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459Y1 - 철인기 - Google Patents

철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459Y1
KR940004459Y1 KR92000162U KR920000162U KR940004459Y1 KR 940004459 Y1 KR940004459 Y1 KR 940004459Y1 KR 92000162 U KR92000162 U KR 92000162U KR 920000162 U KR920000162 U KR 920000162U KR 940004459 Y1 KR940004459 Y1 KR 940004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housing
transfer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983U (ko
Inventor
이종묵
Original Assignee
이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묵 filed Critical 이종묵
Priority to KR92000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459Y1/ko
Publication of KR930017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04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embossing tool(s), or the movement of the work, during the embossing operation
    • B44B5/0019Rectilinearly moving embossing tools
    • B44B5/0028Rectilinearly moving embossing tools cooperating with rotat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52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2Dies; Accessories
    • B44B5/024Work piece loa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인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부분 정면도.
제4a도는 1개의 이송빔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이송빔의 이송후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유도관로 201 : 회전축
202A,202B : 고정판 203A,203B : 지지플레이트
204 : 이송빔 205 : 이송핀
207 : 하우징 209 : 회전로울러
211 : 회전플레이트 213 : 푸싱플레이트
301 : 철인
본 고안은 철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인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피철인물의 표면에 특정문자를 철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인기에 관한 것이다.
퓨즈의 양단에는 그 내부를 밀봉하는 캡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제조업체명, 인가되는 전압의 허용치를 표시하는 문자가 철인되어 있다.
또한, 전구의 베이스 표면 역시 전압 및 전력을 표시하는 문자가 철인되어 있다. 이와 같이 퓨즈의 캡이나 전구의 베이스에 문자를 철인하는 철인기에는 여러가지 기종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본출원이 선출원한 199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49호(이하 선출원이라 함)는 퓨즈캡을 자동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철인공정 역시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철인기에서는 구조적 특성상 사용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회전하는 휠 자체를 퓨즈캡을 압인하는 철인으로 이용함으로서 철인면의 마모 또는 파손에 따른 철인교환시 휠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며, 철인공정이 완료된 퓨즈캡이 지지하는 캠홀더핀에서 원활하게 이탈되지 않아 작업속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선출원에서는 철인과 철인휠을 별도로 구성하였지만, 이 역시 철인휠도 회전휠과 동일한 회전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철인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밖에 철인이 완료된 캡을 캡홀더 핀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토출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뒤따른다.
본 고안은 기존의 철인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철인물(이하 "자재"라 한다)이 회전플레이트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태에서 고정된 철인에 의하여 철인공정이 이루어지며, 철인이 완료된 회전플레이트의 회전과정에서 별도의 구성없이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분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부분정면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피철인물인 자재를 정렬 및 공급하는 자재정렬 및 공급부(100)와, 공급된 자재를 순환이송시키는 자재이송부(200), 이송되는 자재표면에 철인을 실시하는 철인부(300) 및 자재이송부(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자재정렬 및 공급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체(1)의 베이스(2)상에 설치된 보울피더(101)의 일측 연변에는 자재의 하향이송을 유도하는 유도관로(102)가 고정되어 있으며, 또다른 단부는 자재이송부(200)에 대응된다.
여기서 기술되는 자재는 전술한 휴즈 캡이나, 전구의 베이스 캡과 같이 일단이 개방된 중공형 원통부재이며, 유도관로(102)내부형상은 자재의 외형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보울피더(101, Bowl Feeder)는 자재를 일정형태로 정렬시키는 기구로, 이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재정렬 및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자재를 이송시켜 철인부(300)에 낱개로 대응시키는 자재이송부(200)의 구성을 제2도 및 제3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400)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01)은 제1 및 제2고정판(202A 및 202B)에 의해서 베이스(2)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고정판(202A 및 202B) 사이의 회전축(201) 중앙부에는 회전축(201) 연변에 고착된 상태로 1쌍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203A 및 203B)가 설치되어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203A)와 제2지지플레이트(203B) 외곽면에는 다수의 이송빔(204)이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각 이송빔(204)과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의 상호 구성관계를 제4a도 및 제4b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제4a도는 이송빔(204)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정면도로서, 편의상 1개의 이송빔만을 도시하였으며, 제4b도는 제4a도의 단면도로서, 제4a도의 상태에서 각 지지플레이트가 소정각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제1지지플레이트(203A)와 제2지지플레이트(203B)를 관통한 상태의 이송빔(204)의 한 단부는 보다 작은 직경의 이송핀(20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송빔(204)의 단부 및 이송핀(205)의 단부는 제1지지플레이트(203A) 및 제2지지플레이트(203B) 외부로 각각 노출된다.
