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131Y1 - 에어 댐퍼 - Google Patents

에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131Y1
KR930000131Y1 KR2019900007965U KR900007965U KR930000131Y1 KR 930000131 Y1 KR930000131 Y1 KR 930000131Y1 KR 2019900007965 U KR2019900007965 U KR 2019900007965U KR 900007965 U KR900007965 U KR 900007965U KR 930000131 Y1 KR930000131 Y1 KR 930000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damper
open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7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31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 댐퍼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대응한 축소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에 대응한 확대상태의 단면도.
제8도는 사용에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댐퍼 2 : 실린더
3 : 제1피스톤 4 : 제2피스톤
8 : 배기홈 9 : 올리피스
12 : 배기홈 13 : 탄지수단(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에어댐퍼(Air Damper)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의 개방 양단부로 부터 서로 마주 대향하여 한쌍의 피스톤을 끼워 넣은 것이다.
종래 이런류의 에어댐퍼로서는, 양단이 트여진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개방양단부로 부터 서로 마주하여 실린더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넣어진 한쌍의 피스톤으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에어댐퍼에서는 양 피스톤을 실린더내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단축하고 반대로 떨어진 방향으로 당기면 신장하여 최소 단축상태와 최대 신장상태인 2개의 상태만을 얻을 뿐, 최대 신장상태에서 다시 피스톤을 꺼내고저 할때 피스톤이 실린더로 부터 빠져 파손하고 마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들면, 뚜껑의 개폐장치의 완충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는, 최소한 단축상태를 뚜껑의 닫힌 위치에, 최대 신장상태를 뚜껑의 열림위치로 설정하고 스프링 등으로 뚜껑을 항상 열리는 방향에 탄지해 놓고 댐퍼의 신장공정에 의하여 제동력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뚜껑의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은 댐퍼를 파손하는 일이 없게 되나, 최종 사용자의 손에 건너가면, 예상치 못한 사용법에 의해 다루어지게 된다.
예를들면 뚜껑이 열려 있음에도, 다시 무리하게 열고저하는 경우인데, 이때 댐퍼를 최대 신장상태로 됨으로 피스톤이 실린더에서 빠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피스톤을 2단계로 꺼내도록 하여 댐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코저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면에 따라 실시예를 상술한다.
본 고안은 실린더(2)내에 일방의 피스톤 「예를들면 제1피스톤(3)」을 신장방항으로, 타방의 피스톤 「예를들면 제2피스톤(4)을 단축방항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예를들면 코일스프링(3)」을 구비하여 상기 일방의 피스톤(3)에는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개방하고,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한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닫히는 일방향성의 배기홈(8)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타방 피스톤(4)에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개방하고,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한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닫히는 일방향성의 배기홈(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 피스톤(3, 4)을 실린더(2)내에서 서로 접근한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신장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일방의 피스톤(3)이, 탄지수단(1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단축한다.(제6도)
이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일방의 피스톤의 배기홈(8)이 개방되므로, 이 개방된 배기홈을 통하여 실린더내의 공기가 일시에 배기되어 댐퍼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타방의 피스톤(4)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단축하고 있으므로 그 이상은 단축하지 않는다.
다음에 양 피스톤을 밀어넣는 힘이 해제되면 일방의 피스톤(3)은 탄지수단에 모여진 탄력으로 되돌아 가진다.
이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일방의 피스톤 배기홈이 닫히므로 실린더내는 부압하고, 소정의 위치에 개설되어 있는 올리피스(9)를 통하여 실린더 내로 외기를 빨아 들인다.
이 때문에 댐퍼 효과를 발생하고, 일방의 피스톤은, 탄지수단의 감쇄된 탄력으로 천천히 또 정숙하게 신장하여 원 상태로 복구한다(제1, 2, 4도 참조).
한편, 양 피스톤을 서로 격리한 방항으로 당기면, 단축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던 타방의 피스톤(4)은 신장한다(제7도).
이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타방의 피스톤의 배기홈(12)이 개방되므로, 이 개방한 배기홈을 통하여 실린더내로 외기가 일시에 빨아들여 댐퍼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양 피스톤을 당기는 힘이 석방되면 타방의 피스톤은 탄지수단에 모여진 탄지력에 의해 되돌아 간다.
