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895B1 -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895B1
KR940004895B1 KR1019910017279A KR910017279A KR940004895B1 KR 940004895 B1 KR940004895 B1 KR 940004895B1 KR 1019910017279 A KR1019910017279 A KR 1019910017279A KR 910017279 A KR910017279 A KR 910017279A KR 940004895 B1 KR940004895 B1 KR 94000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cylinder
loading
fixing
door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600A (ko
Inventor
채영호
Original Assignee
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영호 filed Critical 채영호
Priority to KR101991001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895B1/ko
Publication of KR93000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12Arrangements for feed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이송부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적재부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소재 고정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소재 고정부의 측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으로 제작된 문틀이 적용되는 창문의 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으로 제작된 문틀의 일부절취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2 : 리이드스크류
3 : 테이블 8 : 스토퍼
9 : 죠오 10 : 센서
11, 11a : 소재고정용공압실린더 13 : 래크
14 : 래크기어 15 : 고정대
17 : 걸림턱 21, 21a : 안내봉
22 : 클램프유니트 23 : 적재대
24 : 적재리프터 25 : 상하구동용공압실린더
26 : 좌우구동용 공압실린더 32, 32a : 소재고정구
33 : 장공홈 34 : 보울트
36 : 브레이크모우터 39, 39a : 체인전동기구
40, 40a : 체인 44 : 회동편
45 : 회전축 46 : 로울러
47 : 가이드레일
본 발명은 문틀, 또는 창틀 등을 만들기 위하여 목재를 절단 가공하는 문틀 성형을 목공기계에 있어서, 목재를 자동적으로 이송시켜서 각 공정별로 단계적으로 공급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이 되게한 다음, 완성된 제품은 별도의 운반수단에 적재될수 있게한 소재의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사용하여 문틀이나 창틀을 만들때에는 목재를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양단을 수직으로 절단하거나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경사진 절단면을 만들어서 조합시키게 된다.
이때, 가공된 목재의 접촉면이 정확한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면 문틀이 삐뚫어지게 되므로 문틀 접촉면의 가공 정밀도는 건물의 미관과 시공기술의 신뢰도에 영향을 줄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문틀을 만들기 위한 목재의 가공은 수공에 의존하는 것보다 기계적 가공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정밀도나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계적 가공방법으로써 종래의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는 테이블에 설치된 공압 실린더형 목재 고정장치로 고정한 다음 테이블이 전후진하면서 프레임의 한쪽에 고정설치된 각종공구가 목재를 정확한 치수로 절단할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상기 문틀 성형 목공기계는 목재의 일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장치로써 구성된 것이었다. 따라서 문틀의 경우에 있어서 양쪽면을 똑같은 형상으로 가공하여야 되므로 나머지 한쪽면을 재차 가공해야 되는데, 이때 각종공구를 재조정 하게 되는 작업상의 불편함과 일차 가공이 끝나서 반툴된 목재를 다시 적재해서 반복가공을 위한 투입위치로 재차 절렬시키게 되는 등 공정 연결상에 어려움이 많고 작업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자의 피로가 현저하게 나타나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목재를 각각의 공정 예를 들어, 수직절단, 홈파기가공, 경사절단 등에 연속적으로 자동공급함으로써 종래의 한쪽에 편중된 가공방식을 지양하고 양면을 일회의 공정으로 가공완료 시키면서 자동공급할 수 있게 되는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자동이송자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의 이송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재의 이송을 자동화하여 작업인원을 감소하고 작업자를 보호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공이 완료된 목재를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소재가 이송되는 좌우측의 테이블 상부면에 각각 3개조의 소재 고정 및 이송장치를 형성하고 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을 부착하여 공압실린더로써 좌우 상하로 구동되며 소재를 이송시킬수 있는 클램프유니트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 유니트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우터로 이동되게 하고, 일단에는 별도의 모우터로 구동되는 적재대가 역시,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우터로써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며 소재를 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베드(1)상에 고정되어 리이드스크류(2)로 섭동가능하게 되는 좌우측의 테이블(3)에 각가 설치되며, 수직절단부(4), 홈가공부(5) 및 경사절단부(6)로 형성되는 공지의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이드 스크류(2)는 테이블 이동용 모우터(7)로 회전되며 일측의 테이블(3)에 고정되어 테이블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베드(1)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의 테이블(3)에는 수직절단부(4), 홈가공부(5) 및 경사절단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3)상에는 각 절단가공부의 위치에 소재(W)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8)와 죠오(9)가 돌설되고 소재 감지용 센서(10)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토퍼(8)는 양쪽테이블(3)에 각각 고정된 하나의 소재고정용 공압실린더(11)의 피스톤로드(12)에 형성한 래크(13)에 연통하는 래크기어(14)에 치합되어 동시에 승하강 하며 테이블(3)상에서 출몰한다.