이송빔(204) 및 이송핀(205)이 관통하는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의 관통구 내부 전연변에는 하우징(206,207)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어 이송빔(204) 및 이송핀(205)이 대응하는 하우징(206,207) 내에 이송가능한 상태로 수용된다.
한편, 이송빔(204)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소정높이의 턱부(204A)가 형성되며, 제2지지플레이트(203B)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207)의 내부면(207A)과 이송빔(204) 중앙부의 턱부(204A) 내주면 각각에 압축 스프링(210)의 각 단부가 밀착되어진다.(물론, 압축스프링(210) 권선부내에는 이송빔(204)과 이송핀(205)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임)
제4a도는 이송빔(204)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작동전 상태에서, 이송빔(204)의 중앙부에 구성된 턱부(204A)의 외향면은 제1지지플레이트(203A) 관통구 연변에 위치하는 하우징(206) 내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이송빔(204)과 일체화된 이송핀(205)의 선단부는 제2지지플레이트(203B) 내에 삽설된 하우징(207) 내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제2지지플레이트(203B)의 외측부에는 회전축(201)에 고착되어 회전하는 소정두께의 원판형 회전플레이트(211)가 설치된다.
회전플레이트(211) 원주표면에는 소정깊이의 반원통형 요부(212)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요부(212)는 상술한 각 이송핀(205)과 일대일로 대응된다. 또한 회전플레이트(211)의 직상부에는 회전플레이트(211) 원주면과 소정간격 유지하는 푸싱플레이트(214)가 위치하되, 이 푸싱플레이트(213)는 지지포스트(214)에 의하여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회전축(201)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유도관로(102)의 단부는 회전플레이트 원주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회전플레이트(211)의 연변원주면에 대응하는 푸싱플레이트(213)는 그 한 단부가 유도관로(102)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지지포스트(214)에 고정된 단부에서 유도관로(102)와의 대응단부로 갈수록 그 좌우 구성폭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즉, 푸싱플레이트(213)의 제2지지플레이트(203B) 대향면은 경사부(213A)로 구성되며, 따라서, 회전플레이트(211) 표면에 형성된 각 요홈(212)은 유도관로(102) 대향부에서는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만 회전(제1도의 "가"방향)할수록 푸싱플레이트(213)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그 노출부분이 감소되어진다.
제2지지플레이트(203B)를 관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각 하우징(207) 선단부에는 철인부(300)가 설치된다.
베이스(2)에 설치되는 철인부(300)의 철인(301, 철인하고자 하는 문자가 새겨져 있음)의 단부는 각 하우징(207)의 측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지지플레이트(203A) 하부의 베이스(2) 표면에는 외력에 의한 회전이 실시되는 회전로울러(20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로울러(209)의 표면은 상술한 각 이송빔(204)의 단부와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동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구동부(400)를 작동시키면, 체인(401)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축(201)은 일정방향(제1도의 "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회전축(201) 연변에 고착된 제1지지플레이트(203A)와 제2지지플레이트(203B), 회전플레이트(211) 역시 동일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203A, 203B)의 회전에 의하여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 외곽면에 관통, 수용된 다수의 이송빔(204)은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며, 이때 각 이송빔(204) 단부에 구성된 이송핀(205)과 회전플레이트(211)의 각 요홈(212)은 서로 대응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보울피더(101)가 작동하여 다수의 자재를 규칙적으로 정렬시키며, 정렬된 자재는 유도관로(102)를 타고 하강하여 회전플레이트(211) 표면에 대응하게 된다.
