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48Y1 - 급탕기 - Google Patents

급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48Y1
KR940004948Y1 KR2019900020705U KR900020705U KR940004948Y1 KR 940004948 Y1 KR940004948 Y1 KR 940004948Y1 KR 2019900020705 U KR2019900020705 U KR 2019900020705U KR 900020705 U KR900020705 U KR 900020705U KR 940004948 Y1 KR940004948 Y1 KR 940004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it
hot water
plug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140U (ko
Inventor
미츠오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 또오 스스무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 또오 스스무,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7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탕기
제1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급탕기의 전체회로의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탕기의 수량제어밸브(4)에 대한 제어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물빼기마개 4 : 수량제어밸브
A : 기구본체
본 고안은 급탕기, 특히 동절기와 같이 수도물의 온도가 낮은 경우라도 비교적 높은 온도의 물을 뽑아낼 수 있도록 된 급탕기에 관한 것으로, 기구 설치후에 그 기구내의 물빼기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절기와 같이 수도물의 온도가 낮은 경우라도 희망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급탕기로서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열교환기(1)에서 부엌 등의 수도꼭지(30)로 연결되는 급탕회로의 중간에서는 욕조(20)로 연결되는 물채우기 회로(2)가 분기되어 있고, 그 물채우기회로(2)에는 욕조(20)로의 급탕량을 계측하는 수량계(22)와 물채우기밸브(21)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급탕회로(11)에서 열교환기(1)의 하류측에는 탕온센서(13)와 수량제어밸브(4)가 삽입설치되어 있고, 동절기 등과 같이 수도물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탕온센서(13)가 검지하는 출탕온도가 탕온설정기(15)의 설정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상기 수량제어밸브(4)를 조이도록 하고 있다.
또, 기구본체(A)의 하부 등에는 물빼기마개(3)가 배설되어 있어, 동절기의 추운밤과 같이 외기온도가 낮아 기구본체내의 체류수가 동결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물빼기마개(3)를 개방해서 상기 체류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그 기구본체(A)는 수도관이라든지 가스관을 접속함과 더불어 수도꼭지(30, 30)로의 배관을 접속하고, 그 수도꼭지(30, 30)를 열어 그 수도꼭지(30, 30)로 부터 적정하게 물이 유출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 도시하지 않은 전원플러그를 가옥벽면에 콘센트에 꽃으면 기구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동절기의 추운 시기에 상기 설치작업을 행하고 그 설치일 이후에 기구본체(A)의 시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기구설치후에 기구본체(A)로의 급수를 정지시킴과 함께 물빼기마개(3)를 열어서 기구본체(A)의 통수로내의 물빼기를 함으로써 시운전하는 날까지 통수로내의 동결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열교환기(1)의 하류측에 설치된 수량제어밸브(4)가 기구제조시에 최고로 조여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물빼기마개(3)를 개방시켜 기구의 물빼기를 행하려고 해도 상기한 최고의 조임상태에 있는 수량제어밸브(4)가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서 작용하여 물빼기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기구본체(A)내의 통수로에 삽입된 수량제어밸브(4)와, 상기 통수로에 연결됨과 동시에 기구본체(A)에 배설된 물빼기마개(3)와, 상기 수량제어밸브(4) 등으로의 전기 공급용 전원플러그를 구비하는 급탕기에서 기구설치후에 물빼기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전원플러그가 접속된 경우에 그 전원플러그로부터의 전기공급을 검지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접속검지회로를 형성하고, 그 플러그접속검지회로로부터의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플러그의 접속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되는 수량제어밸브(4)를 원할한 물빼기를 행할 수 있는 정도까지 열고 그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구본체(A)를 설치한 후에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면, 기구본체(A)의 통수로에 배설된 수량제어밸브(8) 등의 각부에 전기가 공급되어 이들이 작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전원플러그를 접속했을 때는 그 전원플러그의 접속상태를 플러그접속검지회로가 검지해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에 의해 수량제어밸브(4)가 원활한 물빼기작업을 행할 수 있는 정도까지 열리고 이 열림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구본체의 물빼기를 할 필요가 있을때는 기구본체(A)로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한편 물빼기마개를 열어서 물빼기작업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같이 수량제어밸브(4)가 열림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통수로내의 체류수는 상기의 열림상태에 있는 수량재어밸브(4)부분을 신속하게 통과하여 상기 물배기마개(3)측으로 흐르고, 그 물은 상기 물빼기마개(3)로부터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유한 효과를 갖게 된다.
즉, 물빼기작업시에 있어서의 배수는 수량제어밸브(4)의 부분을 신속하게 통과해서 배수마개(3)로부터 배수되기 때문에 기구본체(A)의 물빼기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본 실시예의 급탕기의 수회로 및 가스회로는 전술한 제1도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열교환기(1)의 하류측인접부에는 수량제어밸브(4)가 설치됨과 더불어 기구본체(A)의 하부에는 물빼기마개(3)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급탕회로(11)의 선단에는 부엌과 세면실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30, 30)와 욕실의 샤워(31)가 설치되어 있다.