죠오(9)의 하단은 고정대(15)에 고정되면서 토션스프링(16)이 탄설되어 회전력을 보유한다.
센서(10)는 이송되는 소재를 감지하여 후속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콘트롤박스(미도시)에 전달한다.
고정대(15)는 토션스프링(16)의 탄성으로 회전하는 죠오(9)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는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일측의 소재고정용 공압실린더(11a)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 절단부(4)는 공압실린더(18)(18a)로 승강 및 왕복 이동하는 원형톱날(19)로 구성되어 소정의 치수로 소재(W)를 절단한다.
홈가공부(5)는 공압실린더(18b)로 구동되는 커터(20)로써 문틀을 끼워맞추기 위한 결합홈이나 결합돌기를 가공한다.
경사절단부(6)는 공압실린더(18c)로 왕복 이동하는 원형톱날(19a)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소재(W)의 양단에 경사진 접합면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양쪽테이블(3)의 안쪽 측면에는 안내봉(21)(21a)을 설치하여 이들 안내봉(21)(21a)에 섭동가능한 클램프 유니트(22)를 형성하고 후위에는 대기용 적재대(23) 및 적재리프터(24)를 구성한다.
클램프 유니트(22)는 각각의 소재 성형가공부 즉, 수직절단부(4), 홈가공부(5) 및 경사 절단부(6)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하구동용 공압실린더(25)와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로 구성된다.
상하 구동용 공압실린더(25)는 소재(W)를 고정하여 이송시키는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를 승강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27)에 섭동하는 원통형 베어링(28)으로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가 고정된 기대(29)를 받쳐주게 된다.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가 고정된 기대(29)는 피스톤로드(30)에 고정되어 좌우 이동은 이동편(31)을 안착하고 상부에는 소재(W)를 고정하여 이송시켜 줄수 있는 고정구(32)(32a)를 형성한다.
고정구(32)는 장공홈(33)이 형성되어 기대(29)상에서 보울트(34)에 의한 임의의 고정 가능하게 되어 고정되는 소재의 폭이나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의 작동범위에 대한 변위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니트(22)는 각각의 소재 성형가공부에 형성되면서 연결봉(35)으로 일체화 되어 상하 구동용 공압실린더(25)에 의한 기대(29)의 상승후 연속작동하는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로써 고정구(32)(32a)가 가공된 소재(W)를 고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동시에 이송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유니트(22)의 이동은 베드(1)상에 설치된 브레이크 모우터(36) 및 감속기(37)로 구동되는 구동축(38)을 테이블(3)에 관통시켜서 테이블(3)에 고정된 체인 전동기구(39)를 구동토록 하면서 일측의 체인(40)을 어느 하나의 클램프 유니트(22)에 고정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모우터(36)의 정,역회전에 따라 클램프 유니트(22)가 안내봉(21)(21a)을 따라 좌우 이동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구동축(38)은 리이드스크류(2)의 구동에 의하여 테이블(3)이 이동할 수 있도록 체인전동기구(39)의 스프라켓에 고정된 키(key)가 섭동할 수 있는 축방향의 긴 키홈(50)을 형성한다.
상기한 클램프 유니트(22)의 소재 자동이송 공정은 각각의 성형가공부의 고정위치까지 이동된 다음 전기적 감응 장치에 의해 정지되며 소재 고정용 공압실린더(11)(11a)에 의하여 소재가 고정되어 가공되게한 다음 최초의 위치로 후진하여 소재이송을 위한 대기상태로 돌아오는 연속작업을 이루는 것이다.
