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328Y1 -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328Y1
KR0126328Y1 KR2019950031134U KR19950031134U KR0126328Y1 KR 0126328 Y1 KR0126328 Y1 KR 0126328Y1 KR 2019950031134 U KR2019950031134 U KR 2019950031134U KR 19950031134 U KR19950031134 U KR 19950031134U KR 0126328 Y1 KR0126328 Y1 KR 0126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discharge pipe
water
valv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969U (ko
Inventor
홍웅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1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328Y1/ko
Publication of KR970018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6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사용 초기에 찬물이 나오는 것을 감안하여 설정된 온도의 온수가 나오도록 온수편차 보정급수기를 설치한 가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선단부가 온수공급관(11)과 연결되는 온수배출관(21)의 말단부와 선단부가 직수공급관(10)과 연결되는 냉수배출관(22)의 말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이 연결되는 말단부에는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에서 나오는 각각의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나오는 수동밸브(23)가 설치되며, 수동밸브(23)의 선단부에는 수동밸브(23)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3)가 설치되고, 급수밸브(24) 전후방에는 급수밸브(24) 전후방의 수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25)가 설치되었으며,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내측에는 전방부터 차례대로 물흐름감지센서(26), (26a)와 제1, 제2 온도감지센서(27), (27a)와 냉, 온수밸브(28a), (28)가 순서대로 각각 배열 설치되고, 온수배출관(21)의 온수밸브(28)후방측에는 펌프(29)가 설치되었으며, 온수편차 보정급수기(20)의 소정위치에는 제1, 제2 온도감지센서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제1도는 종래 가스보일러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온수평차 보정급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공급관 2 : 버너
3 : 열교환기 4 : 난방환수관
5 : 물탱크 6 : 배출관
7 : 흡입관 8 : 난방공급관
9 : 펌프 10 : 직수공급관
11 : 온수공급관 12 : 플로우밸브
13 : 삼방밸브 14 : 연도
15 : 송풍기 20 :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21 : 온수배출관 22 : 냉수배출관
23 : 수동밸브 24 : 급수밸브
25 : 차압센서 26, 26a : 물흐름 감지센서
27 : 제1온도감지센서 27a : 제2온도감지센서
28 : 온수밸브 28a : 냉수밸브
29 : 펌프 30 : 온도설정부
본 고안은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사용 초기에 찬물이 나오는 것을 감안하여 설정된 온도의 온수가 나오도곡 온수 편차 보정급수기를 설치한 가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보일러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공급관(1)을 통하여 버너(2)에 가스를 공급하면 이를 버너(2)에서 연소시켜 열교환기(3)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난방수는 각방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난방환수관(4)을 통해서 물탱크(5)로 귀환하여 물탱크(5)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물탱크(5)에 일시저장되어 있던 난방수는 배출관(6) 및 흡입관(7)을 통해서 열교환기(3)내부로 흡입된다. 난방수는 열교환기(3)내에서 가열되어 난방공급관(8)을 통해서 각방의 난방배관으로 공급된다. 난방수의 순환은 펌프(9)에 의해서 수행된다.
한편, 온수는 직수(냉수)가 직수공급관(10)을 통해서 열교환기(3)로 들어가는데 열교환기(3)내에서 난방수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가열된후 온수공급관(11)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2는 프로우밸브, 13은 삼방밸브, 14는 연도, 15는 송풍기 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보일러는 온수를 초기 사용할 때 관수의 냉수 및 연소지연으로 인하여 찬물이 나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사용시 초기에 찬물이 나오는 것을 온수공급관과 직수공급관 사이에 온수편차 보정급수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가 온수사용 초기부터 사용자에게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는, 선단부가 온수공급관과 연결되는 온수배출관의 말단부와 선단부가 직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냉수배출관의 말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냉수배출관가 온수배출관이 연결되는 말단부에는 냉수배출관과 온수배출관에서 나오는 각각의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나오는 수동밸브가 설치되며, 수동밸브의 선단부에는 수동밸브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급수밸브 전후방에는 급수밸브 전후방의 수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가 설치되었으며, 냉수배출관과 온수배출관 내측에는 전방부터 차례대로 물흐름감지센서와 제1, 제2 온도감지센서와 냉, 온수밸브가 순서대로 각각 배열 설치되고, 온수배출관의 온수밸브후방측에는 펌프가 설치되었으며, 온수편차 보정급수기의 소정위치에는 온도감지센서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가 설치된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2)는 직수공급관(10)과 온수공급관(11)사이에 설치되어 온수사용 초기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설정된 온도에 맞게 배출되도록하는 것이다.
특,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수공급관(11)의 말단부에는 온수배출관(21)이 연결 설치되고, 직수공급관(10)의 말단부에는 냉수배출관(22)이 연결 되었으며, 온수배출관(21)과 냉수배출관(22)의 말단부는 상호연결되어 온수배출관(21)과 냉수배출관(22)을 통해서 나오는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수배출관(21)과 냉수배출관(22)이 합치되는 연결부에는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서 배출되도록하는 수동밸브(23)가 연결설치되고, 이 수동밸브(23)의 선단부에는 수동밸브(23)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4)가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밸브(24)의 전후방에는 급수밸브 전후방의 수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의 내측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물흐름감지센서(26), (26a)와, 제1, 제2 온도감지센서(27), (27a)와, 냉, 온수밸브(28a), (2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출관(21)의 온수밸브(28)후방측에는 펌프(29)가 설치되어 있고, 온수편차 보정급수기(20)의 소정위치에는 온도감지센서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온도설정부(30)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온도를 설정한다.
