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45Y1 -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45Y1
KR940005545Y1 KR2019930018193U KR930018193U KR940005545Y1 KR 940005545 Y1 KR940005545 Y1 KR 940005545Y1 KR 2019930018193 U KR2019930018193 U KR 2019930018193U KR 930018193 U KR930018193 U KR 930018193U KR 940005545 Y1 KR940005545 Y1 KR 940005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rod
link
support ro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오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꾜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00017557A external-priority patent/KR910016613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꾜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꾜오쇼
Priority to KR2019930018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동 장치가 장비된 크레인 전체의 개략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
제4도는 동 제3실시예.
제5도는 동 제4실시예.
제6도는 동 제5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제1도 상당도.
제7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제2도 상당도.
제8도는 동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붐 3 : 지브
7 : 지부지지로드 11, 17 : 로드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링크
8, 16 : 동 로드측 브라켓 9 : 동 지브축 브라켓
12, 14, 20, 26 : 핀 15 : 브라켓의 긴구멍
18, 19, 24, 25 : 링크를 구성하는 2개의 링크체
21, 23 : 굴신가능한 링크 22 : 링크를 신장상태에 유지하는 핀
27 : 링크를 신장상태에 유지하는 가스 스프링
28 : 로드지지수단으로의 가스 스프링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지브를 돌출상태에서 지지하는 지브지지로드(이른바 서스펜션 로드)의 기단부의 위치를 지브의 돌출과 격납에 붐선단부와 지브기단부 사이에서 재위치 또는 변경하기 위한 지지로드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7, 8도에 있어서, 1은 크레인의 상부선회체, 2는 이 상부선회체(1)에 기복이 자유롭게 설치된 붐, 3은 지브(공압식 또는 압축주식지브)이다.
이 지브(3)는 불사용시에는 제7도에 가상선(가)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붐하면에 이른바 아래로 껴안은 상태로 격납되고, 상승작업시에 다음과 같이하여 붐선단에 돌출된다.
(Ⅰ) 지브기단부의 좌우 양쪽에 설치된 지브풋(3a)을 붐헤드(2a)의 좌우 양쪽에 설치된 포인트핀(4)에 걸어 맞추어 연결함과 동시에 보조훅(5)을 지브 선단부에 걸어고정시킨 상태로, 붐(2)을 세우면서 보조권취로우프(6)를 감아올린다.
이에 의하여 지브(3)를 제7도에서 가상선(나)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어 맞추는 연결점(포인트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앞윗쪽에서 회전시킨다.
(Ⅱ) 붐(2)을 대략 수평으로 뉘고, 지브(3)을 보조훅(5) 및 보조권취로우프(6)로 지지한 상태로, 좌우 1쌍의 지브지지로드(7,7)를 제7,8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붐헤드(2a)와 지브선단부 사이에 걸쳐걸어서 지브(3)를 돌출 위치에서 지지한후, 보조권취로우프(6)를 늦춘다.
지브격납시에는 제7,8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지브지지로드(7)의 선단부가 지지선단부에, 기단부가 기브기단부에 각각 핀부착되어 지브(3)에 격납된다.
