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789Y1 -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 Google Patents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789Y1
KR940005789Y1 KR92011748U KR920011748U KR940005789Y1 KR 940005789 Y1 KR940005789 Y1 KR 940005789Y1 KR 92011748 U KR92011748 U KR 92011748U KR 920011748 U KR920011748 U KR 920011748U KR 940005789 Y1 KR940005789 Y1 KR 940005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hannel
roof
assemble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428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92011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789Y1/ko
Publication of KR940001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제1도는 종래 보호카바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보호카바를 시공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보호카바를 시공한 예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측면판을 조립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카바 20 : 골조부
30 : 덮개부 210, 220 : 상,하부찬넬
230 : 간격유지찬넬 240 : 높이유지찬넬
310 : 덮개판 320 : 측면판
본 고안은 아파트, 빌딩등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횡주관의 노출을 방지하여 미관을 좋게 하는 동시에 노화를 방지하고자 시공하는 횡주관 보호카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카바를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보수공사시 일부분만을 분리시키도록 한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10)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단면상 역 U자형의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하여 이를 연속연결되게 시공하였던 것으로, 이는 다수종류를 규격화시켜 제조하므로써 공장 설비비 및 금형비의 투자부담이 있으며, 운반시 많은 부피의 차지로 적은 수량만 싣게 되는 문제점으로 운반비의 부담이 있었고, 또한 많은 수량의 보호카바를 적재하여야 되는 야적장의 필요로 부지확보에 따르는 부담도 있으며, 더욱이 보호카바의 설치후 횡주관의 보수공사나 새로운 공사를 할때 1개의 보호카바를 이웃하는 다른 보호카바에서 분리시켜야 되기 때문에 필요이상의 분리 및 조립작업으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상, 하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정된 길이의 상, 하부찬넬을 설치한 뒤 상부와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유지찬넬과 높이유지찬넬을 보울트로 조립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의 상면과 양측면에 일정한 크기의 덮개판과 측면판을 보울트로 조립하도록 하므로써 현장에서의 시공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또 단순히 절단장치만을 보유하면 되므로 별도의 공장설비비 및 금형비의 투자부담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부피자체가 없어 운반시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는 동시에 큰 부자의 야적장이 필요없게 되고, 특히 보호카바의 설치 후 횡주관의 보수공사나 새로운 공사를 할때 1장의 덮개판 또는 측면판만을 분리시키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1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보호카바(10)는 골조부(20)와 덮개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골조부(20)는 횡주관(4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찬넬(210)(22), 대칭되는 한쌍의 상,하부찬넬(210)(220)의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찬넬(230) 및 높이유지찬넬(2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찬넬(210)(220)은 현장 횡주관(40)의 배관 위치에 따라 길거나 짧게 절단하여 시공하고, 그 상,하부찬넬(210)(2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간격유지찬넬(230)은 양측 상부찬넬(2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양단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하부찬넬(210)(220)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유지찬넬(240)은 상부찬넬(210)과 하부찬넬(220)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양단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 하부찬넬(210)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30)는 양측 상부찬넬(210)에 조립하는 덮개판(310)과, 상,하부찬넬(210)(220)에 조립되는 측면판(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판(310)과 측면판(320)은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보울트(50)로 조립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부찬넬(220)을 횡주관(40)의 양측에 위치되게 보울트(50)로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그 후 양측 하부찬넬(220)에 높이유지찬넬(240)을 일정한 간격으로 보울트(50)로 조립하며, 그 높이유지찬넬(240)에 상부찬넬(210)을 보울트(50)로 조립한 뒤 양측 상부찬넬(210) 사이를 다수개의 간격유지찬넬(230)를 설치하여 보울트(50)로 조립하므로써 골조부(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골조부(20)의 형성 후 덮개부(30)의 덮개판(310)과 측면판(320)을 각각 상부와 측면에 보울트(50)로 조립하여 보호카바(10)를 형성한다.
이때, 덮개부(30)의 조립시 간격유지찬넬(230) 및 높이유지찬넬(240)과 동시에 보울트(50)로 조립하여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하므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보호카바(10)의 시공 후 횡주관(40)의 보수공사나 새로운 공사를 할 때 간격유지찬넬(230) 또는 높이유지찬넬(240)을 분리하여 작업을 하면 되므로 분해, 조립이 매우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제5도와 같이 측면판(240)을 조립하지 않고 덮개판(230)만을 조립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간격 유지찬넬(230)을 하향경사지게 하거나 곡면으로 형성하여 외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상,하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정된 길이의 상,하부찬넬을 설치한 뒤 상부와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유지찬넬과 높이유지찬넬을 보울트로 조립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의 상면과 양측면에 일정한 크기의 덮개판과 측면판을 보울트로 조립하도록 하므로써 현장에서의 시공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또 단순히 절단장치만을 보유하면 되므로 별도의 공장설비비 및 금형비의 투자부담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부피자체가 없어 운반시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는 동시에 큰 부지의 야적장이 필요없게 되고, 특히 보호카바의 설치 후 횡주관의 보수공사나 새로운 공사를 할때 1장의 덮개판 또는 측면판만을 분리시키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실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3)

