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378B1 - 푸시 버튼식 동조기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식 동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378B1
KR910001378B1 KR1019830002235A KR830002235A KR910001378B1 KR 910001378 B1 KR910001378 B1 KR 910001378B1 KR 1019830002235 A KR1019830002235 A KR 1019830002235A KR 830002235 A KR830002235 A KR 830002235A KR 910001378 B1 KR910001378 B1 KR 91000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shaft
operating
operating shaf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623A (ko
Inventor
다마기 오오하시
쯔네후사 스즈끼
가오루 나까다
히사오 후지무라
노부야 호시
히로미쯔 우이
Original Assignee
닛홍테크니컬 가부시기가이샤
다마기 오오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홍테크니컬 가부시기가이샤, 다마기 오오하시 filed Critical 닛홍테크니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03J5/0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operated by hand
    • H03J5/12Settings determined by a number of separately-actuated driving means which adjust the tuning element directly to desired settings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 버튼식 동조기
제1도는 일부를 생략한 전체 평면도
제2도는 제1 도에 있어서의 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1 도의 I-I선의 단면도.
제4도는 제1 도의 II-II선의 단면도.
제5도는 제2 도의 III-III선의 단면도
제6도, 제7도는 동작의 설명도.
제8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9소는 제8도에 있어서의 부분 평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IV-IV선의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V-V선의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13도는 작동판이 전후로 움직일 때의 일부를 생략한 전체 평면도.
제14도는 같은 부분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VI-VI선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VII-VII선의 단면도.
제17도, 제18도는 동작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축 3 : 지지 부재
5 : 절환 레버 9 : 주동 기어
11 : 프레임 12 : 스톱퍼
13, 14,26.26',35,44,53,53'.66 : 스프링 16, 16' : 선국축
18, 18' : 캠축 19, 19' : 나사부
20, 20' : 커넥터 21, 21' : 종동 기어
22, 22' : 기억부 23, 23' : 선택 부재
24, 24' : 돌출부 25, 25' : 걸림 부재
28, 60 : 작동판 29, 29' : 캠
30 : 가변 동조 소자 34, 63 : 로크판
40, 41 : 회전운동 부재 80 : 패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값싸게 얻을 수가 있으며, 더우기 소형화에 유효함과 동시에 많은 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푸시 버튼식 동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단일의 푸시 버튼 조작 기구에 의하여 다른 다수개의 주파수 대역폭, 예를 들면 AM밴드와 FM밴드의 국을 선택할 수가 있는 멀티 밴드용 푸시 버튼식 동조기는 많이 알려져 있으나, 종래의 동조기는 매우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이며, 선국의 정밀도에도 문제가 있으며, 특히 현재와 같이 소형화의 요구에 의해서는 적합하지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간(shaft bar)에 나사부를 설치하고 그 나사부에 맞물린 선택 부재를 축간의 회전운동 조작에 의하여 그 축금 방향으로 이동 조정해서 그 이동 스트로우크(Stroke)에 의해서 국 동조점을 기억시키어 그 이동 스트로우크를 가변 동조 소자와 연동하는 작동판에 전달하여 상기 가변 동조 소자를 가변한 것으로써, 선국을 달성하는 공지의 선국 방식을 이용하여 종래의 결함을 개선한 것으로 그 실시예를 다음의 도면을 가지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1개의 조작축과 2개의 선국축을 한 조로 하는 선국기구를 프레임(frame)에 대해서 2조를 장치하고, 다른 선국기구에 대해서는 이를 생략한 전체 평면도이다. 