대기용 적재대(23) 및 적재리프트(24)는 가공완료된 소재를 별도의 운반수단에 자동안치할 수 있는 적재수단을 제공한다.
대기용 적재대(23)는 테이블(3)에 고착된 브라켓(41)에 고정된 적재용 공압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동편(44)의 회전축(45)에 고정되어 적재용 공압실런더(42)가 구동함에 따라서 내측으로 회전하여 크램프유니트(22)로부터 공급받은 소재(W)를 적재리프트(24)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적재리프트(24)는 양측에 로울러(46)를 부착하여 대기용 적재대(23)의 하측으로 테이블(3)에 수직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7)에 로울러(46)를 삽입하면서 정, 역회전이 가능한 적재용 모우터(48)로 구동되는 체인전동기구(39a)의 체인(41a)을 가이드레일(47)의 길이 방향에 맞추어 설치하고 적재리프트(24)와 고정하여 체인정동기구(39a)가 구동함에 따라 적재리프터(24)의 로울러(46)가 가이드레일(47)에 안내되며 승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문틀이 성형되는 과정을 총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 이동용 모우터(7)로 구동되는 리이드스크류(2)로서 베드(1)상에서 양측테이블(3)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한 다음 소재(W)를 수직절단부(4)로 진입시킨다. 이때 센서(10)가 소재(W)를 감지하면 공압실린더(11)에 연동하는 래크(13) 및 래크 기어(14)에 의해 스토퍼(8)가 테이블(3)위로 상승하게 되고 소재(W)가 스토퍼(8)에 걸리게 되면 소재 고정용 공압실린더(11a)가 전전하여 테이블(3) 내측에 은폐되어 있던 죠오(9)가 토션스프링(16)에 의해 걸림턱(17)에 걸릴 때 까지 회전하여 테이블(3)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전진하여 소재를 고정하고 연속적으로 공압실린더(18)(18a)가 원형톱날(19)를 상하 좌우로 구동하여 소재의 양쪽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원위치한 다음 소재고정용 공압실린더(11)(11a)가 역구동하여 스토퍼(8)와 죠오(9)는 테이블(3)의 내부로 들어가 계속적인 소재(W)의 이송에 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차적인 소재의 수직절단 작업을 마치면 상하 구동용 공압실린더(25)가 기대(29)를 상승시키고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가 작동하여 고정구(32)(32a)로써 소재를 고정하게 되면 즉각적인 브레이크 모우터(36)의 구동이 이루어져서 체인정동기구(39)에 의해 연결봉(35)으로 연결된 클램프 유니트(22)가 안내봉(21)(21a)을 따라 동시에 다음 단계의 작업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고정구(32)(32a)의 고정상태가 해체되고 기대(29)가 하강한 다음 브레이크 모우터(36)의 역구동에 의해 처음의 상태로 클램프유니트(22)가 복귀하고 소재를 계속공급함에 따라 스토퍼(8)와 죠오(9)의 연속적인 작동이 계속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작동을 하면서 통상적인 방식으로써 홈가공과 경사절단이 완료되면 마지막 클램프 유니트(22)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W)는 대기용적재대(23)에 놓여져 적정량이 되었을 때 적재용 공압실린더(42)에 의해 대기용 적재대(23)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적재 리프트(24)에 소재를 내려놓으면 적재용모우터(48)로 구동되는 체인전동기구(39a)에 의해 적재리프터(24)가 하강하여 별도의 운반수단으로 소재를 운반한다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양측 테이블에 소재의 절단 및 가공을 위한 각각 3개소의 소재 고정장치와 동시 이송가능한 클램핑 장치로써 총 3개의 소재가 테이블 위에서 동시 이송 및 가공되고, 가공이 완료된 제품은 적재리프터에 자동적으로 적재가 되어 작업인원의 감소와 생산성의 획기적인 향상은 물론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문틀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로써 수직절단부(4), 홈가공부(5) 및 경사절단(6)와 테이블상에 소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문틀 성형을 목공기계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가 베드(1)의 양측에 설치한 테이블(3)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테이블(3)의 어느 하나는 리이드스크류(2)로써 베드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며 소재 고정용 공압실린더(11)로 승하강되는 스토퍼(8)와 또하나의 소재 고정용 공압실린더(11a)로 구동되며 탄성금구에 의해 회동하여 왕복이동하는 죠오(9)로써 소재를 고정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되는 소재고정수단과, 테이블(3)의 측면에 부착된 안내봉(21)(21a)에 섭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하 구동용 공압실린더(25)와 소재고정구(32)(32a)를 작동하는 좌우 구동용 공압실린더(26)를 가지는 클램프 유니트(22)가 브레이크모우터(36)로 