하강된 자재는 유도관로(102)내에 적층식으로 위치하게 되며, 최하단 자재의 개방된 단부가 각 하우징(제4b도의 207)에 대향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된 자재는 회전플레이트(211)의 회전에 따라 그 표면에 형성된 어느 한 요홈(212)에 대응하게 되며, 따라서 최하단의 자재는 요홈(212)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211) 표면의 각 요홈(212)내에 1개씩의 자재가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회전플레이트(211) 표면의 각 요홈(212) 내에 수용된 자재는 회전플레이트(211) 표면위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의 선단이 푸싱플레이트(213)의 경사부(213A)에 접촉하게 된다.
회전플레이트(211)가 계속적으로 회전(물론,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 역시 회전하게 됨)하게 되면, 요홈(212)에 수용된 자재는 푸싱플레이트(213) 경사부(213A)에 의하여 그 내측으로 점차적으로 밀려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이송핀(205)이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207)이 푸싱플레이트(213)의 경사부(213A) 끝단에 위치할 때, 푸싱플레이트(213)의 요홈(213A)에 수용된 자재는 제2지지플레이트(203B) 전면으로 노출된 하우징(207) 선단에 끼워지게 된다. (제4a도의 우측단부 상태)
이후,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의 회전에 따라 자재(10)가 끼워진 하우징(207) 선단이 철인부(300)에 도달하게 되면, 철인(301)이 자재(10) 표면을 가압하게 되어 철인(301)에 형성된 문자가 자재(10)표면에 음각된다. 뒤이어 회전되어 오는 또다른 이송빔(204, 역시 선단의 하우징(207)에 자재(10)가 끼워져 있는 상태임)도 철인부(300)에 도달되어 상술한 철인과정이 반복실시된다.
자재(10)표면에 철인이 완료된 후에도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는 계속적인 회전을 실시하게 되며, 따라서 이송빔(204)의 선단, 즉, 제1지지플레이트(203A) 외부로 노출된 이송빔(204)의 선단은 회전축(201)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로울러(209)에 대응하게 된다. (제4a도의 상태)
따라서, 이송빔(204)이 회전(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에 의함)하여 이송빔(204)의 선단이 회전로울러(209)의 표면에 접하게 되며, 이후, 이송빔(204)이 회전로울러(209) 중심선(지름)과 일치하게 되면, 그 반대편 단부인 하우징(207) 선단에 끼워진 자재는 이송핀(제4b도의 205)에 의하여 이탈되어진다.
제4b도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원주면이 곡면형태인 관계로 회전로울러(209) 표면에 이송빔(204)이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이송빔(204)은 회전로울러(209) 반대방향(제4b도의 "나"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빔(204)의 턱부(204A)와 하우징(207) 사이의 압축스프링(210)은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송빔(204)에 일체화된 이송핀(205) 역시 이송빔(204)의 이송에 따라 하우징(207) 내부를 따라 이송되어 하우징(207)에 끼워져 있는 자재(10)를 점차적으로 밀게 된다. 이후, 이송빔(204)이 회전로울러(209)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되면 하우징(207)에 끼워져 있던 자재(10)는 이송되는 이송핀(205)에 밀려서 하우징(207)에서 이탈되어 최종적으로 하우징(207) 선단으로 노출된 이송핀(205) 선단에 끼워지게 된다.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의 회전에 따라 이송빔(204)이 회전이 계속되어 회전로울러(209)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압축스프링(21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이송빔(204)과 이송핀(205)이 최초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이송핀(205)에 걸려져 있던 자재(10)는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어 자연낙하가 이루어져 대응위치의 베이스(2) 표면에 형성된 절개부(제2도의 2A)를 통하여 베이스(2) 하부에 놓여진 자재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자연적으로 수용된다.