조작축(1)은 긴 축간(2)로 되어 있으며 이 축간(2)위에 전후 끝으로 하향 절편(3a), (3b)가 있어, 상면에 중간부가 원추형축 (4)를 거쳐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원추형 접합된 절환 레버 (5)와 이 절환 레버(5)의 회전운동 상태를 유지하는 탄력선(6)이 있는 형의 지지 부재(3)이 상기 절편(3a), (3b)에 축간(2)를 끼워서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절환 레버(5)의 선단은 V자 형태로 열리는 설편(舌片)(5a), (5b)를 가지고 폭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폭이 넓은 부분에 상기 지지 부재(3)의 상면에 돌출 설치한 핀(7)과 걸어 맞추어 상기 절환 레버 (5)의 회전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원호 형태의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간(2)의 앞부분(2a)는 축심 방향에서 일부측면이 잘려서 단면이 비원형 상태를 나타내고, 그 앞부분(2a)에 회전 방향으로 같이 움직이며 축심방향에 있어서 유동하는 주동 기어(9)가 끼워져 있고, 뒤끝에는 푸시 버튼(10)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축(1)은 프레임 (11)의 앞쪽판(l1a)와 뒤쪽판(l1b)에 회전 및 전후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받쳐져 있으며 또한 상기 앞쪽판(lla)와 주동 기어 (9)의 사이에는 이들 프레임 (11)의 바닥판(11c)로부터 절기(切起)되어 위쪽으로 돌출한 스톱퍼(stopper) (12)에 눌러서 접속하기위한 스프링(13)이 끼워져 있으며, 또 상기 뒤쪽판(l1b)와 푸시 버튼(10)의 사이에는 조작축(1)의 복원용 스프링(14)가 각각 끼워져 있다. 또 프레임 (11)의 받가판(llc)에는 지지 부재(3)의 절편(3b)의 연장 하단부와 걸어 맞추어져 그 전후 방향의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구멍 (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1)과 조를 이루는 1쌍의 선국축(16)(16')는 동일 구성으로 되며, 설명의 편의상 한쪽의 선국축(16)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고, 그 다른쪽을 도면에서 ( )을 붙혀서 구별한다. 즉, 선국축(16)은 긴 축간(17)로 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끝이 가는 상태의 캠축(1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축간(17)에는 나사부(19), 형으로 형성되어 그 전후면이 상기 나사부(19)를 끼우도록 축심 방향에 고정되고 회전 방향에서 자유로운 커넥터 (20), 상기 주동 기어(9)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이것보다 지름을 크게 한 종동 기어 (21), 상기 나사부(19)와 맞물림하여 하면에 기억부(22)를 돌출 설치한 각 형태의 선택 부재(23)이 각각 설치되었고, 또 상기 커넥터(20)에는 상기 절환 레버 (5)의 한쪽 설편(5a)의 뒤 둘레와 맞닿아서 그 절환 레버(5)에 회전운동력을 부여하는 돌출부(24), 상기 절환 레버(5)의 한쪽의 설편(5a)의 앞 둘레와 맞닿아서 상기 조작축(1)이 앞으로 움직일 때 선국축(16)을 같이 움직이게 하는 걸림부재(25)가 각각 설치되고, 이와 같이 구성된 선국축(16)라 (16')가 상이 조작축(1)의 좌우로 평행 상태로 위치해서 프레임(11)의 앞쪽판(l1a)와 뒤쪽판(l1b)에 회전 및 전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또 상기 앞쪽판(lla)와 종동 기어(21), (21') 사이에는 각각 그 복원용 스프링 (26) (26')가 끼워져 있고, 더우기 상기 프레임(11)의 바닥판(l1c)에는 상기 기억부(22), (221)의 선단과 커넥터 (20), (20')의 일부를 각각 걸어 맞추어 그 전후 방향의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멍(27)과 (2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조작축(1)과 좌우에 위치한 1쌍의 선국축(16), (16')의 관계는 예를들면, 전환 레버 (5)의 한쪽 설편(5a)의 앞 둘레가 한쪽의 선국축(16)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20)의 걸림부재(25)와 맞닿음이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 푸시 버튼(10)을 앞쪽으로 누르면 조작축(1)과 동시에 한쪽의 선국축(16)도 걸림부재(25)와 설편(5a)의 맞닿음에 의해서 앞쪽으로 미끄럼 운동을 한다. 이 때에 주동 기어(9)는 스프링 (13)의 탄력에 의하여 스톱퍼(12)에 눌려 접하여져 정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이 주동 기어(9)에 대해 앞으로 움직인 한쪽의 선국축(16)의 종동 기어 (21)이 맞물리게 되는 것이며 또 상기 선국축(16)이 앞으로 움직인 상태는 다음에 기술하는 로크 판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푸시 버튼(10)의 눌림을 풀면 조작축(1)은 그 복원용 스프링 (14)에 의해서 복원하지만, 이 복원 동작시에 절환 레버 (5)의 한쪽 설편(5a)의 뒤 둘레가 앞으로 움직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한쪽의 선국축(16)의 돌출부(24)에 맞붙어서 절환 레버 (5)는 다른쪽의 선국축(161)쪽으로 회전운동이 절환되어져서, 이번에는 절환 레버(5)의 다른쪽의 설편 (5b)의 앞 둘레가 다른쪽의 선국축(16')에 설치된 커넥터(20')기 걸림부(25')와 맞닿음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조작축(1)의 1왕복의 전후운동마다 절환 레버 (5)는 돌출부(24) 내지 (24')와의 맞붙음 작용에 의해 교대로 회전운동이 절환되어서 상대적으로 조작축(1)과 1쌍의 선국축(16), (16')가 앞으로 움직인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프레임(11)과 바닥판(11c)면 위에는 한쪽끝이 바닥판(11c)에 원통형축(38), (39)를 거쳐서 각각 원통형 접합된 회전운톤 부재(40), (41)의 다른쪽 끝에 양단이 원통형축(42), (43)을 거쳐 연결되어서 프레임(11)의 가로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동판(28)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작동판(28)에는 상기 1쌍의 선국축(16), (16')에 있는 기억부(22), (22')와 각각 대향해서 경사 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캠 (29), (29')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회전운동 부재(41)에는 그 회전운동 작용에 의해서 가변되는 가변 동조 소자(30)이 슬라이드판(31)을 거쳐서 연결되어있다.