이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타방의 피스톤의 배기홈이 닫히므로, 실린더내의 내압이 올라가고 실린더 내의 공기는 올리피스에서 배기된다.
이 때문에, 댐퍼효과를 발생하고, 타방의 피스톤은 탄지수단의 감쇄된 탄력으로 천천히 또는 정숙하게 단축하여 원 상태로 복귀한다.
도면중(1)은 에어댐퍼, 이 댐퍼(1)는 양단이 트여진 실린더(2)와 이 실린더(2)의 개방 양단부로 부터 마주 대항하여 실린더(2)내로 미끄럼 동작이 가능하게 끼워진 한쌍의 제1, 2 피스톤(3, 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2)는 제1피스톤(3)이 미끄럼 동작하는 WP1내실(2a)과, 제2피스톤(4)이 미끄럼 동작할 제2내실(2a)과, 제1내실(2a)과 제2내실(2b)을 서로 연통한 비교적 소경의 연통로(2c)를 가지며, 예를들면 적당한 정도의 가성과 탄성을 가진 P.O.M등의 수지로 일체 성형한다.
또 도면중 (5)는 실린더(2)의 제1내실(2a)이 개방단을 막는 캡을 표시하며, 이 캡(5)에는 제1피스톤(3)의 로드부(3c)가 통할 장원형의 통공(5a)을 가지며, 예를들면 P.O.M등의 수지로 일체 성형한다.
그리고, 실린더(2)와 캡(5)사이에는 서로 끼워맞출 오목, 볼록부(2', 5')의 일방을 각각에 형성하고, 오목, 볼록부(2', 5)는 적어도 일반의 탄성을 이용하여 캡(5)을 실린더(2)의 트인구멍 단부 외주에 1촉수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피스톤(3)은 실린더(2)의 제1내실(2a)의 내경에 대체로 같은 외경을 가진 원형피스톤부(3a)와 이 피스톤부(3a)의 단면에 일단이 트여져 있다.
축방향 중간까지 연장하여 타단이 닫히고, 단면이 장원형상의 중공실(3b)을 갖는 로드상부(3c)로 되며, 예를들면 P.O.M 등의 수지로 일체 성형한다.
상기 피스톤부(3a)의 외주에는, O링(6)은 장착할 원형으로 파인 링홈(7)을 형성하고, 이 링홈(7)의 홈폭은 O링(6)의 단면직경보다 폭넓이(예를들면 2배 정도)로 설정하고, 그 바닥에는 일단 낮게 파여지고, 축방향 후단에 위치한 배기홈(8), (8)을 뒤로 향하게 하여 한쌍을 형성한다.
또 중공실(3b)의 폐지단에는, 축방향에서 외향으로 트인 올리피스(9)를 개설한다.
상기 제2피스톤(4)은 실린더(2)의 제2 내지 (2b)의 내경에 대체로 같은 외경을 가지며, 비교적 지름이 큰 피스톤부(4a)와 이 피스톤부(4a)의 전면에서 축방향 전방에 길고 가늘게 연장하며, 실린더(2)의 연통로(2c)에서 제1내실(2a)을 통하여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내에 끼워질 선단축부(4b)와 피스톤부(4a)의 후면에서 축방향의 배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실린더(2)의 제2내실(2b)에서 밖으로 돌출한 로드부(4c)로 되며, 예를들면 P.O.M 등의 수지로 일체 성형한다.
상기 피스톤부(4a)의 외주에는 O링(10)을 창작할 둥근모양으로 파여진 링홈(11)을 형성하고 이 링홈(11)의 바닥에는 상기한 배기홈(8)과 같은 구조로, 축방향 선단에 위치한 배기홈(12), (12)을 서로 등진 상태로 일체 형성한다.
상기 선단축부(4b)는 편평한 판상으로, 탄지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13)을 밖에서 끼우고 그 선단부에는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내에 끼운 크기의 비교적 큰 지름의 스톱퍼(14)를 장착하고 코일스프링(13)의 빠짐을 저지한다.
