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245Y1 -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 Google Patents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45Y1
KR940004245Y1 KR2019910019187U KR910019187U KR940004245Y1 KR 940004245 Y1 KR940004245 Y1 KR 940004245Y1 KR 2019910019187 U KR2019910019187 U KR 2019910019187U KR 910019187 U KR910019187 U KR 910019187U KR 940004245 Y1 KR940004245 Y1 KR 940004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tape
floor
construction
tape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178U (ko
Inventor
이찬익
Original Assignee
이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익 filed Critical 이찬익
Priority to KR2019910019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245Y1/ko
Publication of KR930011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실시해서 비닐테이프를 제거하는 상태의 예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레받이 2 : 비닐테이프
4 : 시멘트몰탈층 5 : 바닥라인
본 고안은 각종 건조물을 시공해서 벽체를 미장하고 바닥을 시공할 경우 벽체 하단부의 걸레받이 부분에 비닐테이프를 부착해서 바닥 시공시 시멘트 몰탈이 걸레받이 부분에 튀어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저 하는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조물의 벽체를 미장하고 걸레받이용 비드(Bead)를 벽체의 하단부에 세워 붙임을 한 다음, 바닥시공에 들어가기 이전에 바닥마감용 시멘트 몰탈층에 상응하는 높이의 바닥라인을 걸레받이 바깥면에 표시한 연후에 바닥시공을 하기 때문에, 걸레받이에 표시한 바닥라인이 불분명하여 이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점은 물론이고, 바닥시공시에 시멘트 몰탈이 걸레받이에 튀게되므로, 이를 제거해야하는 별도의 일손이 소요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이 단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걸레 받이의 폭에 상응하는 넓이의 비닐테이프를 마련하되, 그 비닐테이프에는 시멘트 몰탈층에 해당하는 높이의 바닥라인을 적색선으로 표시한 다음에 걸레받이에 부착해서 바닥시공을 하게 되면, 시공도중에 시멘트 몰탈이 걸래받이에 튄다 하더라도 비닐테이프에 부착하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걸레받이에 부착된 시멘트 몰탈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불필요한 일손이 소요되는 폐단을 시정할 수 있음은 물론, 바닥라인도 선명하게 나타내게 되므로, 바닥시공을 정확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야간에 있어서도 바닥라인을 쉽게 확인할 수 가 있어서 바닥시공에 대한 시간제한등의 종래의 단점을 시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걸레받이(1)의 폭이 상응하도록 비닐테이프(2)를 마련하되, 그 비닐테이프(2)의 바깥면에 바닥(3)시공용 시멘트몰탈층(4)에 해당하는 높이의 바닥라인(5)을 적색과 같은 선명한 색채로 표시한 다음 걸레받이(1)에 서로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부착해서, 바닥(3)시공 이전에 벽체(6)의 하단부에 걸레받이(1)를 부착하고, 바닥(3)에는 평면이 이루어지도록 시멘트 몰탈로 시공하여 몰탈층(4)이 비닐테이프(2)의 바닥라인(5)에 이르기 까지 시공하고 그 위에 다시 타일(7)을 부착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절취용 점철공, 2′는 잔여비닐테이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걸레받이(1)의 폭에 상응하는 비닐테이프(2)가 걸레받이(1)의 바깥면에 서로가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비닐테이프(2)의 바깥면에는 바닥(3)을 편편하게 시멘트 몰탈로 시공하는 몰탈층(4)의 높이를 적색과 같은 바닥라인(5)이 선명하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벽체(6)를 미장하고 바닥(3)을 시멘트 몰탈등으로 편편하게 시공하기 이전에 걸레받이(1)를 벽체(6)의 하단부에 세워 붙임을 하게되면, 비닐테이프(2)가 걸레받이(1)를 의 바깥면을 덮개되므로, 바닥(3) 시공시 시멘트 몰탈이 걸레받이(1)쪽으로 튀게되더라도 그 몰탈은 비닐테이프(2)에 묻게되어서 걸레받이(1)에 몰탈이 묻던 종래의 폐단을 쉽게 시정할 수 있고 또한 바닥라인(5)이 선명하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시멘트 몰탈로 바닥(3)을 편편하게 시공할때 그 몰탈층(4)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바닥(3)면에 대한 몰탈층(4)의 시공이 완료되고 또한 그 몰탈층(4)이 완전히 굳어진 다음에는 비닐테이프(2)를 걸레받이(1)에서 떼어내게 되면 그 비닐테이프(2)는 바닥라인(5) 부근에서 찢어지면서 제거되므로, 걸레받이(1)의 외측면은 바닥(3) 시공이전과 같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수 있다.
필요시에는 비닐테이프(2)의 폭을 두배로 늘려서 중앙부를 등분으로 절단하기 용이하도록 점절공(8)을 길이방향으로 천공해서 잔여비닐테이프(2′)를 분리하여 비닐테이프(2)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

  1. 걸레받이(1)에 상응하는 폭으로 비닐테이프(2)를 만들어서 걸레받이(1)의 바깥면에 서로 분리하기에 용이하도록 부착을 하되, 그 비닐테이프(2)의 바깥면에는 시멘트 몰탈층(4)에 해당하는 높이 바닥라인(5)을 선명하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KR2019910019187U 1991-11-12 1991-11-12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KR940004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187U KR940004245Y1 (ko) 1991-11-12 1991-11-12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187U KR940004245Y1 (ko) 1991-11-12 1991-11-12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178U KR930011178U (ko) 1993-06-24
KR940004245Y1 true KR940004245Y1 (ko) 1994-06-25

Family

ID=1932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187U KR940004245Y1 (ko) 1991-11-12 1991-11-12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2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614B1 (ko)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유동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614B1 (ko)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유동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178U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69289A (en) Metal backed cove and end closure for the same
KR940004245Y1 (ko) 건조물의 걸레받이 시공용 비닐테이프
JPH0996173A (ja) 窓接続枠
JPS639223Y2 (ko)
JPH09221906A (ja) 幅木の取付構造及び階段装置
JPH0240868Y2 (ko)
JPS5912346Y2 (ja) 化粧板
JPH0231871Y2 (ko)
JPS6112867Y2 (ko)
JPH0432440Y2 (ko)
JPS6214215Y2 (ko)
JPH0225853Y2 (ko)
JPH0735000Y2 (ja) 階段構造
JPH0440086U (ko)
JPH0327158Y2 (ko)
JPH0635035Y2 (ja) 連結構造
JPS5930561Y2 (ja) 分電盤キヤビネツト埋設孔形成用型枠
JP3001725B2 (ja) 浴室壁の取付方法
JPH04360937A (ja) 外壁目地部の防水構造
JPS606117Y2 (ja) 改装建物
KR0134862Y1 (ko) 케이블 매립형 후로링 장치
JP2002213065A (ja) タイル敷設構造
JPH047255Y2 (ko)
JPS588819Y2 (ja) 左官用笠木成形補助材
JP3390524B2 (ja) バックアップ材付内水切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