상기 작동판(28)은 이것을 언제나 한 방향으로, 즉 기억부(22) 내지 (22')가 대향하는 캠 (29) 또는 (29')에 맞붙었을 때, 그 맞붙음 작용에 의하여 작동판(28)이 가로로 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스프링 (44)에 의해서 탄력을 가하게 되어 있으며, 또 기억부(22), (22')의 모두가 대향하는 캠 (29) 내지 (29')에 맞닿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상기 1쌍의 회전운동 부재 (40), (41)이 원추형축(38)과 (42) 및 원추형축(39)와 (43)을 연결하는 선 n 및 m이 조작축(1)의 축심 방향과 평행하는 수선l에 대해 소요 각도 α를 가지고 상기 캠(29)또는 (29')의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프레임(11)의 앞쪽 위치에는 바닥판(11c)의 면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핀(32)와 긴구멍 (33)의 걸어맞춤에 의해 로크판(3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로크판(34)는 스프링(35)에 의해 항상 긴쪽방향의 한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로크판(34)에 설치한 수직부재(36)에는 상기 어느 한쪽의 선국축(16) 또는(16')가 앞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거기에 설치한 캠축(18) 또는 (18')의 선단 경사부 P와 작용하여 로크판(34)에 그 힘이 가해진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로로 움직이는 힘을 부여하고, 또 상기 선단 경사부 P가 통과하였을 때, 캠축(18) 또는 (18')의 흠 Pa와 걸리게하여 주동 기어 (9)와 종동 기어 (21) 또는 (21')의 맞물림을 허용함과 동시에, 선국축(16) 또는 (16')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는 오목 상태의 걸림부(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서 동조기의 가로폭 치수를 축소할 목적으로 1개의 조작축(1)과 1쌍의 선국축(16), (16')로 된 1조의 선국 기구와 이들과 인접하는 다른 1조의 선국 기구에 있어서 절환 레버 (5)를 가진 지지 부재(3)과 선택 부재 (23), (23'), 커넥터 (20), (20')를 설치한 위치가 인접하는 상호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다르게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위치를 동일한 열로 배치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면중 (45)는 정지 부재이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기술하면, 제1도는 프레임 (11)의 가장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 선국기구에 있어서, 조작축(1)의 푸시 버튼(10)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고, 그 조작축(1)과 그 우측에 인접한 선국축(16')가 절환 레버(5)의 한쪽의 설편(5b)와 걸림부재 (25')의 맞닿음에 의해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고, 또 상기 선국축(16')가 캠축(18')의 홈 Pa와 로크판(34)의 걸림부(37)의 걸림에 의해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되어 주동 기어 (9)와 한쪽의 종동 기어(21')가 맞물리고, 그 이외의 선국 기구가 복원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푸시 버튼(10)의 눌림을 풀면, 복원용 스프링(14)에 의해서 전진하고 있는 조작축(1)은 주동 기어 (9)를 정위치로, 즉 한쪽의 종동 기어 (21')와의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로 축간(2)가 지지 부재 (3)과 함께 뒷쪽으로 복원한다. 그리고 그 복원 동작 과정에 있어서, 절환 레버 (5)의 설편(5b)가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한쪽의 선국축(16')에 구비한 커넥터 (20')의 돌출부(24')와 맞붙게하여 도면에서 절환 레버 (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그 결과 제2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절환 레버 (5)와 돌출부(24')가 떨어져 있지만, 이것은 절환 레버(5)가 돌출부(24')에 의해서 회전운동 되었을 때, 탄력선(6)에 의해 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제2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푸시 버튼(10)을 회전하면, 작은 지름의 주동 기어 (9)와 큰 지름의 종동 기어(21')의 맞물림을 거쳐서 한쪽의 축간(17')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기어(9)와 (21')의 지름의 상위에 의해 축간(17')가 매우 적게 회전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선택 부재(23')도 축심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여 여기에 설치한 기억부(22')와 이에 대향하는 작동판(28)의 캠 (29')의 눌러 접하는 것에 의해 작동판(28)이 선택 부재(23')의 이동 스트로우크에 상당해서 가로로 이동을 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작동판(28)에 회전운동 부재(41)을 거쳐서 연결된 가변 동조 소자(39)이 가변되어 바라는 국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선택 부재(23')의 이동에 의해 한쪽의 선국축(16')에 바라는 국을 기억시킨 다음 조작축(1)의 푸시 버튼(10)을 제2도의 상태에서 다시 누르면, 이번에는 절환 레버 (5)의 다른쪽의 설편(5a)와 다른쪽의 선국축(16)에 마련된 커넥터 (20)의 걸림부재(25)의 맞닿음에 의해서 조작축(1)과 다른쪽의 선국축(16)이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고, 그 선단 캠축(18)의 경사부 P가 로크판(34)의 걸림부(37)에 작용해서 그 로크판(34)를 일시적으로 도면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로 가로 이동하고, 이 가로 이동시에 이미 앞으로 움직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한쪽의 선국축(16')에 있어서의 홈 Pa와 걸림부(37)의 걸림이 풀어져서 그 한쪽의 선국축(16')는 그 복원용 스프링 (26')에 의해 복원된다. 다른쪽의 상기 조작축(1)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다른쪽 선국축(16)의 선단 캠축(18)의 홈 Pa가 이와 대향하는 걸림부(37)과 걸려져서 그 앞으로의 이동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주동 기어 (9)에 대해 다른쪽의 종동 기어 (21)이 맞물리고, 이 상태는 푸시 버튼(19)의 눌림이 풀어져도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푸시 버튼(10)을 회전 조작하면, 그 회전은 주동 기어 (9)와 다른쪽의 종동 기어 (21)과의 맞물림에 의해 다른쪽의 축간(17)에 전달되고, 그 회전에 의하여 다른 쪽의 선택 부재 (23)은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이동에 의해서 처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작동판(28)의 가로로 이동하는 작용에 의해서 가변 동조 소자(30)이 가변되어 바라는 국의 선택이 달성된다.