스톱퍼(14)는 예를들면 P.O.M등의 수지로 일체 성형하고 선단축부(4b)의 선단부 외주와의 사이에는 서로 끼워 맞물릴 오목, 볼록부(14'), (4')의 일방을 각각 형성하고 오목부, 볼록부(14', 4')는 적어도 일방의 탄력을 이용하여 스톱퍼(14)를 선단축부(4b)이 선단부 외주에 1촉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3)은, 그 외경이 실린더(2)의 연통로(2c)의 내경보다 작게, 연통로(2c)내로 내향한 돌출 원형 오목부(15)의 저면과 스톱퍼(14)의 후면과의 사이에서 탄력 축소된다.
또, 코일스프링(13)은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의 최소 대향간격 보다 권해지름이 굵고, 스톱퍼(14)는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안을 진행할 때는, 그 피스톤부(3a)의 전면과 실린더(2)의 원형 오목부(15)의 전면과의 사이에서 탄력축소 된다.
제2피스톤(4)의 로드부(4c)는 편평한 판상으로, 피스톤부(4a)의 후면에서 길이의 중간까지 연장하고, 십자형으로 대각한 보장용 한쌍의 날개편(4c', 4c')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한 각 구성의 조립상태의 댐퍼(1)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1도의 상태에 있는 댐퍼(1)의 양 피스톤(3, 4)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는 실린더(2)의 제1내실(2a)을 상대적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제2피스톤(4)의 선단축부(4b)가 스톱퍼(14)와 같이 제1피스톤(3)의 중공일(3b)내를 상대적으로 전진한다.
그때에, 제2피스톤(4)의 선단축부(4b)에 밖에 끼워진 코일스프링(13)의 단면이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의 전면에 부딪히게 됨으로, 코일스프링(13)은 실린더(2)의 원형 볼록부(15)의 전면과의 사이에서 탄력축소된다.
이 때문에 양 피스톤(3), (4)을 누룰때 에는 코일스프링(13)의 탄력에 대향하여 눌러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가 실린더(2)의 제1내실(2a)을 전진할 때에 피스톤부(3a)의 링홈(7)에 끼울 O링(6)이 실린더(2)의 제1내실(2a)의 내주와의 마찰저항으로 링홈(7)내를 상대적으로 후퇴하고 링홈(7)의 바닥의 배기홈(8)의 위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실린더(2)의 제1내실(2a)안의 공기는 배기홈(8)및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의 폐지단에 트여진 올리피스(9)를 통하여 일시에 배기되고, 댐퍼효과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리하여 양 피스톤(3, 4)를 누르면,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의 전면이 실린더(2)의 제1내실(2a)과 그것보다 가느다란 연통로(2c)사이의 단차면(16)에 부딪혀서 그 이상 눌리워지지 않는다(제6도).
여기서 압력을 석방하면 탄력축소 되어진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으로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는 실린더(2)의 제1내실(2a)안에서 상대적으로 되돌아 간다.
이 때문에,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는 실린더(2)의 제1내실(2a) 안에서 상대적으로 후퇴로, 제2피스톤(4)의 선단축부(4b)는 스톱퍼(14)와 같이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안에서 상대적으로 후퇴한다.
이 때에,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의 링홈(7)에 끼워질 O링(6)이 실린더(2)의 제1내실(2a)의 내주와의 마찰저항으로 링홈(7)내에서 상대적으로 전진하여 배기홈(8)을 막는다.
이 때문에, 실린더(2)의 제1내실(2a)은 밀폐되고 피스톤부(3a)는 후퇴하여 제1내실(2a)은 부압한다.
거기서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의 폐지단에 트여진 올리피스(9)를 통하여 실린더(2)의 제1내실(2a)안으로 외기를 빨아 들인다.
또 그때에,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의 링홈(11)에 끼워질 O링(10)는 링홈(11)내에서 후퇴위치에 있고, 배기홈(13)을 막고 있어서 실린더(2)의 제2내실(2b)에서 연통로(2c)틀 통과하여 제1내실(2a)에 공기를 유입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댐퍼효과를 발생하고 양피스톤(3, 4)은 코일스프링(13)의 감쇠된 복원력에 의해 천천히 그리고 정숙하게 신장한다.