기구제어회로(5)에는 물채우기회로(2)에 삽입된 수량계(22)와 급탕온도를 설정하는 탕온설정기(15) 등이 접속되어 있고, 더욱이 그 기구제어회로(5)의 출력에 의해 수량제어밸브(4)와 비례밸브식인 가스밸브(35)의 개방정도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기구제어회로(5)에는 물채우기밸브(21)와 탕온센서(13)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수량제어밸브(4)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의 하류측의 급탕회로(11)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그 수량제어밸브(4)의 밸브체(41)는 밸브시이트(44)와 대항하는 형태로 하우징(42)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체(41)는 전원회로(52)로부터의 전기공급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40)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전원플러그(51)로부터 전기공급을 받는 상기 전원회로(52)에는 마이크로컴퓨터등이 구비된 상술한 기구제어회로(5)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전원회로(52)의 출력은 지연회로(61)에 인가되고, 그 지연회로(61)의 출력은 입상미분회로(62) 및 OR회로(64)를 매개하여 플립플롭(flip-flop)(이하, FF로 약기한다)(63)의 세트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있고, 그 FF(63)의 출력은 후술하는 제1, 2역전용 트랜지스터(45, 46)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상미분회로(62)는 상기 기술적 수단의 항에 기재된 플러그접속검지회로에 대응된다.
다음에, 상기 수량제어밸브(4)용의 모터(40)는 정, 역회전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를 위해 전원회로(52)의 +극→제1정회전용 트랜지스터(47)→라인(26)→모터(40)→라인(25)→제2정회전용 트랜지스터(48)→어스와 연결되는 정회전용회로와, 전원회로(52)의 +극→제1역회전용 트랜지스터(45)→라인(25)→모터(40)→라인(26)→제2역회전 트랜지스터(46)→어스와 연결되는 역회전용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정회전용 트랜지스터(47, 48)의 베이스에는 기구제어회로(5)의 제2출력포트(55)로부터 출력되는 정회전신호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제1, 제2역회전용트랜지스터(45)(46)의 베이스에는 상기 FF(63)의 출력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FF(63)의 리셋트단자에는 밸브체(41)가 최상승위치로 상승했을때에 플랜지(49)에 당접해서 ON신호를 발생하는 리미트스위치(43)의 출력이 인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급탕기의 설치작업 및 그 후의 물빼기작업 등에 대해 설명한다.
기구본체(A)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기구본체(A)에 수도관(B)과 가스관(C)을 접속하고, 그 다음 수도꼭지(30, 30)와 욕조(20)측 회로와의 접속을 행한다. 그리고, 그 후 수도꼭지(30, 30)를 열고 이들 각 부에 대한 수회로가 통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 마지막으로 전원플러그(51)를 가옥벽면등의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면 기구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원플러그(51)를 콘센트에 접속하면, 그 접속시부터 약간 늦어져서 지연회로(61)가 H신호를 발생시킴과 함께 그 신호의 선두천이부분을 입상미분회로(62)가 검출해서 FF(63)가 세트상태로 된다.
FF(63)가 세트상태가 되어 H신호를 발생시키면, 그 H신호가 제1, 제2역회전용 트랜지스터(45, 46)에 인가되고 이들이 ON상태가 되며, 전원회로(52)로부터의 공급전류는 제1역회전용 트랜지스터(45)→라인(25)→모터(40)→라인(26)→제2역회전용트랜지스터(46)→어스극과 연결되는 역회전용회로가 도통하며 이로써 모터(40)가 역회전해서 밸브체(41)가 밸브시이트(44)로부터 이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밸브체(41)가 최고개방상태로 되고 이에 연설된 플랜지(49)가 최상승 위치에 달하면, 그 플랜지(49)가 리미트스위트(43)에 접촉함과 함께 그 리미트스위치(43)의 신호에 의해 FF(63)가 리세트되고, 이로써 상기 제1, 제2회전용 트랜지스터(45, 46)가 OFF상태로 복귀되어 모터(40)가 정지되며, 그에 따라 수량제어밸브(4)가 완전개방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기구본체(A)의 상류측수도관(B)에 접속한 수도마개(D)를 닫음과 동시에 기구본체(A)의 저부(바닥)에 배설된 배수마개(3)를 수동개방시키면, 통수로 내의 물빼기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물빼기시에는 상기 수량제어밸브(4)가 완전개방상태에 있으므로 물빼기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플러그를 접속했을 때 수량제어밸브(4)를 완전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했지만, 그 수량제어밸브(4)는 반드시 완전개방상태로 할 필요는 없고, 물빼기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중간개방상태 또는 이보다 조여진 상태로 유지해도 좋다.