  1. 건축물의 옥상에 횡주관 보호카바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카바(10)는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옥상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덮개부를 지지하여주는 골조부(20)와, 상기 골조부(20)에 조립되어 횡주관을 은폐하여 주는 덮개부(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20)는 횡주관(4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찬넬(210)(220), 대칭되는 한쌍의 상,하부 찬넬(210)(220)의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도록 상부와 측면에 조립되는 간격유지찬넬(230) 및 높이유지찬넬(24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는 양측 상부찬넬(210)에 조립하는 덮개판(310)과, 상,하부찬넬(210)(220)에 조립되는 측면판(32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KR92011748U 1992-06-29 1992-06-29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KR940005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748U KR940005789Y1 (ko) 1992-06-29 1992-06-29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748U KR940005789Y1 (ko) 1992-06-29 1992-06-29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428U KR940001428U (ko) 1994-01-03
KR940005789Y1 true KR940005789Y1 (ko) 1994-08-25

Family

ID=1933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748U KR940005789Y1 (ko) 1992-06-29 1992-06-29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7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428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249A (en) Foam block wall and fabrication method
EP0302046B1 (de) Wandelementanordnung
EP0112287A1 (de) Entwässerungsrinne
JPS60500678A (ja) フェンス等の構造
CH684202A5 (de) Dacheindeckung und Bauelement mit Solarzellen.
EP0563436B1 (de) Transportable Raumzel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Raumzelle
EP0941566A1 (de) Kabelkanal und deckel
KR940005789Y1 (ko) 건축물 옥상용 횡주관 보호카바
DE3570474D1 (en) Mounting box for concret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wo building parts
US4183185A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US3057601A (en) Portable highway barricade
DE19721165B4 (de) Industriell vorfertigbare Leichtbau-Decken- oder -Dachtafeln
DE3740470C2 (de) Entwässerungsrinne und damit aufgebautes Rinnensystem
EP0722033B1 (de) Eckpfosten für eine Wandverkleidung aus mit einem Kunststoffrahmen versehenen Verkleidungselementen
DE3538844A1 (de) Bausatz zur herstellung von brandhemmenden kabelkanaelen
US2897929A (en) Pillars or columns
KR200172258Y1 (ko) 조립식칸막이
JP3243456B2 (ja) 手摺り
DE2407169A1 (de) Grundrahmen fuer fertighaeuser
US3109629A (en) Fence post construction
DE4422471A1 (de) Randprofil für einen Dachabschluß eines Gebäudes
DE3318608A1 (de) Waermedaemmsystem fuer daecher
AT225393B (de) Wandkonstruktion
AT257116B (de) Einrichtung zur Verbindung von vorgefertigten, plattenförmigen, bewehrten Betonfertigteilen zur Herstellung einer zerlegbaren Transformatorenstation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