그리고,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의 후면은 캡(5)의 내측면에 부딪친 위치에서 정지한다(제1도),
한편, 양 피스톤(3, 4)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는 실린더(2)의 제2내실(2b)안에서 상대적으로 후퇴한다.
이때에, 제2피스톤(4)의 선단축부(4b)는 스토퍼(14)와 같이 실린더(2)의 제1내실(2a)안을 상대적으로 후퇴하여 스톱퍼(14)의 후면과 실린더(2)의 원형 오목부(15)의 전면과의 사이에서 코일스프링(13)을 탄력축소 한다.
이 때문에 양 피스톤(3, 4)을 당길때에는 코일스프링(13)의 탄력에 저항하여 당길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는 실린더(2)의 제3내실(2b)를 후퇴할 때에 피스톤부(4a)의 실린더홈(11)에 끼워질 O링이 실린더(2)의 제2내실(2b)의 내주의 마찰저항으로 링홈(11)내에서 상대적으로 전진하고 링홈(11)의 바닥의 배기홈(12)의 위에 위치한다.
배기홈(12)을 통하여 실린더(2)의 제2내실(2b)안에 외기를 일시에 빨아 들이기 때문에 댐퍼효과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때에, 제1피스톤(3)의 피스톤부(3a)의 링홈(7)에 끼워질 O링(6)은 링홈(7)안에서 전진위치에 있고 배기홈(8)을 막고 있어서 이 배기홈(8)을 통하여 외기를 빨아 들이지 않는다.
다만,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의 올리피스(9)는 트여져 있어서 이 올리피스(9)를 통하여 약간은 외기를 유입한다.
이리하여 양 피스톤(3, 4)을 당기면 스톱퍼(14)의 후면이 실린더(2)의 단자면(16)에 부딪히므로 그 이상 당기지 않게 된다.
여기서 당기는 힘을 석방하면, 탄력축소되어 있던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으로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는 실린더(2)의 제2내실(2b)안에서 상대적으로 되돌아 간다.
이 때문에,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가 실린더(2)의 제2내실(2b)내를 상대적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그 선단축부(4b)는 스톱퍼(14)와 같이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내를 상대적으로 전진한다.
이때에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이 링홈(11)에 밖에 끼우는 O링(10)는 실린더(2)의 제2내실(2b)의 내주와의 마찰 저항으로 링홈(11)내를 상대적으로 후퇴하여 배기홈(12)를 박는다.
따라서, 실린더(2)의 제2내실(2b)은 밀폐되므로 피스톤부(4a)전진하고, 실린더(2)의 제1내실(2a), 연통로 (2c)및 제2내실(3b), 및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내의 공기는 압축된다.
그러므로, 실린더(2)안 및 제1피스톤(3)의 중공실(3b)내의 공기가 올리피스(9)를 통하여 조여진 상태로 배기된다.
따라서 이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댐퍼효과를 발생하고 양피스톤(3, 4)을 코일 스프링(13)의 감쇠된 복원력으로 천천히 또는 정숙하게 단축한다.
그리고 제2피스톤(4)의 피스톤부(4a)의 전면이 실린더(2)의 제2내실(2b)와 그로부터 가늘어진 연통로(2c) 사이의 단차면(17)에 부딪힌 위치에서 정지한다(제1도).
다음에 댐퍼(1)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들면 제8도에서와 같이 뚜껑의 개폐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뚜껑(18)은 케이스(19)의 개방상면에 상측을 열도록 축 설치한다.
그리고 뚜껑(18)과 케이스(19)사이에 양 피스톤(3, 4)의 로드부(3c, 4c)의 일방을 각각 축설치하고 뚜껑(18)이 상측으로 열린 상태에서 댐퍼(1)가 제1, 2, 4도로 표시한 상태로 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18)을 축(20)을 지지점으로 아래로 닫으며, 댐퍼(1)는 단축하고, 코일스프링(13)에 복원력을 축적한다(제6도). 이 닫힌 위치에 있어서, 로크수단(도시없음)이 작용하도록 하여두면, 로크를 해제하는 것으로, 뚜껑(18)은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과 댐퍼효과에 의해 상측으로 천천히 또는 정숙하게 열린다.