그리고, 지브돌출시에는 상기 로드(7)는 제7도 및 제8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브지지로드의 기단부가 지브기단부로부터 해제되고, 지브선단부에 부착된 선단측 부착점을 지지점으로 윗쪽으로 들어올려져서 지브지지로드의 기단부가 붐헤드(2a)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 이러한 지브돌출시와 격납시에 따른 지브지지로드(7)의 위치변경작업, 즉, a. 로드 기단부를 지브기단부와 붐헤드(2a)의 한쪽에서 제거하고, b. 한개가 20kg 정도인 무거운 로드(7)을 올렸다 내렸다하여, 그 기단부를 다른쪽에 핀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상기 제7도 및 제8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지브 돌출상태에서 행할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립(A)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브(3) 위에 올라타서 설자리가 나쁜 고소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노동력 부담이 커지고 위험하였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지브지지로드의 위치변경작업을 안전하게 그리고 적은 노동력으로 행할 수 있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제1특징에 따르면 붐에 대하여 돌출하고 격납되는 지브와, 이 지브와 붐선단부 사이에 걸려서 지브를 돌출상태로 지지하는 지브지지로드를 구비한 크레인용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에 있어서, 이 지브지지로드는 지브에 대한 선단측 부착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단부가 지브기단부에 부착가능하게 되는 격납위치와, 기단부가 붐선단부에 부착가능하게 되는 지브지지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브지지로드는 상기 지브지지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와 지브 사이에 걸려서 지브지지로드를 지브지지위치에 지지하는 로드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2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에서 로드지지수단은 링크와, 지브 및 지브지지로드에 설치된 브라켓과, 링크의 양단을 이들 브라켓에 부착하는 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3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2특징에 더하여 지브쪽 또는 지브지지로드쪽의 브라켓에 전후방향의 긴구멍이 설치되고, 링크의 일단이 이 긴구멍을 통하여 브라켓에 핀으로 연결됨으로써, 링크가 지브지지로드의 지브지지위치와 격납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따라 기복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4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2특징에 더하여 2개의 링크체가 서로의 일단부에서 핀으로 연결됨으로써 지브지지로드의 격납위치와 지브지지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따라 위치변경가능한 링크가 형성되고, 또한 지브지지로드의 지브지지위치에 있어서 이 링크를 신장상태에 지지하는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4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링크를 신장상태로 지지하는 수단은 이 링크의 굴신지지점과 지브와의 사이에 링크를 신장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6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특징에 더하여 지브와 지브지지로드 사이에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로드지지수단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지브돌출작업시에 있어서, 지브지지로드를 로드지지수단에 의하여 지브돌출전의 지상에서 조작가능한 단계(예컨대, 지브격납상태)에서 미리 지브위치에 세트해둘 수 있으므로 가장 노동력을 요하고, 또 위험을 수반하는 로드의 오르내리기를 지상에서 간단히 그리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로드지지수단이 링크와 브라켓과 핀으로 되는 간단한 구성이고, 비용이 적게들고 취급이 간단하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링크가 상기 지브와 지브지지로드 사이에 걸려있는 상태가 되므로, 취급이 더욱 쉬워진다.
또한, 링크를 신장상태에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가스 스프링이 사용함으로써 가스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링크를 신장시키고, 또 신장상태에 지지(지브지지로드를 지브지지위치에 세트)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이 특히 적게 든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가스 스프링 자체를 로드지지수단으로서 사용하므로 구성이 더욱 간단해 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제1도 및 제2도 참조)]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브지지로드(7)(한쪽만 도시함)의 기단부에 두갈래 형상의 로드측 브라켓(8)이 고착되고, 브라켓(8)이 지브격납시에는 제1도에서 가성선(다)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지브격납상태에서의 지브기단부의 하면(돌출상태에서는 기브기단부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지브축 브라켓(9)에, 지브돌출시에는 제1,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붐헤드(2a)에 각각 핀(10)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브(3)의 기단측 부분에 있어서의 지브격납상태에서의 하면에 로드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좌우 각 1개의 링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11)는 기단부가 지브축 브라켓(9)에 좌우방향 수평인 지지점측핀(12)에 의하여 추착되고, 이 지지점측핀(12)을 중심으로 지브(3)에 대략 수평상태로 격납되는 불사용시의 도복상태와, 지브(3)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일어서는 사용시의 기립 상태에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링크(11)의 선단부는 링크도복상태에서는 지브(3)에 설치된 링크고정용 브라켓(13)에 그리고 기립상태에서는 지브지지로드(7)의 로드축 브라켓(8)에 각각 부착핀(14)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이 장치에 의한 지브지지로드(7)의 위치 변경방법을 설명한다.
