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432Y1 - 케이블 접속홀더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432Y1
KR940004432Y1 KR2019910017621U KR910017621U KR940004432Y1 KR 940004432 Y1 KR940004432 Y1 KR 940004432Y1 KR 2019910017621 U KR2019910017621 U KR 2019910017621U KR 910017621 U KR910017621 U KR 910017621U KR 940004432 Y1 KR940004432 Y1 KR 940004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lder
connecting rod
cable
connec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76U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김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김우중 filed Critical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432Y1/ko
Publication of KR930009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Landscapes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 접속홀더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3a도는 삽입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3b도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도로서 제4a도는 삽입 상태의 단면도이고, ㅏ제4b도는 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접속관 12,13 : 측벽
14 : 연결관 15 : 접속홀더
16 : 나사공 17 : 접속봉
18 : 안내장홈 19 : 환홈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용이한 케이블 접속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케이블과 접속케이블을 연결하여 용접케이블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 접속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a, 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관(30) 내측 접속홀더(31)에 걸림홈(32)이 형성된 접속봉(33)을 연결관(30) 일측에 나설된 접시나사(34) 측까지 삽입하여 접속봉(33)을 1회전시켜 접속되게 하며, 양 케이블(35)(36) 단부에 니플(37)(38)이 끼워지고 그 접속관(39)(40)으로 원뿔형 접속봉(41)(42)이 형성되어 상기 니플(37)(38)을 조여서 접속된 것인 바, 이는 접속봉(33)의 외경이 접속 홀더(31) 내경보다 약간 작게 제작되어 조립됨에 따라 밀착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접속저항이 커지게 되고 잦은 분해 조립에 의하여 헐거워지게 되어 접속상태가 크게 저하되며, 양 케이블(35)(36)의 단부에 삽입된 원뿔형 접속봉(41)(42) 후단면(43)(44)이 요홈(45)(46)에 의하여 공간부가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작게 됨에 따라 접속저항이 증가되는 원인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케이블 접속홀더는 접촉면적이 작고 접촉저항이 커지게 되어 접속부위에서 열이 발생되어서 케이블 및 홀더의 피복이 손상되고, 금속의 열화 현상이 발생되어 저항이 더욱 커져서 홀더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속홀더와 접속봉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접속력을 크게 하며 원뿔형 접속봉이 측벽에 밀착되도록 하여 접속면적을 크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 케이블(35)(36)이 접속되는 접속관(10)(11) 측벽(12)(13)을 수직되게 형성하여 원뿔형 접속봉(41)(42)의 후단면(43)(44)이 측벽(12)(13)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를 니플(37)(38)로 조여서 고정하며 연결관(14) 내측에 형성된 접속홀더(15)를 선단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 나사공(16)을 나각하여 접시나사(34)를 체결하며, 이와 조립되는 접속봉(17)을 상기 접속홀더(15)와 대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선단부로 안내장홈(18)을 형성하여 상기 접시나사(34) 단부에 안내되게 하고 안내장홈(18) 후단부에는 나선형 환홈(19)을 형성하여 접속봉(17)을 시계 방향으로 1회전시켜 접속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양 케이블(35)(36)을 니플(37)(38)로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3a, b도는 연결관(14)에 접속봉(17)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파워 케이블(35) 선단부를 니플(37)에 조립하고 원뿔형 접속봉(41)을 접속관(10)에 삽입하여 상기 니플(37)을 나사 조립함에 따라 원뿔형 접속봉(41) 후단면(43)이 측벽(12)에 밀착되어 접속면적이 크게 된다.
한편, 접속케이블(36) 측도 파워케이블(35)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면 된다.
제3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홀더(15) 내벽 상측에 돌출된 접시나사(34) 단부에 안내장홈(18)이 슬라이딩 되면서 접속봉(17)이 삽입되어 안내장홈(18) 후단부에서 멈추게 되면 접속봉(17)을 시계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나선형 환홈(19)이 접시나사(34) 단부에 안내되면서 접속봉(17)이 접속홀더(15)에 완전하게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제3b도)
이는 접속봉(17)이 환홈(19)에서 1회전하여 끼워질 때 억지 끼움식으로 접속함에 따라 접속력이 크게 되어 접속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접속홀더(15)와 접속봉(17)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접속홀더를 분해하려면 접속봉(17)을 역시계 방향으로 1회전시켜 앞으로 당기면 안내장홈(18)이 접시나사(34) 단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접속홀더(15)로 부터 빠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촉면적과 접속력이 크게 향상되어 접속홀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파워 케이블 연결관 홀더에 접속케이블 접속봉을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케이블 접속홀도에 있어서, 양 접속관(10)(11) 측벽(12)(13)을 수직되게 형성하며, 연결관(14) 내측에 경사진 접속홀더(15)를 형성하고 그 선단부에 나사공(16)을 나각하여 접시나사(34)를 체결하며, 이와 조립되는 접속봉(17)은 상기 접속홀더(15)와 대향되게 경사지게 하며 그 선단부로 안내장홈(18)을 형성하고 후단부로 연장되어 나선형 환홈(19)을 형성하여 환홈(19)이 상기 접속홀더(15)에 삽입되어 1회전하여 접속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홀더.
KR2019910017621U 1991-10-22 1991-10-22 케이블 접속홀더 KR940004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621U KR940004432Y1 (ko) 1991-10-22 1991-10-22 케이블 접속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621U KR940004432Y1 (ko) 1991-10-22 1991-10-22 케이블 접속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76U KR930009776U (ko) 1993-05-26
KR940004432Y1 true KR940004432Y1 (ko) 1994-06-30

Family

ID=1932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621U KR940004432Y1 (ko) 1991-10-22 1991-10-22 케이블 접속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4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77B1 (ko) * 2008-11-13 2009-06-09 (주)한동엔지니어링 배전용 특고압 지중 배전선 접속대
KR100902181B1 (ko) * 2008-11-20 2009-06-23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용 지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76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2503A (en) Connector for semirigid coaxial cable
US4408821A (en) Connector for semi-rigid coaxial cable
US4668043A (en) Solderless connectors for semi-rigid coaxial cable
US6872886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CA2066985A1 (en) Coaxial cable end connector
EP0798815A3 (en) Connector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having a corrugated outer conductor
JPH0119633B2 (ko)
RU2000103498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труб, выполненный за одно целое с ними
JP2008524517A (ja) 取付け部材と支持部材とを互いに対し間隔をおいて固定するための装置
KR100320358B1 (ko) 임피던스가 향상된 동축 커넥터
KR940004432Y1 (ko) 케이블 접속홀더
KR920018392A (ko) 튜브 연결체
US2951715A (en) Tube coupling connection for plastic or soft metal tubing
US5690518A (en) Female and male electrical connectors requiring low insertion forces
US5142464A (en) Mounting assembly for the rotary dimmer switch of a floor lamp
CN213145717U (zh) 快速连接头
CN212615760U (zh) 组合式多通连接件
KR200179442Y1 (ko) 나일론 관체용 원터치 연결구
CN111146615A (zh) 差异径长型同轴电缆端接结构
KR200191235Y1 (ko) 스프링클러용 배관 결합구조
CN211265897U (zh) 一种tnc型弯式射频同轴连接器
KR200252755Y1 (ko) 파이프 연결구
GB2281597A (en) Drain rod connections
KR940002226Y1 (ko) 동축케이블 콘넥터
JPH0830548B2 (ja) 管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