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531Y1 -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 Google Patents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531Y1
KR940004531Y1 KR2019890012380U KR890012380U KR940004531Y1 KR 940004531 Y1 KR940004531 Y1 KR 940004531Y1 KR 2019890012380 U KR2019890012380 U KR 2019890012380U KR 890012380 U KR890012380 U KR 890012380U KR 940004531 Y1 KR940004531 Y1 KR 940004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haft
present
main surfac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2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804U (ko
Inventor
이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 켈
Priority to KR2019890012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531Y1/ko
Publication of KR910004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회전노브로 끼워지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단면도.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이 결합된 회전 노브가 샤프트에 끼워진 상태의 작용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이 복층노브에 끼워진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통체 10 : 개공부
11 : 만곡면 12 : 장공
13 : 걸림편
본 고안은 각종 전자 기기의 가변 저항기등에 연결된 샤프트와 노브와의 사이에 끼워져 노브와 샤프트 사이의 접촉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위칭 기능과 조절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회전노브에는 주로 선단부가 일정길이로 분할된 샤프트가 선단부로 억지 끼워지고, 그 분할부분의 탄력으로 노브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유지되는 구조로 된것이 알려져 있다.
이경우 노브와 샤프트는 일체로 작동되므로서, 회전노브의 밀고(pushing) 당김(pulling)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회전각도에 의하여 조절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조절기능은 기기의 기능에 따라 온도조절 또는 음량조절등의 각종 조절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통상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되는 회전노브는 샤프트에 억지끼워지는 끼움홈 내경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워 금형 제작의 어려움이 있으며, 회전노브의 기능수행에 따른 샤프트와의 접촉면이 마모되면서 결착력이 약화되거나 겉돌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즉 샤프트와 노브의 끼움홈 내경의 정확한 공차를 맞추기가 어려워 제작시 공차가 조금만 커도 노브가 샤프트에서 겉돌게 되거나 처음부터 끼워지지 않게 되어 노브를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상기와 같이 어렵게 제작되어 샤프트에 억지 끼워진 노브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밀고 당김 또는 회전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와의 접촉면이 서서히 마모되면서, 결착력이 점점 약화되어 결국 노브가 겉돌게 되는 일이 빈번해져 왔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회전노브를 샤프트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기위해 일본특개소 58-84324호의 노브가 알려지기도 하였으나, 실제로 노브의 축홈 내주면 양측으로 형성된 탄성의 리브간 간격이 샤프트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샤프트에 노브를 삽입하기가 쉽지 않았을 뿐만아니라 원호상의 리브를 노브에 일체로 형성하기에는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이와 같은 노브 구조 역시 장기간 사용으로 리브의 탄성력이 떨어지거나 샤프트 접촉면이 마모되면 결착력의 약화로서 노브가 겉돌게되어 노브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첫째 회전노브의 축홈 내부면 마모를 방지하므로서 항상 샤프트와 일정한 탄지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둘째 노브가 샤프트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노브에 일체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구조로서 노브와 샤프트 사이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이 필요로 되어 왔다.
본고안은 노브와 샤프트 사이의 탄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되 노브 축홈에 일체로 되지 않고 별도부품으로 간단히 제작되는 기술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그 목적이 있고, 특히, 리브만의 탄지력에 의존하지 않고 샤프트 주면 전체를 둘러싼 상태에서 원호상으로 탄지력이 발휘되게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C형 단면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개공부에서 완충되고, 걸림편이 밀려나옴을 방지하며 양단 사이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만곡면을 이루므로서 샤프트에 가해지는 탄지력이 샤프트 원주면 전체에서 안쪽으로 발휘되게 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양측으로 연통되며, 주면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트여진 완충용 개공부(10)를 형성하고, 주면 양단(14)(15)에서 중심부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11)을 가지며, 상기 만곡면(11)에는 교호로 수개의 장공(12)이 뚫려있고, 주면의 한점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용 걸림편(13)이 돌설되어 있으며, 전체 형태는 대략 원통형의 몸체(1)로 된다.