지브를 돌출시킬 때에는 제1,2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지브격납상태에서 지브지지로드(7)의 로드측 브라켓(8)을 지브축 브라켓(9)으로부터 해제하고, 이 로드(7)를 지브선단측 부착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향으로 회전시킨다.
동시에 링크(11)를 기립상태로 하고, 이 링크(11)의 선단부를 로드측 브라켓(8)에 핀(14)으로 고정시킨다.
이에 의하여 지브지지로드(7)를 제1도에서 가상선(라)의 위치, 즉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지브돌출상태에서 로드축 브라켓(8)이 붐헤드(2a)에 부착가능하게 되는 지브지지위치에 미리 세트해 둔다.
이 경우, 로드측 및 지브측의 양 브라켓(8,9)은 지상에서 충분히 손이 닿는 높이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로드측 브라켓(8)의 제거, 지브지지로드(7)의 하향회전, 링크(11)의 부착의 각 작업을 지상에서 간단히 행할수 있다. 또, 전 높이가 높아지는 대형크레인의 경우라도, 아우트리거 조작에 의하여 차체 또는 붐(2)을 약간 앞이 내려가도록 경사시킴으로써 지상으로 부터의 조작이 충분히 가능해 진다.
그후, 지브(3)를 제1,2도에서 실선의 위치까지 돌출시키면, 지브지지로드(7)의 로드측 브라켓(8)이 그 부착예정위치인 붐헤드(2a)의 상단부에 자연히 이르게 되므로 그 다음은 동 브라켓(8)을 붐헤드(2a)에 핀(1)으로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따라서, 이 장치에 의할 때에는 고소작으로서는 가장 간단한 상기 핀 부착작업만으로 되므로, 지브돌출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위치변경작업을 종래보다 안정하게 그리고 훨씬 적은 노동력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지브격납시에도 상기 돌출시와 반대의 수순, 조작으로 지브지지로드의 위치변경 작업을 행할수 있다.
[제2실시예(제3도 참조)]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지브지지로드(7)의 기단부에, 앞뒤로 긴구멍(15)을 가진 로드축 브라켓(16)이 설치되고, 링크(17)의 선단부가 이 긴구멍(15)을 통하여 브라켓(16)에 핀(14)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링크(17)가 지브지지로드(7)의 지브지지위치와 격납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따라 제3도에서 실선과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기복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17)를 기립상태에서 안정시키기 위하여 긴구멍(15)의 기단측에 핀(14)이 끼워넣어지는 오목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지브지지로드(7)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17)가 자동적으로 기복작동하고, 링크선단부의 교체부착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지브지지로드의 위치변경작업이 더 간단해진다.
[제3실시예(제4도 참조)]
제3실시예에서는 1쌍의 링크체(18,19)가 서로의 일단부에서 핀(20)으로 연결되어 굴신(접기, 전개)이 가능한 링크(21)가 구성되며, 이 링크(21)가 지브지지로드 (7)의 격납위치와 지브지지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따라 굴신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21)는 굴신중심의 근방부에서 록핀(22)에 의하여 신장상태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4실시예(제5도 참조)]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와 똑같이 링크(23)가 2개의 링크체(24,25)와 연결핀(26)에 의하여 굴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링크(23)가 링크굴신지점과 지브(3) 사이에 현가된 가스 스프링(27)에 의하여 신장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스 스프링(27)의 스프링 작용에 의하여 링크(23)가 신장되고, 신장상태에 유지되므로(지브지지로드(7)가 지브지지위치에 세트된다), 작업자의 노동력 부담이 더 경감된다.