이와같이 프레임 (11)에 장착된 모든 선국축에 바라는 국을 기억시킨 다음에 임의의 위치의 푸시 버튼(10)을 눌러서 조작하여 조작축(1)을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것과 선택적으로 작동 연결되는 좌우에 인접하는 어느 한쪽의 선국축(16) 내지 (16')가 함께 움직여 앞쪽으로 이동하고, 여기에 설치한 선택 부재(23) 내지 (23')의 기억부(22) 내지 (22')와 작동판(28)의 캠(29) 내지 (29')가 스프링(44)에 의해서 맞붙어서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선택 부재(23), (23')의 기억하고 있는 국이 작동판(28)의 가로로 이동하는 작용과 가변 동조 소자(30)의 가변 작동에 의해서 재현된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축간(2)의 앞부분(2a)를 단면이 비원형 형상으로 되고, 그 앞부분(2a)에 주동 기어(9)를 축심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회전 방향에서 함께 움직이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스프링(13)에 의해 주동 기어(9)를 스톱퍼(12)에 눌러 접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선국축(16) 내지 (16')가 앞으로 이동해서 주동 기어 (9)에 종동 기어 (21) 내지 (21')가 맞물렸을 때, 양 기어의 산들이 맞닿았을 때에는, 주동 기어(9)가 스프링(13)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이동하지만, 이 이동은 푸시 버튼(10)을 회전운동하였을 때에 해제되어 주동 기어(9)와 종동 기어(21) 내지 (21')의 맞물림이 확보된다.
또 상기에 있어서, 작동판(28)에 형성한 캠 (29) 내지 (29')에 선택 부재 (23) 내지 (23')의 기억부(22) 내지 (22')의 어느것도 맞닿지 않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 그 작동판(28)의 양단을 가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 회전운동 부재(40), (41)을 미리 수선 ℓ에 수직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켰을 때에 있어서 예를들면, 한쪽의 선택 부재 (23)의 기억부(22)가 이것과 대향하는 캠 (29)에 맞붙으면서 전진할 때, 그 맞붙은 점에 일어나는 분력 V에 의하여 작동판(28)은 제7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실선의 상태에서 가상선의 상태로 변위한다. 즉, 작동판(28)은 기억부(22)의 전진을 방해하도록 뒤쪽 즉, 뒤쪽판(11b)쪽으로 변위하게 되고, 그 결과 종동 기어 (21)의 회전 조작 및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조작이 어렵게 되는 결함이 있으나,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6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작동판(28)은 기억부(22)의 전진 방향으로 피하도록 가로로 움직이면서, 실선의 상태에서 가상선의 상태로 변위하기 때문에, 종동 기어(21)의 회전 조작 및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조작이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는 축간(2)의 앞부분(2a)의 단면을 비원형 형상으로 하고, 이 앞부분(2a)에 주동 기어 (9)를 회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해서 축심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프레임(11)의 앞쪽판(11a)와 주동 기어(9)를 스프링 (13)에 의해 스톱퍼(12)에 눌러 접하도록 구성하고, 주동 기어 (9)와 종동 기어 (21)내지 (21')의 산들이 접합하였을 때, 주동 기어 (9)가 스프링(13)에 대항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에 주동 기어(9)의 회전에 의해 그 주동 기어(9)와 종동 기어(21) 내지 (21')의 확실한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할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제8도 내지 제11도는 조작축(1)의 전단부를 프레임(11)의 앞쪽판(11a)에 지지되지 않고, 프레임 (11)의 바닥판(11c)위에 절기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치한 지지판(50)으로써 상기 앞쪽판(11a)보다 뒤쪽에 지우친 위치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그 지지판(50)보다 앞쪽으로 돌출한 축간(2)의 선단부에 주동 기어(9)를 축지하고, 다른쪽 선국축(16)과, (16')의 각 축간(17)과 (17')에, 전후에 위치하는 1상의 정지 부재 (51), (52)와 (51'), (52')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의 각 사이에 회전 방향에서 함께 이동하고, 축심 방향에서 유동하는 종동 기어(21), (21')와 그 종동 기어(21), (21')를 항시 앞쪽으로 누르는 스프링(53), (53')를 각각 설치해서, 푸시 버튼(10)을 복원용 스프링(14)에 대항하여 눌렀을 때 절환 레버(5)와 걸림부재(25) 내지(25')의 맞닿음을 거쳐서, 앞쪽으로 이동하는 어느 한쪽의 선국축, 예를 들면 선국축(16')가 로크판(34)의 걸림부(37)과 캠축(18')의 걸어맞춤에 의해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되며, 이어서 푸시버튼(10)의 눌림을 풀어서, 조작축(1)이 복원하는 과정에서 주동 기어 (9)와 종동 기어 (21')의 산들이 맞닿았을 때에, 종동 기어 (21')가 스프링 (53')에 대항해서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또 그 이동이 조작축(1)의 회전 조작에 의해 해제되어 양 기어의 확실한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상기는 