상기 걸림편(13)은 회전노브(2)의 축홈(22)에 끼워진뒤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노브(2)에 끼우기 전에 가열시켜준 후 끼우게 되면 상기 축홈(22) 내주면에서 견고하게 결착되어 샤프트 삽탈시 이탈되지 않는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는 샤프트이고, 21은 끼움돌조이고, 31은 끼움통이고, 1'는 다른 실시예의 스프링 몸체이고, 4는 복층노브이고, α는 완충되는 간격(틈)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제1도와 같이 금속박판을 원재료로 하여 평탄상에서 장공(12), 만곡면(11)을 C형 단면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원통 안쪽으로 탄성이 발휘되는 일정한 원통체 몸체를 제작한다. 이후에는 기제작된 스프링몸체(1)를 가열한 상태에서 노브(2)의 축홈(22)에 끼워넣으면 축홈(22) 내주면에 걸림편(13)이 걸려져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몸체(1)는 제3(a)도와 같이 노브(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α)이 발생되어 있게되며, 이후 샤프트(3)가 끼워지면 스프링 몸체(1)는 걸림편(13)을 중심으로 개공부(10)가 더욱 벌어지게 되어 몸체(1) 외주면이 노브(2) 내주면에 밀착되어 "α"의 공간이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제3(b)도상태에서는 스프링 몸체(1)가 샤프트(3) 외주 전체에서 내측을 향하여 강한 탄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샤프트(3)가 끼워져 만곡면(11)이 팽창되면, 주면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13)이 더욱 견고하게 노브(2)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이 실시된 복층노브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흔히 음향기기의 온, 오프 노브와 좌, 우 스피커의 음량조절을 각각 별개의 노브로 동작되게 하는 복층노브에 실시된 예시도입니다.
즉 별개로 동작되는 샤프트(3)에 각기 결착되어 서로 다른 기능을 하게 되는 노브(2)에 본고안의 스프링 몸체(1)(1')가 각각 끼워지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본고안이 끼워진 회전노브(2)가 샤프트(3)에 삽착되어 스위칭과 조절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회전노브(2)의 마모에 의한 샤프트(3)의 겉도는 현상이 없어지고, 일정한 삽착력이 유지되어 스프링(1)의 교체로서 반영구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노브(2)의 마모에 따른 샤프트(3)와의 삽착력 약화를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탄지력이 유지되며, 회전노브(2)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제작 과정 없이 금속 박판의 가공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작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양단(14)(15)으로 연통되며, 주면일측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완충용 개공부(10)를 형성하고, 주면양단(14)(15)에서 중심부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11)을 가지며, 상기 만곡면(11)에는 장공(12)이 교호로 천공됨과 아울러 주면일점에 이탈방지용 걸림편(13)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KR2019890012380U 1989-08-24 1989-08-24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KR940004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380U KR940004531Y1 (ko) 1989-08-24 1989-08-24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380U KR940004531Y1 (ko) 1989-08-24 1989-08-24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804U KR910004804U (ko) 1991-03-19
KR940004531Y1 true KR940004531Y1 (ko) 1994-07-07

Family

ID=1928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380U KR940004531Y1 (ko) 1989-08-24 1989-08-24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25A (ko) * 1994-10-28 1996-05-22 오오가 노리오 전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25A (ko) * 1994-10-28 1996-05-22 오오가 노리오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804U (ko) 199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6673A1 (en) Connection device
KR940004531Y1 (ko) 노브의 이완방지용 스프링
KR960033784A (ko) 필기구 및 필기구 제조 방법
KR100230638B1 (ko) 낚싯대용 릴시트
JP2004512971A (ja) 切削差込工具を取り付ける及び取り外すためのキー
KR100403847B1 (ko) 평면 핸들장치
US2276753A (en) Fastening device
KR200149276Y1 (ko) 가구용 힌지
JPS5940651Y2 (ja) 摘み取付構造
JPH1023908A (ja) 時計バンド用のつまみ付きばね棒
KR0128661Y1 (ko) 카오디오의 볼륨노브 결합 구조
KR900000876Y1 (ko) 제어 판넬용 도어 고정 장치
JP4387538B2 (ja) インサート器具
JP2000170816A (ja) エアダンパ
KR870002456Y1 (ko) 합성수지 창틀골재
KR0138969Y1 (ko) 카오디오의 볼륨노브 결합축 홀더 구조
KR200248951Y1 (ko) 도어록의 손잡이 작동 레버
JP2002095506A (ja) コードロック
KR900003610Y1 (ko) 자동차용 스위치
KR0128662Y1 (ko) 카오디오의 볼륨노브 결합 구조
KR200148095Y1 (ko) 사출성형 외함 장착용 버튼
JPH0143771Y2 (ko)
KR19980010992U (ko) 카 오디오용 볼륨노브의 결합구조
KR930000131Y1 (ko) 에어 댐퍼
KR0134804Y1 (ko) 카오디오용 볼륨 노브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