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810Y1 -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810Y1
KR940005810Y1 KR2019890020581U KR890020581U KR940005810Y1 KR 940005810 Y1 KR940005810 Y1 KR 940005810Y1 KR 2019890020581 U KR2019890020581 U KR 2019890020581U KR 890020581 U KR890020581 U KR 890020581U KR 940005810 Y1 KR940005810 Y1 KR 940005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ssembly
arm
le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641U (ko
Inventor
유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810Y1/ko
Publication of KR910012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rever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프레이 모드 절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솔레노이드 2 : 록킹레버
4 : 계지판 5 : FW기어
6 : 캠가이드 7 : 계지턱
8 : 아암리버스엇세이 9 : 아암FW엇세이
21 : 체인지레버 22, 23 : 푸셔
24 : 캠플로워
본 고안은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지 레버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플레이 모드가 변환 되도록 한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2웨이 레코드 방식의 데크는 한 방향의 플레이가 진행될때 다른 방향의 플레이는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링크절운동을 이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방식은 기구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발생율이 높고, 고장시 수리하기가 용이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작동이 확실한 체인지 레버 방식의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계지핀을 보유하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연동하는 록킹레버와, 상기한 계지핀이 계지되는 계지턱을 갖는 캠가이드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포워드(Forward)(이하 WD라 칭함)기어와, 상기한 FW기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아암리버스(Reverse)엇세이와 아암FW엇세이, 그리고 상기한 엇세이에 계지됨과 아울러 캠가이드면을 따라 마찰구동하는 캠플로워에 의해 데크상에서 슬라이드 운동하면서 상기한 엇세이를 선택적으로 각운동시켜 플레이 모드를 변환시키는 체인지레버로 구성되는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체인지 레버의 양측에 제1 및 제2푸셔가 형성된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푸셔는형상으로 되고, 제2푸셔는형상으로 되는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본 고안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1)은 솔레노이드를 지칭한다.
솔레노이드(1)은 데크(도시생략)의 소정부위에 고정설치되며, 아래단에는 록킹 레버(2)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록킹레버(2)는 고정부(2a)와 계지부(2b), 그리고 정지부(2c)로 이루어져 대략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a)에 상기한 솔레노이드(1)의 축이 고정되어 록킹레버(2)는 힌지축(3)을 중심으로 각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계지부(2b)에는 계지핀(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계지핀(4)는 FW기어(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캠가이드(6)의 계지턱(7)에, 상기한 솔레노이드(1)의 작동에 따라 계지 또는 해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FW기어(5)의 양측에는 아암리버스엇세이(8)과 FW엇세이(9)가 각각 축(10),(11)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아암리버스엇세이(8)과 아암FW엇세이(9)는 각각 탄성부재(도시생략)로 탄발설치되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 회동레버(12)(13)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아이들기어(14)(15) 그리고 아이들기어(14)(15)와 치합되는 축기어(16)(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회동레버(12)(13)은 각각 벤딩돌기(18)(19)를 보유한다.
한편 데크에는 일측에 탄성부재로 탄발설치되고 가이드홈(20)이 형성된 체인지레버(21)이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체인지레버(21)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푸셔(22)(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한 벤딩돌기(18)(19)를 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푸셔(22)는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푸셔(23)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인지레버(21)에는 캠플로워(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캠플로워(24)는 상기한 캠가이드(6)에 접촉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5,26은 리일기어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1)이 하강 작동하게 되면, 록킹레버(2)가 힌지축(3)을 중심으로 각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각운동에 의해 록킹레버(2)가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계지턱(7)로부터 계지핀(4)가 이탈이 되고, 이와 동시에 정지부(2c)가 체인지 레버(21)의 푸셔(22)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FW기어(5)가 자유스러운 상태가 되고, 체인지 레버(21)은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푸싱판에 의해 FW기어(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여 축기어(17)와 치합됨에 따라 FW기어(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캠가이드(6)에 접촉되어 있는 캠플로워(24)가 캠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캠플로워(24)가 설치되어 있는 체인지레버(21)이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인지레버(21)이 이동함에 따라 푸셔(22)가 회동레버(12)의 벤딩돌기(18)를 밀게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아암리버스엇세이(8)이 회전하여 제1아이들기어(14)가 리일기어(25)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푸셔(23)으로 부터 벤딩돌기(19)가 해지되어 회동레버(13)은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리일기어(26)과 제2아이들기어(15)가 치합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1)이 상승 작동하면 록킹레버(2)의 정지부(2C)가 회전되면서 체인지 레버(21)을 밀어 상기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아암리버스 엇세이(8)과 아암FW 엇세이(9)가 상기한 작동과 상반되는 작동을 하여 제2아이들기어(15)와 리일기어(26)은 떨어지고, 제1아이들기어(14)와 리일기어(25)가 치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체인지 레버가 이동함에 따라 모드가 절환되는 구성으로서, 종래의 모드 절환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확실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계지핀(4)를 보유하며 솔레노이드(1)의 작동에 의해 연동하는 록킹레버(2)와, 상기한 계지핀(4)가 계지되는 계지턱(7)을 갖는 캠가이드(6)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FW기어(5)와, 상기한 FW기어(5)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아암 리버스 엇세이(8) 및 아암 FW엇세이(9)와, 상기한 리버스, FW 엇세이(8)(9)에 계지됨과 아울러 캠가이드(6)면을 따라 이동하는 캠플로워(24)에 의해 푸셔(22)(23)이 상기한 리버스 엇세이(8)과 아암 FW엇세이(9)를 변위 시키는 체인지 레버(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KR2019890020581U 1989-12-29 1989-12-29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KR940005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581U KR940005810Y1 (ko) 1989-12-29 1989-12-29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581U KR940005810Y1 (ko) 1989-12-29 1989-12-29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641U KR910012641U (ko) 1991-07-30
KR940005810Y1 true KR940005810Y1 (ko) 1994-08-25

Family

ID=1929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581U KR940005810Y1 (ko) 1989-12-29 1989-12-29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8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641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8605387A1 (es) Una figura de accion de juguete
JPS59112319A (ja) トランスミツシヨンシフト装置
CA1245874A (en) Device for engaging and releasing a coupling,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 mechanism for locking a latch for a motor vehicle door
KR940005810Y1 (ko)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GB2136896A (en) Gear shift selecting mechanism
CN109859965B (zh) 双电源自动转换开关及其电磁驱动机构
HUT55163A (en) Spring motor to the load change-over elements of the ratio switchs
KR910001378B1 (ko) 푸시 버튼식 동조기
DE20220200U1 (de)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US4614009A (en) Locking member for a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JPS633196B2 (ko)
JP2539288B2 (ja) 空気式限時継電器
US5224390A (en) Direction reversing actuator apparatus
US7335846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motorized shutter
SU1184704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механизмом переключени передач
KR890000155Y1 (ko)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용한 로우딩기어 및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US4192198A (en) Two gear train reduction mechanism
SU1302258A1 (ru) Механизм управлени коробкой передач
US4681988A (en) Switch selector mechanism
KR870001474Y1 (ko) 비데오 데크의 급속 귀환 장치
SU887843A2 (ru) Рычажно-кулачковый механизм
JP272670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RU2006725C1 (ru) Прямолинейно-направляющий механизм
KR200171000Y1 (ko) A/t용 변속 레버의 디텐트 구조
SU992290A1 (ru) Привод стрелочного пере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