선국축(16), (16')의 축간(17), (17')에 종동 기어 (21), (21')를 각각 축지하였을 때에 주동 기어(9)를 조작축(1)의 축간(2)에 대해 주동 기어 (9)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것을 스프링 (13)에 의해 항상 뒤쪽으로 누르던가 또는 조작축(1)의 축간(2)에 주동 기어(9)를 축지하였을 때, 선국축(16), (16')의 축간(17), (17')에 대해 종동 기어 (21), (21')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하여, 이것을 스프링 (53), (53')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주동 기어(9)와 종동 기어(21) 내지 (21')의 산들이 맞닿았을 때 어느 한쪽의 기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축(1)의 축간(2)에 대해 주동 기어(9)를, 또 선국축(16), (16')의 축간(17), (17')에 대해 종동기어(21), (21')를 각각 회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고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축간(2)에는 주동 기어 (9)를 뒷쪽으로 누르며 정지 부재(54)에 압접하는 스프링(13)을, 또 축간(17), (17')에는 종동 기어(21), (21')를 앞쪽으로 누르며 정지 부재(51), (51')에 눌러 접하는 스프링(53), (53')를 각각 마련하여, 주동 기어(9)와 종동 기어 (21) 내지 (21')의 산들이 맞닿았을 때, 서로 상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는 모두가 캠이 있는 작동판을 선국축 및 조작축과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캠과 선국축의 기억부의 맞붙임에 의해 작동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가변 동조 소자를 가변해서 선국을 달성하는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제13도 내지 제18도는 가변 동조 소자를 부착한 작동판을 조작축의 미끄럼 운동 방향으로 가동시켜 그 미끄럼 운동 스트로우크에 상당해서 가변 동조 소자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선국을 달성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작동판(60)은 긴 판으로 하여, 그 중앙부에 이 긴 방향과 직교하는 슬라이드 바(61)이 고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바(61)은 프레임(11)의 뒤쪽판(11b)와 그 앞쪽판(11)쪽으로 장착한 가변 동조 소자(30)의 케이스와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작동판(60)의 양측 부분은 프레임 (11)의 앞뒤쪽판(11a), (11b)의 양측 부분에 설치한 가이드 바(62), (6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선국축(16), (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판(63)은 프레임(11)의 바닥판(11c)상에 긴 구멍(64)와 핀(65)가 걸어 맞춤이 되어, 가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이 로크판(63)은 스프링 (66)에 의해 언제나 한쪽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어 있다. 이 로크판(63)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쪽 둘레에 캠(67)을, 또 그 앞부분에 로크 스테이지(68)이 있는 걸어 맞춤의 구멍 (69)가 각 선국축(16), (16')에 각각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으서, 이 걸어맞춤 구멍(69)에 각 선국축(16), (16')의 커넥터 (20), (20')에 설치한 하향의 걸어 맞춤부(70)이 각각 끼워서 통하게 되어 있다. (71)은 상기 걸어맞춤 구멍 (69)에 각각 대향해서 프레임 (11)의 바닥판(11c)에 설치한 물러서는 구멍이고, (72)는 조작축(1)에 설치한 주동 기어 (9)의 후면을 받는 스톱퍼 (12)를 물러서게 하기 위한 로크판(63)에 설치한 비켜나는 구멍이며, (73)은 작동판(60)의 복원용 스프링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기억부(22), (22')를 불룩한 언덕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또 제13도 내지 제16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12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한쪽의 선국축(16')가 걸이 맞춤부(70)과 걸어맞춤 구멍(69)의 로크 스테이지 (68)의 걸어 맞춤에 의해 그 앞으로의 이동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축(1)과 함께 다른쪽의 선국축(16)을 앞으로 이동하면, 그 선국축(16)에 설치한 걸어 맞춤부(70)이 걸어맞춤 구멍 (69)의 캠 (67)과 작용하고, 로크판(63)은 스프링 (66)에 대항해서 일시적으로 가로로 이동하며 이 가로이동시에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한쪽의 선국축(16')는 그 걸어 맞춤부(70)이 로크 스테이지(68)로 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에 의해서 복원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국축(16)은 그 걸어 맞춤부(70)이 로크 스테이지 (68)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가변 동조 소자(30)을 접속한 작동판(60)을 조작축(1)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키는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불합리하다.