이후, 각 지지플레이트(203A,203B)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각 이송빔(204)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실시하여 상술한 공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자재표면의 철인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자재의 이송 및 분리를 하나의 동력원으로 실행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자재의 공급과 분리공정이 각 지지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실시됨으로서 고속적인 철인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퓨즈캡, 전구의 베이스 캡과 같은 일단이 개방된 중공원통형의 자재표면에 특정문자를 철인하는 통상의 철인기에 있어서, 상기 자재(10)를 수용 및 정렬시키는 보울피더(101) 및 이와 연통되어 유도관로(102)로 이루어진 자재정렬 및 공급부(100)와, 제1 및 제2고정판(202A, 202B)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4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201)과, 상기 회전축(201) 연변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착되어 상기 회전축(201)과 동일한 회전을 실시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203A, 203B)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203A, 203B)의 외곽원주면을 수평이동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되, 한 단부는 보다 작은 직경의 이송핀(205)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핀(205)이 관통되는 지지플레이트(203B) 관통구 연변에 삽설된 하우징(207)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다수의 이송빔(204)과, 상기 이송핀(205)의 수용된 하우징(207) 단부에 인접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201) 연변에 고착되어 동일한 회전을 실시하며, 원주표면에는 상기 각 하우징(207) 단부와 대응하는 다수의 요홈(212)이 형성된 회전플레이트(211)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11) 직상부에 대응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우징(207) 대향면은 경사부(213A)로 구성된 푸싱플레이트(213)와, 상기 각 이송빔(207)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베이스(2) 표면에 고정된 회전로울러(209)와,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되어 다수의 이송빔(204)의 회전에 따라 자재(10)의 표면에 접촉, 특정문자를 철인하는 철인(301)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도관로(102)를 따라 공급된 자재(10)가 상기 회전플레이트(211)의 각 요홈(212)에 수용되어, 상기 푸싱플레이트(213)의 경사부(213A)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각 하우징(207)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철인기(301)와의 접촉에 따라 그 표면에 철인이 실시된후, 상기 각 이송빔(204)과 상기 회전로울러(209)와의 접촉에 따라 이송핀(205)이 상기 하우징(207)내에서 이송되어 하우징(207)에 끼워진 자재(10)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송빔(204)은 그 중앙부 연변에 소정높이 돌출된 턱부(204A)를 구성하여 상기 이송핀(205)이 수용된 하우징(207)의 내측면간에 압축스프링(210)을 장착, 그 스프링력으로서 상기 회전로울러(209)와의 접촉에 따른 이송과정후의 접촉해제시 상기 각 이송빔(204)가 최초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플레이트(213)는 상기 유도관로(102) 대응부에서 그 후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구성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211)의 회전시 그 표면에 형성된 요홈(212)의 노출면적이 감소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는 상기 이송빔(204)과 상기 회전로울러(209)간의 접촉에 의한 상기 자재(10)의 이탈시, 이탈된 자재(10)가 외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소정면적의 절개부(2A)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인기.
KR92000162U 1992-01-09 1992-01-09 철인기 KR940004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162U KR940004459Y1 (ko) 1992-01-09 1992-01-09 철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162U KR940004459Y1 (ko) 1992-01-09 1992-01-09 철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983U KR930017983U (ko) 1993-08-20
KR940004459Y1 true KR940004459Y1 (ko) 1994-07-04

Family

ID=1932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162U KR940004459Y1 (ko) 1992-01-09 1992-01-09 철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4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983U (ko)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003B1 (ko) 단일 그리퍼(gripper) 콘베이어 시스템
US4032388A (en) Transfer mechanism
ES2079422T3 (es) Dispositivo para el recambio de una plancha impresora.
JPH06102455B2 (ja) 熱収縮ラベルの連続装着装置
ES2079421T3 (es) Dispositivo para el recambio de una plancha impresora.
ES2012061B3 (es) Transportador de arco para maquinas que emplean arcos
JP2735608B2 (ja) 入紙機
KR940004459Y1 (ko) 철인기
EP0906882B1 (en) Pusher block assembly for printing press
JPS58905B2 (ja) 缶輸送装置
CN210000715U (zh) 套标机及其套标装置
US3059571A (en) Marking apparatus
US3713648A (en) Conveyor for cards and the like
US4079669A (en) Article controlled bag printing machine
JP3182980B2 (ja) 写真焼付機のフイルム供給装置
US4358099A (en) Stator core holding device for fabricating a stat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machine
TWI746263B (zh) 套標機之承載件
TWI731815B (zh) 套標機及其套標裝置
KR940006329Y1 (ko) 콘돔 포일(foil) 포장기의 콘돔 공급장치
JP3761955B2 (ja) ロールフィーダー
JPH04111781A (ja) ねじ打ち込み装置
SU17384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прутковой заготовки
JP4609786B2 (ja) 木工丸鋸盤
SU7668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узлов типа "вал-втулка
EP4222063A1 (en) Container labe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