구동되는 체인전동기구(39)의 일측체인(40)과 고정되어 전기적 제어장치에 의해 스토퍼(8) 사이에서 순환이동되며, 이 클램프 유니트(22)가 양측 테이블(3)에 3개조로 형성되어 소재가 테이블 위에서 동시에 왕복이송되는 소재이송수단과, 테이블(3)의 일단으로 적재용 공압실린더(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동편(44)의 회전축(45)에 고정되어 약 90°의 반경으로 회전하는 적재대(23)의 하측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47)에 적재리프터(24)의 로울러(46)와 체인전동기구(39a)가 형성되고 체인(41a)의 일측이 적재리프터(24)에 고정되어 적재리프터(24)가 가이드레일(47)에서 승강되는 소재적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자동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8)는 하나의 소재 고정용 공압실린더(11)의 피스톤로드(12)에 각각 형성되는 래크(13)에 연동되는 래크기어(14)와 치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죠오(9)는 소재 고정용 공압실린더(11a)의 고정대(15)에 형성된 걸림턱(17)으로 회전범위가 제한되고 고정대(15) 후퇴시 테이블(3)의 간섭을 받으며 테이블(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32)는 장공홈(33)을 형성하여 보울트(34)로 조정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이송장치.
KR1019910017279A 1991-10-02 1991-10-02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KR94000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279A KR940004895B1 (ko) 1991-10-02 1991-10-02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279A KR940004895B1 (ko) 1991-10-02 1991-10-02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600A KR930007600A (ko) 1993-05-20
KR940004895B1 true KR940004895B1 (ko) 1994-06-04

Family

ID=1932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279A KR940004895B1 (ko) 1991-10-02 1991-10-02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0805A (zh) * 2018-07-11 2018-11-27 惠州市繁丰优嗦娜乐器有限公司 一种尤克里里琴颈加工用固定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1140A (zh) * 2017-11-30 2018-03-13 华星传动科技无锡有限公司 齿轴加工用数控磨床自动送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0805A (zh) * 2018-07-11 2018-11-27 惠州市繁丰优嗦娜乐器有限公司 一种尤克里里琴颈加工用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600A (ko) 199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1199B2 (ja) 木材やプラスチック材料の工作物を加工する機械及び方法
US7275897B2 (en) Drilling machine for panels
US7726219B2 (en) Machine tool
JPH0271947A (ja) パレットコンベヤ製造ラインシステムの改良
CN112238266B (zh) 数控滚齿机床
CN112720027A (zh) 一种棒料自动化切削加工设备和使用方法
US36936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ing elongate components at successive longitudinal locations
EP2025480B1 (en) Machine for working door and window component parts of wood or similar
CN111167937A (zh) 用于异形体零件的成型加工装置及其方法
US5465471A (en) Apparatus for machining bars
KR102074505B1 (ko)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KR940004895B1 (ko) 문틀 성형용 목공기계의 소재 자동 이송장치
EP2412500B1 (en) A woodworking drilling machine with an improved panel feeding device
EP0203038B1 (en) A tenoning machine
EP0228551A2 (en) Workpiece advancing apparatus
CN217707523U (zh) 一种可调输送带机构
CN113814779B (zh) 一种数控机床盒式自动进料机构
CN114952316A (zh) 双线型单向器输出轴加工线
CN211637962U (zh) 一种用于异形体零件的成型加工装置
EP0808689B1 (en) Device for stepwise feeding panels
CN210967297U (zh) 一种滚筒刷套切割机
JPH0592336A (ja) 長尺の被加工物のクランプ装置
EP0938939B1 (en) Improved metal strip feeder
CN117900526B (zh) 一种轴类工件滚筒式数控车床送料机
CN217200150U (zh) 一种加工输送装置以及一种门扇加工输送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