즉, 지금 한쪽의 선국축(16')가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되고, 또 그 기억부(22')의 앞 둘레에 작동판(60)이 맞붙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쪽의 선국축(16)을 조작축(1)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면, 앞으로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다른쪽의 선국축(16')가 그의 복원용 스프링 (26')에 의해 복원됨과 동시에 작동판(60)도 그의 복원용 스프링 (73)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앞으로 이동 도중에 있는 다른쪽의 선국축(16)의 기억부(22)에 맞붙어서, 소위 해머(hammer) 작용이 일어난다.
이 해머 작용은 한쪽의 기억부(22')가 선국축(16')상의 최전방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쪽의 기억부(22)가 선국축(16)상의 최후방에 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 가장 강하게 일어난다. 그 결과 이 해머 작용에 의한 기계적 진동에 의해서 선국축(16)과 선택 부재 (23)의 맞붙은 부분에 약간의 회전력이 작용하여 선국에 오차를 줌과 동시에, 맞붙은 위치에 기계적 손상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 선국 상태에 있는 한쪽의 선국축의 선택 부재와 선국 상태에 있는 다른쪽의 선국축의 선택 부재가 각각 선국축 위의 최후방 위치에 있을 때에 이들 선택부재의 맞붙은 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작동판과 맞붙는 패드를 조작축 상에 설치한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다.
즉, 제13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80)은 패드부이며, 제17도는 패드(80)과 좌우 1쌍의 선택 부재 (23), (23')의 위치적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패드(80)을 선국 상태에 있는 한쪽의 선택 부재 (23)의 기억부(22)의 패드면 a에 가급적 가깝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제18도에 있어서, 패드(80)에 대한 작동판(60)의 맞붙음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8도(가)는 가장 해머 작용이 큰 상태, 즉 선국 상태에 있는 한쪽의 선택 부재 (23')의 기억부(22')가 그 선국축(16')위의 최전방 위치에 있어서 그 패드면 a'에 작동판(60)이 맞닿고, 또 비선국 상태에 있는 다른쪽의 선택 부재(23)의 기억부(22)가 그 선국축(16)상의 최후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조작축(1)을 앞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 과정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선국 상태에 있는 한쪽의 선국축(16')가 후퇴함과 동시에 작동판(60)은 제18도(나)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비선국 상태에 있른 다른쪽의 기억부(22)의 패드면 a에 맞붙기 이전에 패드(80)에 맞붙어서 막아낸다.
이어서 조작축(1)을 다시 전진시키면, 작동판(60)은 패드(80)에 의해서 앞으로 이동되어, 제18도(다)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동판(60)은 패드(80)에 의해서 충분히 밀어놓고, 그 다음에 조작축(1)의 앞으로의 이동을 풀면 조작축(1)이 복원함과 동시에 작동판(60)고 뒤쪽으로 이동하여 제18도(라)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쪽의 기억부(22)의 패드면 a에 맞닿는다. 이 때에 다른쪽의 기억부(22)는 그 선국축(16)과 함께 충분히 전진하고 있으므로, 작동판(60)이 패드(80)에서 떨어져 다른쪽의 기억부(22)의 패드면 a에 맞닿았을 때까지의 거리는 작아져서 해머 작용이 약해진다.
즉, 패드(80)을 갖고 있지 않을 때는 제18도(가)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동판(60)이 후퇴하는 거리는 대략 ℓ에 해당하지만, 패드(80)을 갖고 있을 때는 제18도(다)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거리는 ℓ'로 축소되고, 또 이외에 작동판(60)의 스프링 (73)에 의한 탄력을 저 패드(80)에서 막고, 다음에 푸시 버튼(10)을 누르고 있는 손을 떼는 동작에 의해서 부드럽게 패드면 3에 맞닿게 되므로, 해머 작용은 약해지고 선국의 오차 및 기계적인 손상을 해소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든 선국축에 대해 단일 수신 밴드, 예를들면 AM 밴드의 국을 기억시켜도 좋은 것은 물론이지만, 예를들면 1조의 선국 기구에서 1쌍의 선국축에는 상이한 2개의 수신 밴드의 국을, 다른 1조의 선축 기구에서 1쌍의 선국축에는 또 다시 다른 상이한 2개의 수신밴드의 국을 기억시킬 수가 있어서, 많은 수신 밴드의 국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 밴드등의 동조기로써도 유효하다는 점, 선국 조작이 경쾌하고 미세하게 할 수가 있다는 점, 동작이 확실하다는 점, 기계적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 및 높은 선국 정밀도를 얻을 수가 있다는 점 등의 이점이 있어서, 동조기로써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7)

  1. 주동 기어(9)가 있는 조작축(1), 상기 조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나사부(19, 19')와 맞물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부재(23,23') 및 상기 주동 기어(9)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 (21,21')가 있는 1쌍의 선국축(16, 16')를 프레임 (11)에 대해 회전과 전후 이동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1쌍의 선국축의 사이에 조작축의 1왕복 동작마다 1쌍의 선국축을 조작축에 대해서 교대로 앞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어 맞춤하는 기구를 마련하고, 또 상기 프레임에 조작축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한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폭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판(34)와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에 있는 선택 부재에 누르는 작용에 의해 맞붙어서 가변 동조 소자(30)을 가변하는 작동판(28)를 마련하고, 상기 앞으로의 이동 상태에 있는 선국축의 종동 기어와 조작축의 주동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기억 조작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식 동조기.