그 뒤, 수동밸브(23)를 열게되면 수동밸브(23)전방의 급수밸브(24)전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차압센서(25)가 급수밸브(24)전후방의 차압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수동밸브(23)를 열은 상태이면 급수밸브(24)전방 a의 압력이 금수밸브(24)후방 b의 압력보다 낮은 상태이며, 이렇게 압력의 차이가 있으면 차압센서(25)가 차압을 감지하여 그신호에 의해 펌프(29)가 회전하게 되면서 그와 동시에 온수밸브(28)가 열리게 된다.
상기 펌프(29)가 회전되면서 온수밸브(28)가 열림에 따라 온수배출관(21)에서 온수가 흘러 나오게 되고, 그 온수의 온도를 제1온도감지센서(27)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30)에서 설정된 온도에 낮으면 냉수밸브(28a)가 열려서 냉수배출관(22)을 통해 열교환기(3)로 유입되어 다시 온수공급관(11)을 통해 온수배출관(21)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3)를 통해 다시 순환되어 나오는 온수의 온도는 온수의 순환으로 시간이 지체되어 온수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이 온도를 제1온도감지센서(27)에서 감지하여 그 온도가 설정된 적정온도가 되면 급수밸브(24)를 열고 냉수밸브(28a)를 닫아서 적정온도의 온수를 수동밸브(23)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온수 사용시 초기에 차가운 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차가운 물이 나오지 않고 순환되어 나오는 과정에서 가열되므로 냉수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배출관(21)을 통해 나오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냉수밸브(28a)가 열리면서 냉수배출관(22)을 통해서 냉수가 배출되어 상기 온수와 혼합되어 수동밸브를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냉수밸브(28a)의 개폐량과 개폐시간은, 제1온도감지센서(27)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 정해지며, 냉수밸브(28a)의 개폐량과 개폐시간 조절을 제2온도감지센서(27a)에서 감지되는 냉수의 온도와 제1온도감지센서(27)에서 감지되는 온수의 온도를 마이콤에서 계산 조절하여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 온수배출관(22), (21)에 각각 설치된 각각의 물흐름감지센서(26a) (26)는 냉,온수배출관(22), (21)내의 물흐름을 감지하고, 그 물흐름 상태를 제어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온수사용 초기시에 나오게 되는 차가운 물이 열교횐기로 다시 순환되어 나오도록 되어서 온수사용을 위해 수동밸브를 열었을 때 초기에 차가운 물이 나오지 않아 냉수를 절약 할 수 있는 장점과, 온수사용시초기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한 온도의 온수를 초기부터 공급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을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선단부가 온수공급관(11)과 연결되는 온수배출관(21)의 말단부와 선단부가 식수공급관(10)과 연결되는 냉수배출관(22)의 말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이 연결되는 말단부에는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에서 나오는 각각의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나오는 수동밸브(23)가 설치되며, 수동밸브(23)의 선단부에는 수동밸브(23)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3)가 설치되고, 급수밸브(24) 전후방에는 급수밸브(24) 전후방의 수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25)가 설치되었으며, 냉수배출관(22)과 온수배출관(21)내측에는 전방부터 차례대로 물흐름감지센서(26), (26a)와 제1, 제2 온도감지센서(27), (27a)와 냉, 온수밸브(28a), (28)가 순서대로 각각 배열 설치되고, 온수배출관(21)의 온수밸브(28)후방측에는 펌프(29)가 설치되었으며, 온수편차 보정급수기(20)의 소정위치에는 제1, 제2 온도감지센서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보정급수기.
KR2019950031134U 1995-10-30 1995-10-30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KR0126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134U KR0126328Y1 (ko) 1995-10-30 1995-10-30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134U KR0126328Y1 (ko) 1995-10-30 1995-10-30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969U KR970018969U (ko) 1997-05-26
KR0126328Y1 true KR0126328Y1 (ko) 1998-10-01

Family

ID=1942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134U KR0126328Y1 (ko) 1995-10-30 1995-10-30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3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969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495B2 (en) Device for preventing initial hot water supplying in concentric tube type heat exchanger and its control method
JPH0714758Y2 (ja) 1缶3回路式給湯装置
CN108266789A (zh) 一种壁挂炉系统
KR0126328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편차 보정급수기
JP2869700B2 (ja) 給湯装置
JP2900015B2 (ja) 給湯装置
JPH06249507A (ja) 循環保温式給湯装置
JPS62169958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S62169957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H042361Y2 (ko)
JPH0315934Y2 (ko)
JPS6237637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H0530167Y2 (ko)
JPS6237639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3667901B2 (ja) 燃焼装置
JPS5818106Y2 (ja) 給湯暖房装置
JP2734834B2 (ja) 全自動給湯システム
JP3632199B2 (ja) 浴槽の水位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循環流量制御装置及び風呂給湯装置の制御装置
JPS59200154A (ja) 給湯装置
JPS6315032A (ja) 追焚機付給湯機
JPS6237638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S62125252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H042360Y2 (ko)
JPS62125253A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S61165516A (ja) ス−ツブロア用蒸気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