[제5실시예(제6도 참조)]
제5실시예에서는 가스 스프링(28)이 지브(3)와 지브지지로드(7)의 로드측 브라켓(8) 사이에 핀(29,30)에 의하여 현가되고, 이 가스 스프링(28)이 신축식의 로드지지 수단으로서 지브지지로드(7)를 지브지지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노동력 부담이 적고, 더욱이 구조가 더 간략화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브가 붐하면에 격납되는 이른바 지브하면 절첩식의 크레인을 적용대상으로 하여 예를 든 것이지만, 본 고안은 지브가 붐측면에 격납되는 이른바 지브측 측면절첩식의 크레인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붐(2)에 대하여 돌출하고 격납되는 지브(3)와, 이 지브와 붐선단부사이에 걸쳐서 지브를 돌출상태로 지지하는 지브지지로드(7)를 구비하고, 이 지브지지로드는 지브에 선단측 부착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단부가 지브기단부에 부착 가능하게 되는 격납위치와, 기단부가 붐선단부에 부착가능하게 되는 지브지지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된 크레인용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브지지로드가 상기 지브지지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와 지브와의 사이에 걸쳐서 지브지지로드를 지브지지위치에 지지하는 로드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지지수단은 링크(11,17)와, 지브 및 지브지지로드에 설치된 브라켓(9;8,16)과, 링크의 양단을 이을 브라켓에 부착하는 핀(12,14)으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브측 또는 지브지지로드측의 브라켓(16)에 전후방향의 긴구멍(15)이 설치되고, 링크(17)의 일단이 이 긴구멍을 통하여 브라켓(16)에 핀(14)이 연결됨으로써 링크(17)가 지브지지로드(7)의 지브지지위치와 격납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따라 기복작동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링크체(18,19)가 서로의 일단부에서 핀(20)이 연결됨으로서 지브지지로드의 격납위치와 지브지지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따라 굴신 가능한 링크(21)가 형성되고, 또한 지브지지로드의 지브지지위치에 있어서 이 링크를 신장상태에 지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링크를 신장상태에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이 링크의 굴신지점과 지브사이에 링크를 신장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비지지로드의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지브와 지브지지로드 사이에 가스 스프링(28)이 설치되어 로드지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KR2019930018193U 1990-03-16 1993-09-11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KR940005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193U KR940005545Y1 (ko) 1990-03-16 1993-09-11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67917 1990-03-16
KR1019900017557A KR910016613A (ko) 1990-03-16 1990-10-31 크레인용 지브호울드로드 고정장치
KR2019930018193U KR940005545Y1 (ko) 1990-03-16 1993-09-11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557A Division KR910016613A (ko) 1990-03-16 1990-10-31 크레인용 지브호울드로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545Y1 true KR940005545Y1 (ko) 1994-08-18

Family

ID=2662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193U KR940005545Y1 (ko) 1990-03-16 1993-09-11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655A (en) Crane boom having variable angle offset capability
JPS6327396A (ja) 伸縮ブ−ムに継ぎ足されるジブ
JPS63127996A (ja) 折畳可能の荷役機械
KR940005545Y1 (ko) 크레인에 있어서의 지브지지로드의 부착장치
JP4777821B2 (ja) タワークレーン
JP2781637B2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支持ロッドの取付装置
JPH05116888A (ja) 補助ジブ付きクレーンのジブ張出装置
JP2547044B2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の装脱方法及び装置
JPS6228634Y2 (ko)
JP2566345Y2 (ja) 高所作業車用サブブーム
JPH0328071Y2 (ko)
CA1235075A (en) Hydraulic crane aerial platform attachment
JPS6348628Y2 (ko)
JPH0520774Y2 (ko)
JPH0323479B2 (ko)
JPS6117861Y2 (ko)
JPH0419034Y2 (ko)
JPH0721509Y2 (ja) ブーム作業車の負荷検出装置
JPS6032071Y2 (ja) 車両形クレ−ン
JPH0352792Y2 (ko)
JP3025992B2 (ja) 吊り荷の荷ぶれ防止装置
JPH0721508Y2 (ja) ブーム作業車の負荷検出装置
JPS6032070Y2 (ja) 車両形クレ−ン
JPS5935839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自動平衡装置
JPH0716710Y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