  2. 작동판이 조작축과 같은 방향으로 가동하는 특허청구 범위 제1항의 푸시 버튼식 동조기.
  3. 작동판이 조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동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푸시 버튼식 동조기.
  4. 주동 기어 (9)가 있는 조작축(1), 상기 조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나사부(19, 19')와 맞물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부재 (23,23') 및 상기 주동 기어 (9)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 (21,21')가 있는 1쌍의 선국축(16, 16')를 프레임(11)에 대해 회전과 전후 이동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1쌍의 선국축의 사이에 조작축의 1왕복 동작마다 1쌍의 선국축을 조작축에 대해서 교대로 앞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를 마련하고, 또 상기 프레임에 조작축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한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판(34),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에 있는 선택 부재와 작용하는 캠(29, 29')가 있으며, 또 양단이 정상 상태에서 상기 캠의 경사 방향으로 기울도록 배치된 회전운동 레버(40)에 의해 지지되어 조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작동판(28)과 상기 선택 부재에 캠을 눌러 접하는 누름 부재와 상기 작동판의 이동량에 상응해서 가변하는 가변 동조 소자(30)을 마련하고, 상기 앞으로의 이동 상태에 있는 선국축(16, 16')의 종동 기어 (21, 21')와 조작축(1)의 주동 기어 (9)의 맞물림에 의해 기억 조작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식 동조기.
  5. 주동 기어 (9)가 있는 조작축(1), 상기 조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나사부(19, 19')와 맞물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부재(23,23') 및 상기 주동 기어(9)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21, 21')가 있는 1쌍의 선국축(16,16')를 프레임(11)에 대해 회전과 전후 이동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1쌍의 선국축의 사이에 조작축의 1왕복 동작마다 1쌍의 선국축을 조작축에 대해서 교대로 앞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를 마련하고, 또 상기 프레임에 조작축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한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씌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판(34),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에 있는 선택 부재로 누르는 작용에 의해 맞붙어서 가변 동조 소자(30)을 가변하는 가동판을 마련하고, 상기 앞으로의 이동 상태에 있는 선국축의 종동기어(21,21')와 조작축의 주동 기어(9)의 맞물림에 의해 기억 조작을 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종동 기어(21,21')의 지름을 주동 기어(9)의 지름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식 동조기.
  6. 항상 뒤쪽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고, 또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회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주동 기어(9)가 있는 조작축(1), 상기 조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나사부(19, 19')와 맞물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부재(23, 23') 및 상지 주동 기어(9)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21,21')가 있는 1쌍의 선국축(16,16')를 프레임(11)에 대해 회전과 전후 이동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1쌍의 선국축의 사이에 조작축의 1왕복 동작마다 1쌍의 선국축을 조작축에 대해서 교대로 앞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를 마련하고, 또 상기 프레임에 조작축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한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판(34)와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에 있는 선택 부재로 누르는 작용에 의해 맞붙어서 가변 동조 소자(30)을 가변하는 작동판(28)과 상기 선국축(16, 16')가 앞으로의 이동 상태로 유지되었을 때 종동 기어 (21,21')와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주동 기어(9)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12)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식 동조기.
  7. 주동 기어(9)가 있는 조작축(1), 상기 조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나사부(19, 19')와 맞물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부재(23,23') 및 항상 앞쪽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고, 또 뒤쪽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며 회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상기 주동 기어(9)와 맞물릴 수 있는 종동 기어(21, 21')가 있는 1쌍의 선국축(16, 16')를 프레임 (11)에 대해 회전과 전후 이동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1쌍의 선국축의 사이에 조작축의 1왕복 동작마다 1쌍의 선국축을 조작축에 대해서 교대로 앞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를 마련하고, 또 상기 프레임에 조작축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한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주동 기어(9)와 종동 기어(21, 21')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판(63)과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에 있는 선택 부재(23,23')에 작용하여 가변 동조 소자(30)을 가변하는 작동판(60)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식 동조기.
