PR : 포토레지스트층
본 고안은 반도체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Bump)를 가진 칩(Chip)과 핀을 가진 기판(Substrate)의 연결시에 파인피치(Fine Pitch)에 적합하도록 한 반도체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조립장치는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1)위에 알루미늄 패드(2)를 형성하고, 그 칩의 알루미늄 패드(2)위에 비활성층(3)을 형성시킨후 그 비활성층(3)을 선택적으로 에칭하고, 그 위에 Cr/Cu/Au층(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Cr/Cu/Au층(4)은 접착층(Adhesion Layer)으로 사용되는 Cr층(4-1)을 스퍼터링(sputtering) 및 증착법(Evaporation)으로 500Å 정도로 증착하고, 상기 Cr층(4-1)위에 확산장벽층과 산화방지층인 Cu층(4-2)과 Au층(4-3)을 각각 1㎛, 1000Å 정도로 증착한 다음, 상기 산화방지층인 Au층(4-3)을 부분적으로 에칭하여 Cr/Cu/Au층(4)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위에 Pb/Sn으로 된 솔더펌프(5)를 증착시켜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스퍼터링 또는 증착법으로 Cr/Cu/Au층(4)을 형성한 후에 다시 Pb/Sn을 차례로 스퍼터링(sputtering) 및 증착법(Evaporation)으로 증착하여 Pb/Sn의 비율이 95 : 5로 되면 상기의 소자를 350℃정도의 노(furnace) 속에 넣어 Pb/Sn 솔더(Solder)를 리플로(reflow)시켜서 원형의 솔더펌프(5)를 형성한다.
한편,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판(9)위에 Cr/Cu/Au층(6~8)을 스퍼터링(sputtering)방법으로 차례로 증착한 후 솔더펌프(5)가 접촉될 부분의 Cr층(6)을 에칭시켜 솔더펌프(5)와 Cu층(7)이 접촉되도록 패턴을 형성한다.
결국,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Flux)를 이용하여 칩과 기판을 일시적으로 접착시킨 상태에서 고온의 노속에 방치함으로 칩과 기판이 접속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조립장치는 피치(pitch)가 8mil정도로 되어 칩의 패드배열이 원형인 경우 파인피치(Fine Pitch)용으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칩의 펌프(Bump)와 기판의 핀(pin)이 접속되는 반도체 조립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반도체 조립장치는 제4a도 내지 제4h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1) 위에 알루미늄 패드(2)를 형성하고, 상기 알루미늄 패드(2)위에 비활성층(3)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에칭해 낸다. 이와 같이 비활성층(3)이 에칭된 일부의 알루미늄 패드(2) 위에 접착층(Adhesion Layer)으로 사용되는 500Å 정도의 Cr층(4-1)을 스퍼터링(sputtering) 및 증착(Evaporation)법으로 증착시키고, 상기 Cr층(4-1)위에 확산장벽층으로 사용되는 1㎛정도의 Cu층(4-2)과 산화방지층으로 사용되는 1000Å정도의 Au층(4-3)을 스퍼터링(sputtering) 및 증착(Evaporation)법으로 증착시킨다. (제4a도)
상기에서와 같이 Cr/Cu/Au층(4)을 연속적으로 증착시킨 후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층(PR)을 20㎛정도로 제4b도와 같이 도포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PR)을 선택적으로 노출 및 현상시켜 불필요한 부분의 포토레지스트층(PR)을 제거하여 제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층(PR) 패턴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제4d와 같이 상기에서 제거된 포토레지스트층(PR)에 금속공정으로 전도성이 높은 Au를 노출된 부위에 증착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PR)을 제거한 다음 제4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Cr/Cu/Au층(4)을 패터닝하여 칩의 범프(10)를 형성한다.
한편, 기판의 핀형성은 제4f도에서와 같이 PCB기판(14)위에 전도층(11)을 도포하여 핀형성영역을 정의하고, 그 핀형성영역을 에칭하여 전도층(11)패턴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제4g도와 같이 상기 PCB기판(14)에 핀(12)이 주입될 홀을 형성한 다음 그 형성된 홀 내부에 전도층(11)을 형성하고, 텅스텐(W)으로 만들어진 핀(12)을 끝부분이 10~15㎛정도 돌출되도록 제4h도에서와 같이 삽입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형성된 10~15㎛정도 두께의 범프(10)를 가진 칩(chip)과 핀(12)을 가진 PCB기판(14)을 접촉시켜 본딩(Bonding)공정을 하면 제3도와 같은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칩의 범프와 기판의 판이 접속됨으로서 파인피치(Fine Pitch)에 적용될 수 있고, 범프를 금(Au)으로 형성함으로써 전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립칩(Flipchip) 본딩을 위한 솔더펌프(Solder Bump)나 탭을 위한 Au범프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패드를 갖는 반도체 칩과, 상기 패드위에 형성된 Cr/Cu/Au층과, 상기 Cr/Cu/Au층위에 형성되는 금(Au)으로 된 범프와,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범프와 본딩된 핀이 형성된 기판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핀은 텅스텐(W)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조립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핀은 10~15㎛정도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조립장치.
KR2019910019667U 1991-11-16 1991-11-16 반도체 조립장치 KR940006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667U KR940006346Y1 (ko) 1991-11-16 1991-11-16 반도체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667U KR940006346Y1 (ko) 1991-11-16 1991-11-16 반도체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109U KR930012109U (ko) 1993-06-25
KR940006346Y1 true KR940006346Y1 (ko) 1994-09-17

Family

ID=1932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667U KR940006346Y1 (ko) 1991-11-16 1991-11-16 반도체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3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109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548B2 (en) Mask repattern process
JP3549208B2 (ja) 集積再分配経路設定導体、はんだバイプならびにそれらにより形成された構造を形成する方法
US7205221B2 (en) Under bump metallization pad and solder bump connections
KR0166967B1 (ko) 테이프 조립체 본딩용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6222279B1 (en) Solder bump fabrication methods and structures including a titanium barrier layer
US6415974B2 (en) Structure of solder bumps with improved coplanarity and method of forming solder bumps with improved coplanarity
US6365498B1 (en) Integrated process for I/O redistribution and passive components fabrication and devices formed
US4967313A (en) Electronic circuit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US772842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cessed connector portions
US5208186A (en) Process for reflow bonding of bumps in IC devices
JPS6461934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US6162718A (en) High speed bump plating/forming
US4034467A (en)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chip wiring arrangement
KR940006346Y1 (ko) 반도체 조립장치
US6960518B1 (en) Buildup substrate pad pre-solder bump manufacturing
US7701069B2 (en) Solder interface locking using unidirectional growth of an intermetallic compound
JPH07201922A (ja) 基板上へのハンダバンプの形成方法
JP272158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11857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363813B2 (ko)
KR100417126B1 (ko) 고밀도 및 고종횡비를 갖는 배선용 범프 형성 방법
JPS6461038A (en)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H0745664A (ja) 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
JPS60214548A (ja) 突起電極付リ−ド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