다음에, 동절기의 수도물온도가 낮은 조건하에서 급탕동작을 할 경우의 수량 제어밸브(4)의 제어에 대해 간단히 기술한다.
수도관(B)으로부터의 급수온도가 매우 낮아서, 가스버너(38)를 최대출력상태로 연소시켜도 탕온설정기(15)에서 설정한 온도의 물을 뽑아낼 수 없는 경우에는 가스밸브(35)가 완전개방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가스밸브(35)로부터 출력됨에도 불구하고 탕온설정기(15)의 설정온도보다 낮아진다.
그러면, 이 조건을 기구제어회로(5)내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판단하고, 제2출력포트(55)로부터 H신호를 내고 모터구동회로(38)의 제1, 제2정회전용 트랜지스터(47, 48)를 ON상태로 한다. 이로써, 전원회로(52)의 +극→제1정회전용 트랜지스터(47)→라인(26)→모터(40)→라인(25)→제2정회전용 트랜지스터(48)→어스와 연결되는 정회전용회로가 도통하고, 모터(40)에는 제2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나는 방향의 전류가 흘러 그 모터(40)가 정회전되며, 이로써 밸브계(41)가 밸브시이트(44)에 접근해서 조임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탕온센서(13)의 검지수온과 탕온설정기(15)의 설정온도가 같아지게 되면, 이것을 기구제어회로(5)의 마이컴이 판단하여 제2출력포트(55)로부터 L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임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급탕동작이 끝나고 급탕회로내에 배설한 도시하지 않은 수류스위치가 OFF신호를 출력시키면, 기구 제어회로(5)의 제1차출력포트(54)로부터 H신호가 출력되어 FF(63)가 세트상태가 되며, 이후, 전원플러그(51)를 접속한 후의 물빼기작업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동작해서 수량제어밸브(4)가 완전개방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한 것에서는 급탕동작후에 있어서 수량제어밸브(4)를 완전개방상태로 하였지만, 이것을 중간개방상태 또는 이보다 조여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1)

  1. 기구본체(A)내의 통수로에 삽입된 수량제어밸브(4)와, 상기 통수로에 연결되면서 기구본체(A)에 배설된 물빼기마개(3) 및, 상기 수량제어밸브(4)등으로의 전기공급용 전원플러그(51)를 구비하는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51)의 접속시 그 전원플러그(51)로부터의 전기공급을 검지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접속검지회로(62)와; 상기 플러그접속검지회로(6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수량제어밸브(4)의 개폐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프롭 및 오아회로(63, 64); 상기 플립플릅 및 오아회로(63, 6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구동회로(38)의 모터구동신호를 기초로 모터(40)가 회전됨에 따라 원활한 물빼기가 수행되는 정도로 상기 수량제어밸브(4)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유지시키는 급탕회로(11)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KR2019900020705U 1990-03-19 1990-12-24 급탕기 KR9400049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861 1990-02-07
JP1990027861U JPH0615259Y2 (ja) 1990-03-19 1990-03-19 給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140U KR910017140U (ko) 1991-10-28
KR940004948Y1 true KR940004948Y1 (ko) 1994-07-23

Family

ID=1223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705U KR940004948Y1 (ko) 1990-03-19 1990-12-24 급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5259Y2 (ko)
KR (1) KR9400049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8155B2 (ja) * 2013-01-19 2017-04-05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18473U (ko) 1991-12-06
JPH0615259Y2 (ja) 1994-04-20
KR910017140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7120586A (ru) Смес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термостатического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крана
KR940004948Y1 (ko) 급탕기
KR0153714B1 (ko) 급탕장치
JP2900015B2 (ja) 給湯装置
JPH0515941B2 (ko)
JPS62169958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H0315964Y2 (ko)
JP3067457B2 (ja) 給湯器付風呂装置
KR940007218Y1 (ko) 급탕 장치
JPH083877Y2 (ja) 高温さし湯機能を有する給湯器
JP2004125228A (ja) 給湯装置
JPH0894177A (ja) 電気温水器
KR0171731B1 (ko) 급탕기
JP2003106656A (ja) 給湯器用湯水混合ユニット
JP2637941B2 (ja) 浴槽湯水制御装置
JPH03267632A (ja) 即時給湯装置
JP2598629B2 (ja) 浴槽湯水制御装置
JP2002122353A (ja) 貯湯式温水器
JP3172013B2 (ja) 自動給湯装置
KR0126328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JPS6231813Y2 (ko)
JP2635510B2 (ja) 浴槽の給湯制御装置
JPH02285116A (ja) 風呂装置
JP2757512B2 (ja) 給湯機の制御装置
JPS62142956A (ja) 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