    8. 주동 기어(9)가 있는 조작축(1), 상기 조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나사부(19, 19')와 맞물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부재 (23,23') 및 상기 주동 기어(9)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 (21,21')가 있는 1쌍의 선국축(16,16')를 프레임(11)에 대해 회전과 전후 이동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1쌍의 선국축의 사이에 조작축의 1왕복 동작마다 1쌍의 선국축을 조작축에 대해서 교대로 앞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를 마련하고, 또 상기 프레임에 조작축과 함께 앞으로 이동하는 한쪽의 선국축(16')의 앞으로의 이동 상태를 주동 기어(9)와 종동 기어(21, 21')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국축의 앞으로의 이동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판(63)과 항상 선택부재(23, 23')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앞으로의 이동 상태의 선택 부재에 눌러 접하는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작동판(60)과 상기 작동판의 전후 이동에 의해서 가변되는 가변 동조 소자(30)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 비선국 상태에 있는 한쪽의 선국축의 선택 부재와 선국 상태에 있는 다른쪽의 선국축의 선택 부재가 각각 선국축 상의 최후방 위치에 있을 때, 이들의 선택 부재의 상기 작동판과의 패드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동판과 맞붙는 패드(80)을 상기 조작축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식 동조기.
KR1019830002235A 1982-07-13 1983-05-21 푸시 버튼식 동조기 KR91000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516 1982-07-13
JP57-120516 1982-07-13
JP57120516A JPS5912615A (ja) 1982-07-13 1982-07-13 押釦式同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623A KR840005623A (ko) 1984-11-14
KR910001378B1 true KR910001378B1 (ko) 1991-03-04

Family

ID=1478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235A KR910001378B1 (ko) 1982-07-13 1983-05-21 푸시 버튼식 동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17831A (ko)
JP (1) JPS5912615A (ko)
KR (1) KR910001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15A (ja) * 1982-07-13 1984-01-23 Nippon Technical Co Ltd 押釦式同調器
JPS61103926U (ko) * 1984-12-10 1986-07-02
JPS61103927U (ko) * 1984-12-10 1986-07-02
WO1996039781A1 (en) * 1995-06-06 1996-12-12 Flash Comm, Inc. Determining propagating and clear frequency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5765112A (en) * 1995-06-06 1998-06-09 Flash Comm. Inc. Low cost wide area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outbound message specifying inbound message time and frequency
US5734963A (en) * 1995-06-06 1998-03-31 Flash Comm, Inc. Remote initiated messag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two way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5589844A (en) * 1995-06-06 1996-12-31 Flash Comm, Inc. Automatic antenna tuner for low-cost mobile radi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6821A (en) * 1970-03-18 1972-03-07 Motorola Inc Am-fm tuner having five pushbuttons with ten selections
US3722299A (en) * 1971-08-18 1973-03-27 Bendix Corp Cam action tuning slides
CA1029483A (en) * 1974-05-20 1978-04-11 Yoshihiro Sugimoto Actuator for pushbutton tuner
JPS5215484B2 (ko) * 1974-05-20 1977-04-30
US4079631A (en) * 1975-04-28 1978-03-21 Clarion Co., Ltd. 5-10 Pushbutton tuner
US4143555A (en) * 1975-11-13 1979-03-13 Nihon Technical Kabushiki Kaisha Dual band pushbutton tuner
US4237740A (en) * 1977-05-19 1980-12-09 Clarion Co., Ltd. Pushbutton tuner
JPS5527719A (en) * 1978-08-18 1980-02-28 Alps Electric Co Ltd Channel selection device
JPS5912615A (ja) * 1982-07-13 1984-01-23 Nippon Technical Co Ltd 押釦式同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623A (ko) 1984-11-14
JPS5912615A (ja) 1984-01-23
US4617831A (en) 1986-10-21
JPS648489B2 (ko) 198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378B1 (ko) 푸시 버튼식 동조기
DE4102938B4 (de) Disk-Wählvorrichtung
KR940007484B1 (ko) 프린터의 종이 누름 롤러 개폐 기구
US4383144A (en) Pushbutton switch
EP0176830B1 (en) Electrically actuated mechanism for rail switch-points
KR93000621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버스장치
US3503270A (en) Pushbutton type tuning apparatus
US4079631A (en) 5-10 Pushbutton tuner
US3808388A (en) Switch pusher actuator with movable cam plate
US4582007A (en) Needle bar transfer device for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3233469A (en) Adjustable tuning apparatus for a radio
KR940005810Y1 (ko) 2웨이 레코드 데크의 플레이 모드 절환장치
JPS633196B2 (ko)
US4463618A (en) Pushbutton tuner
JPH0157847B2 (ko)
KR910009422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구동장치
US4127324A (en) Dual photographic slide projector
US3952603A (en) Pushbutton system, in particular for a pushbutton operated car radio receiver
US4120207A (en) Keyboard for the preselection of electromagnetic signals
JPH021454B2 (ko)
JPS5837152Y2 (ja) 押釦式同調器
JPS645382Y2 (ko)
DE2442602C3 (de) Einzugsvorrichtung an Buchungsmaschinen mit einem Führungsschlitz für den einsteckbaren Datenträger
SU8668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пустотелых контактов на плату
KR870001474Y1 (ko) 비데오 데크의 급속 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