또, 열린 상태에서 뚜껑(18)이 부주의로 상측으로 열린 경우에도 댐퍼(1)는 다시 신장(제7도)하여 대처하고 힘이 개방된 다음에는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과 댐퍼효과는, 뚜껑(18)은 천천히 또 정숙하게 원 열린위치로 복귀한다.
또, 뚜껑(18)이 회전하여 옅린경우 이외에, 미끄럼 동작하여 열리는 경우에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 댐퍼(1)의 사용분야로서는 여러가지 분야에 활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텔레비젼 놓임대나, 전자렌지등의 개폐문 또는 차 실내의 박스나, 센터 컨솔박스 등의 각종 개폐장치에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양단이 트여진 실린더(2)와, 이 실린더(2)의 개방 양단부에서 서로 마주 대향하여 실린더내(2)로 미끄럼동작 가능하게 끼워진 한쌍의 피스톤(3, 4)과, 상기 실린더(2)의 트여진 개방단을 막는 캡(5)과, 상기 피스톤(3), (4)들이 실린더(2)의 내에서 단축상태를 유지토록 걸려지게 하는 스톱퍼(14)와, 상기 피스톤(3)의 내부로 형성되는 중공실(3b)의 폐지단에는 외측으로 올리피스(9)를 트여지게 구성된 에어댐퍼(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내에는 일방 피스톤(3)을 신장방향으로, 타방피스톤(4)을 단축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일방 피스톤(3)에는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대향한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개방하고,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한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닫히는 일방향성의 배기홈(8)을 형성하며, 상기 타방 피스톤(4)에는 탄지 수단의 탄지력에 대향한 신장공정에 있어서는 개방하고,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한 단축공정에 있어서는 닫는 일방향성의 배기홈(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KR2019900007965U 1989-07-13 1990-06-14 에어 댐퍼 KR9300001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68489U JPH0743505Y2 (ja) 1989-07-13 1989-07-13 エアダンパー
JP89-81684(U) 1989-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131Y1 true KR930000131Y1 (ko) 1993-01-09

Family

ID=1375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7965U KR930000131Y1 (ko) 1989-07-13 1990-06-14 에어 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43505Y2 (ko)
KR (1) KR9300001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3505Y2 (ja) 1995-10-09
JPH0322145U (ko) 1991-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11821A8 (en) Lancet device
US4068661A (en) Injection syringe with separate one-piece finger rest
US4309027A (en) Pneumatic spring having selectively releasable rod-retaining structure
KR20050086377A (ko) 에어 댐퍼 및 글러브 박스
US2725038A (en) Magnetic ball point pens
KR930000131Y1 (ko) 에어 댐퍼
US5362166A (en) Flat stick-shaped material propelling container
US4050148A (en) Snap-in bushing switch removal tool
CA1215343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KR870006588A (ko) 연료집합체의 상부노즐에 대해 긴 부재를 방출성 있게 부착하기 위한 래칭장치
GB2241995A (en) Round tube locking device under compression
US2829623A (en) Ink cartridge assembly for ball-point pens
FR2469604B1 (ko)
CN108528097B (zh) 具有自动密封结构的书写器具
FR2220353A1 (en) Retractable instrument e.g. pen penknife - has nib withdrawing into automatically closing airtight compartment
CN108528096B (zh) 具有自动密封结构的书写器具
KR950006211A (ko) 체인 인장 장치
KR870002713Y1 (ko) 샤아프 펜슬
JPH1023908A (ja) 時計バンド用のつまみ付きばね棒
JPH01280597A (ja) ノック式筆記具の衝撃減衰機構
JPS6017521B2 (ja) 固形化粧具に於ける自動引込み装置
KR870002710Y1 (ko) 샤아프 펜슬
WO2000007648B1 (en) Prefilled syringe with means for preventing plunger removal
KR920004688Y1 (ko) 봉상물 조출용기
KR101864092B1 (ko) 길이 단축형 실리콘 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